[include(틀:다른 뜻1, from=내 천, other1=동명의 다른 한자, rd1=巛)]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川}}}내 천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巛|{{{#000,#fff 巛}}}]],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7급 한자|{{{#000,#fff 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セ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かわ{{{#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huā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巛(내 천, 개미허리) 부수의 제부수 한자 중 하나이다. 시냇물이 흘러가는 모양을 형상화한 [[상형자]]로, [[巛]](개미허리변[* 부수로서의 명칭]) : 유니코드 5DDB, 창힐수입법 VVV(女女女))이 川의 본래 형태였다. 뜻은 시냇물이며, 한국에서는 [[강]]([[江]]), [[하천]]([[河]])보다 작은 규모를 뜻한다. 중국에서 川은 강을 뜻하며, 딱히 강의 규모를 지정하고 사용하지는 않는다. [[쓰촨성]]의 약칭으로도 사용한다. 그 외에 川은 탕요리의 일종으로도 사용한다.[* 끓는 물에 건더기를 넣어 데치는 식으로 만든 탕을 川汤이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주로 훈독하여 かわ라고 읽는데 한국과는 달리 모든 종류의 하천을 川이라고 한다. 즉 [[아마존 강]]처럼 큰 강이라도 일본에서는 이 한자로 표기한다. == 용례 == === 단어, [[고사성어]] === * [[가와사키병]](川崎病) * 건천(乾川) * 계천(溪川) * 사천음식(四川飮食) * 사행천(蛇行川) * 실개천(--川) * 자생천(自生川) * 천렵(川獵) * 천변(川邊) * [[하천]](河川) * [[감조하천]](感潮河川) === [[지명#s-2]] === * 강원도 * [[이천군]](伊川郡) * [[춘천시]](春川市) * [[통천군]](通川郡) * [[홍천군]](洪川郡) * [[화천군]](華川郡) * 경기도 * [[과천시]](果川市) * [[동두천시]](東豆川市) * [[부천시]](富川市) * [[연천군]](漣川郡) * [[이천시]](利川市) * [[포천시]](抱川市) *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 경상남도 * [[사천시]](泗川市) * [[합천군]](陜川郡) * 경상북도 * [[영천시]](永川市) * 충청남도 * [[서천군]](舒川郡) * 충청북도 * [[옥천군]](沃川郡) * [[제천시]](堤川市) * [[진천군]](鎭川郡) * 평안남도 * [[개천군]](价川郡) * [[덕천군]](德川郡) * [[성천군]](成川郡) * [[평안남도 순천시|순천시]](順川市) * 평안북도 * [[박천군]](博川郡) * [[선천군]](宣川郡) * [[용천군]](龍川郡) * [[태천군]](泰川郡) * [[희천군]](熙川郡) * 함경남도 * [[단천군]](端川郡) * [[문천군]](文川郡) * 함경북도 * [[명천군]](明川郡) * 황해도 * [[금천군]](金川郡) * [[배천군]](白川郡) * [[신천군]](信川郡) * 일본 * [[가나가와현]] (神奈川県) * [[이시카와현]] (石川県) * [[카가와현]] (香川県) * [[시나가와구]](品川区) === [[창작물]] === * [[압천]](鴨川) * [[천변풍경]] === 인명 === * [[가와사키시|가와사키]] (川崎) * [[나카가와]] (中川) * [[나미카와]] (浪川, 波川) * [[마에카와]] (前川) * [[미즈카와]] (水川) * [[모리카와]] (森川) * [[미도리카와]] (綠川) * [[사츠마센다이시|사츠마센다이]] (薩摩川内) * [[시라카와]] (白川) * [[아라카와]] (荒川) * [[아사카와]] (麻川, 浅川) * [[아유카와]] (鮎川) * [[아이카와]] (哀川) * [[야나가와시|야나가와]] (柳川) * [[오가와]] (小川) * [[오오카와]] (大川) * [[요시카와]] (吉川, 芳川) * [[우치카와]] (内川) * [[우다가와]](宇田川) * [[유카와]] (湯川) * [[이시카와현|이시카와]] (石川) * [[카가와현|카가와]] (香川) * [[카도카와]] (角川) * [[카와고에시|카와고에]] (川越) * [[카와구치시|카와구치]](川口) * [[카와무라]] (川村) * [[카와시마]] (川島, 川嶋) * [[카와이]] (川合) * [[카와지리]] (川尻) * [[카와카미]] (川上) * [[카와하라]] (川原) * [[코바야카와]] (小早川) * [[쿠로카와]] (黒川) * [[킷카와]] (吉川) * [[타니카와]] (谷川) * [[타키가와]] (滝川) * [[하루카와]] (春川) * [[하야카와]] (早川) * [[호리카와]] (堀川) * [[호시카와]] (星川) * [[후지카와]] (藤川) * [[후카가와]] (深川) * [[히로카와]] (広川) * [[히사카와]] (久川) * [[히카와]] (氷川) === 지하철역 === * [[갑천역]] (甲川驛) * [[굴포천역]] (掘浦川驛) * [[과천역]] (果川驛) * [[금천구청역]] (衿川區廳驛) * [[남천역]] (南川驛) * [[남춘천역]] (南春川驛) * [[녹천역]] (鹿川驛) * [[덕천역]] (德川驛) * [[도림천역]] (道林川驛) * [[동두천역]] (東豆川驛) * [[동두천중앙역]] (東豆川中央驛) * [[동인천역]] (東仁川驛) * [[동천역]] (東川驛) * [[마천역]] (馬川驛) * [[부천역]] (富川驛) * [[부천종합운동장역]] (富川綜合運動場驛) * [[부천시청역]] (富川市廳驛) * [[신천역]] (新川驛) * [[어천역]] (漁川驛) * [[오목천역]] (梧木川驛) * [[이천역]] (利川驛) * [[인천역]] (仁川驛) * [[인천가좌역]] (仁川佳佐驛) * [[인천공항1터미널역]] (仁川空港1터미널驛) * [[인천공항2터미널역]] (仁川空港2터미널驛) * [[인천논현역]] (仁川論峴驛) * [[인천대공원역]] (仁川大公園驛) * [[인천시청역]] (仁川市廳驛) * [[인천터미널역]] (仁川터미널驛) * [[양천구청역]] (陽川區廳驛) * [[양천향교역]] (陽川鄕校驛) * [[정부과천청사역]] (政府果川廳舍驛) * [[좌천역]] (佐川驛) * [[춘천역]] (春川驛) === 기타 === * [[이부망천]]([[離]][[富]][[亡]]川) [[분류:7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