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6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度}}}법도 도, 헤아릴 탁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广|{{{#000,#fff 广}}}]],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ド, (ト, タ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たび, {{{#c88 のり, はか-る, めもり, わた-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ù, duó{{{#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度는 ''''법도 도'''' 또는 ''''헤아릴 탁''''이라는 [[한자]]로, '법도(法度)' 또는 '헤아리다'를 뜻한다. 특히 "도가 지나치다", "도를 넘다"라는 문장에서 바로 그 단어다. == 상세 == ||<-4><#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법도 ||헤아리다 || || {{{-1 '''음'''}}} ||도 ||탁 || ||<-4>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dù ||duó[* 중국 대륙], duò[* 대만] || || {{{-1 '''[[광동어]]'''}}} ||dou^^6^^ ||dok^^6^^ || || {{{-1 '''[[객가어]]'''}}} ||thu ||tho̍k || || {{{-1 '''[[민북어]]'''}}} ||dū || || || {{{-1 '''[[민동어]]'''}}} ||dô ||dŏk || || {{{-1 '''[[민남어]]'''}}} ||tō͘ ||to̍k || || {{{-1 '''[[오어]]'''}}} ||du (T3) ||doq (T5) || ||<-4> || ||<|2> '''[[일본어]]''' || {{{-1 '''음독'''}}} ||ド, (ト) ||(タク) || || {{{-1 '''훈독'''}}} ||<-1>たび, {{{#c88 のり, わた-る}}} ||<-1> {{{#c88 た-い, はか-る, めもり}}} || ||<-4> || ||<-2> '''[[베트남어]]''' ||độ ||dạc || [[유니코드]]는 U+5EA6에 배정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ㄉㄨˋ로, [[창힐수입법]]으로는 ITE(戈廿水)로 입력한다. 갑골문 상에서는 [[石]](돌 석)과 손을 뜻하는 [[又]](또 우)로 이루어져있다. 전국시대를 거쳐 소전체가 되면 石은 广 안에 廿입이 있는 형상으로 변형된다. [[회의자]]로 보는 시각도 있고, [[石]]이 성부를 나타내는 [[형성자]]로 보기도 한다. [[설문해자]]에서는 [[庶]](여러 서)가 성부라고 보고 있다. 이 글자는 다음자(多音字)인데, 명사 '측정치'(measurement), '정도'(degree), '제도' 등의 뜻을 가질 때는 徒故切(거성, 한국어 '도', 만다린 'dù')로 읽고, 동사 '측정하다'(to measure)의 뜻을 가질 때는 徒落切(입성, 한국어 '탁', 중국어 'duó')로 읽는다. == 용례 == === [[단어]] === ==== 도 ==== * [[가속도]]([[加]][[速]]度) * [[각도]]([[角]]度) * [[입체각|입체각도]]([[立]][[體]][[角]]度) * [[강도]]([[强]]度) * [[경도]]([[傾]]度/[[輕]]度/[[硬]]度) * [[고도]]([[高]]度) * [[과도]]([[過]]度) * [[과도교정]]([[過]]度[[校]][[正]]) * [[광도]]([[光]]度) * [[극도]]([[極]]度) * [[난이도]]([[難]][[易]]度) * [[농도]]([[濃]]度) * [[농도차 전지]]([[濃]]度[[差]] [[電]][[池]]) * [[도량]](度[[量]]) * [[도량형]](度[[量]][[衡]]) * [[도수]](度[[數]]) * [[밀도]]([[密]]度) * 법도([[法]]度) * 빈도([[頻]]度) * [[산성도]]([[酸]][[性]]度) * [[속도]]([[速]]度) * [[각속도]]([[角]][[速]]度) * 순도([[純]]度) * [[습도]]([[濕]]度) * [[신뢰도]]([[信]][[賴]]度) * [[신선도]]([[新]][[鮮]]度) * [[심도]]([[深]]度) * [[연도]]([[年]]度) * [[온도]]([[溫]]度) * [[흑체복사#빈 변위 법칙|색온도]]([[色]][[溫]]度) * [[역온도]]([[逆]][[溫]]度) * [[온도계]]([[溫]]度[[計]]) * [[절대온도]]([[絕]][[對]][[溫]]度) * [[절대영도]]([[絕]][[對]][[零]]度) * [[용도]]([[用]]度) * [[위도]]([[緯]]度) * [[인지도]]([[認]][[知]]度) * [[절도사]]([[節]]度[[使]]) * [[정도]]([[程]]度) * [[제도]]([[制]]度) * [[조도]]([[照]]度) * [[진도]]([[進]]度/[[震]]度) * [[척도]]([[尺]]度) * [[측도]]([[測]]度) * [[태도]]([[態]]度) * [[풍도]]([[風]]度) * [[학년도]]([[學]][[年]]度) * 한도([[限]]度) * [[해상도]]([[解]][[像]]度) * [[라디안|호도법]]([[弧]]度[[法]]) ==== 탁 ==== * [[촌탁]]([[忖]]度) * [[탁지]](度[[支]]) * [[탁지부]](度[[支]][[部]]) === [[인명]] === * [[공손도]]([[公]][[孫]]度) * [[기형도]]([[奇]][[亨]]度) * [[김도연]]([[金]]度[[延]]) * [[김도완]]([[金]]度[[完]]) * [[김도읍]]([[金]]度[[邑]]) * [[김도훈]]([[金]]度[[勳]]) * [[아불화도가]]([[阿]][[佛]][[和]]度[[加]]) * [[안도현]]([[安]]度[[昡]]) * [[오소도]]([[烏]][[炤]]度) * [[유도(삼국지)#s-3|유도]]([[劉]]度) * [[윤도현]]([[尹]]度[[玹]]) * [[이도훈]]([[李]]度[[勳]]) * [[이재도]]([[李]][[在]]度) * [[장도연]]([[張]]度[[練]]) * [[전도연]]([[全]]度[[姸]]) * [[하도영]]([[河]]度[[領]]) === [[지명#s-2]] === * [[인도]]([[印]]度) === [[창작물]] === * 대혜도경종요([[大]][[慧]]度[[經]][[宗]][[要]]) * [[탁지지]](度[[支]][[志]]) * [[炯眼の絶対零度]] * [[ほおずき程度には赤い頭髪]] == 유의자 == * [[勘]](헤아릴 감) * [[揆]](헤아릴 규) * [[量]](헤아릴 량) * [[慮]](생각할 려, 헤아릴 려) * [[料]](재료 료, 헤아릴 료) * [[測]](헤아릴 측, 잴 측)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庶]](여러 서) * [[席]](자리 석) * [[庹]](팔로 잴 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