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10_gd_02.jpg|width=400]] ||<:>{{{+2 [ruby(恋,ruby=こい)]する☆[ruby(宇宙,ruby=うちゅう)][ruby(戦,ruby=せん)][ruby(争,ruby=そ)]っ!!}}}|| ||<:>'''사랑하는☆우주전쟁!!'''[* 또는 사랑스런☆우주전쟁!!]|| ||<:>Love is The Space War[* 사랑은☆우주전쟁]|| [목차] == 개요 ==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L.E.D.]] 작곡에 [[모리나가 마유미]] 보컬인 '''[[Prim]]''' 명의의 첫 곡이다. 고로 [[L.E.D.]] 최초의 [[전파송]] 악곡. 여러모로 호불호가 갈리는 곡이지만 그만큼 인기도 높은 곡. 베이스 리듬은 기존 하드코어 작품들과 흡사하지만, 보컬 스타일이나 멜로디, 투덱의 BGA 연출 등 전부 기존 곡들과는 상당히 많이 다른 전례 없는 시도이다. 그래도 [[L.E.D.|작곡가 양반]]께선 '''아직 수행이 부족하니 노력해야겠다'''는 발언을 남겼다. 그 후에도 [[†渚の小悪魔ラヴリィ~レイディオ†|많은]] [[キャトられ❤恋はモ~モク|충격과 공포의]] 곡을 만들어내는 중. 다만 수행이 부족한 결과인지는 모르겠지만, [[적절|리듬게임 악곡과 전파송의 경계에 놓여있는지라]] 인기가 더 많은걸지도 모르겠다. 덕분에 전파송 만드는 실력이 늘면서 우주전쟁은 좋아해도, 그 이후의 곡들은 별로 안 좋아하는 플레이어들도 많은편. [[전파송]]을 싫어하는 유저들이건 좋아하는 유저들이건 딱 이수준이 좋은데, 이러다가 전파송 수준이 대기권을 뚫을 기세라고 만류하는중(...) cyber beatnation 2 Hi Speed conclusion에 수록된 [[Ryu☆]]의 리믹스판은 [[BPM]] 185 정도로 원곡보다 조금 느리다.[* Ryu☆이 본인 트위터에서 원래 BPM 202 정도로 기획했지만, 곡의 흐름을 깰까 봐 단념했다고 밝히면서, 1.1배속으로 재생하면 진짜 모습이 나온다고 발언한 것이 화제가 되었다. 그리고 그 결과물은 [[ http://www.nicovideo.jp/watch/nm16417510|진성 전파송(...)(니코동 계정 필요)]]] [[beatmania IIDX]]와 [[팝픈뮤직]]에서의 장르 표기는 HI-BLEEP(하이-블리프). 구글 번역기를 돌리면 "우주전쟁[[정액(체액)|정액]]!!"이라는 해괴한 번역이 나와서[* っ를 전부 정액으로 번역하다 생긴 일. [[구글 번역#s-6.4|구글 번역 오류]]다.] 우주정액이라는 이상한 별칭으로도 불리고 있다. === 가사 === ||宇宙法則乱れちゃいそうッ! 우츄-호-소쿠 미다레챠이소-! [[그랜드 크로스#s-6|우주의 법칙이 흔들릴 것 같아!]] 見つめるだけで息も出来ない 미츠메루다케데 이키모 데키나이 바라보기만 해도 숨도 못 쉬겠어 まるでカラダ…大気圏[* 이 부분에서 호흡이 한번 끊기는데, 대기권과 대위험(大危険)은 일본어 발음이 다이키켄(だいきけん)으로 똑같다. [[언어유희]]가 들어간듯.]突破してる 마루데 카라다 다이키켄 톳파시테루 마치 몸이... 대기권을 돌파한 듯 もう限界♥(げんかーい) 모-겐카이♥(겐카-이) 이미 한계♥(한계-) 届け!夜空に祈りを捧げ 토도케! 요조라니 이노리오 사사게 닿아라! 밤하늘에 기도를 올리고 ミルキィウェイをひとっ飛びして☆彡(びゅ~ん) 미루키웨이오 히톳토비시테(븅~) 은하수를 한걸음에 날아서(부웅) この気持ちをキミにね(ぎゅ~って!) 코노 키모치오 키미니네(규~웃테!) 이 마음을 너한테(꼬옥 하고!) 伝えたいんだよ? 츠타에타인다요? 전하고 싶은데? (でも) (데모) (그치만) なぜなの ドンカンな君じれったい~(ね!) 나제나노 돈칸나 키미지렛타이~(네!) 왜 그럴까 둔감한 네가 답답해~(정말!) 「ダイスキ♥」の弾幕 '다이스키♥'노 단마쿠 '너무 좋아♥'란 총알 세례 避けないでちょうだい~!><(ばばば~ん) 사케나이데쵸우다이~!><(바바바~앙) 피하지 말아줘~!><(타타타~앙) 君に気付いてほしい! 恋する☆宇宙戦争 키미니 키즈이테 호시이! 코이스루☆우츄-센소- 네가 알아줬으면 해! 사랑하는☆우주전쟁 すぐにギュってされたいけど…焦りは禁物★(ゆっくりね!) 스구니 큐웃테 사레타이케도...아세리와 킨모츠★(윳쿠리네!) 바로 꼭 안기고 싶지만... 초조함은 금물★(천천히!) 「この戦争が終われば…恋人同士」なんてね♥ 코노 센소-가 오와레바...코이비토도-시 난테네♥ [[사망 플래그|'이 전쟁이 끝나면... 우린 커플']] 막 이래♥ あれ?それって何かフラグ… 아레? 소렛테 나니카 후라구... 어라? 이거 설마 플래그... 立ててるよッ!危ない~(汗)(ふぅ~…) 타테테루요! 아부나이~(후우~) 섰어! 위험해~(땀) (휴우~...) (ええい!こうなったら白兵戦よ! (에에이! 코-낫타라 하쿠헤-센요! (에에잇! 이렇게 되면 백병전이야! 正々堂々真正面からぶつかってかなきゃ 세-세-도-도- 마쇼-멘카라 부츠캇테카나캬 정정당당히 정면으로 부딪혀야지 とか言いつつ今日も戦略的撤退… 토카 이이츠츠 쿄-모 센랴쿠테키 텟타이... 그렇게 말하면서도 오늘도 작전상 후퇴... アタシのいくじなし~><) 아타시노 이쿠지나시~> <) 나 정말 패기가 없어~ > <) 君の呟いた素敵な言葉 키미노 츠부야이타 스테키나 코토바 네가 중얼거린 멋진 한 마디 「月が綺麗ですね」って!?それは真に受けていいの?/// '츠키가 키레이데스네'엣테!? 소레와 마니 우케테이이노?/// '[[나쓰메 소세키|달이 참 이쁘네(I love you)]]'라니!? 그거 진심으로 받아들여도 돼? /// (まだまだ負けないんだから~><) (마다마다 마케나인다카라 ~> <) (아직 질 수 없으니까 ~> <) 早く気付きなさい! 恋する☆宇宙戦争 하야쿠 키즈키나사이! 코이스루☆우츄-센소- 빨리 눈치 채란말야! 사랑하는☆우주전쟁 「恋は遊びではない」とか よく言ったものね~!(うんうん!) '코이와 아소비데와나이'토카 요쿠잇타모노네~!(응응!) '사랑은 장난이 아니야'란 말, 잘 만들어진 말이야~!(응응!) 打ち明ける勇気がない 空回りの毎日は(ぐるぐる) 우치 아케루 유-키가나이 카라마와리노 마이니치와(구루구루) 속내를 밝힐 용기가 없이 헛돌기만 하는 날들은(빙글빙글) もう限界!明日こそは 모-겐카이! 아시타코소와 이젠 한계야! 내일이야말로 作戦遂行よ!♥(えいえいおー!) 사쿠센 스이코-요!♥(에이에이오-!) 작전 개시야!♥(아자아자-!) || == [[beatmania IIDX]] == || 장르명 ||<-7> HI-BLEEP[br]하이-블리프 || [[BPM]] ||<-2> 200 || || 전광판 표기 ||<-10> '''{{{#ff5a00,#ff5a00 KOISURU UCHUSENSOU!!}}}''' || ||<-11>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2> {{{#green 비기너}}} ||<-2> {{{#blue,#0000ff 노멀}}} ||<-2> {{{#orange,#ffa500 하이퍼}}} ||<-2> {{{#red,#ff0000 어나더}}} |||| {{{#FD067C LEGGENDARIA}}} || || 싱글 플레이 || {{{#green 2}}} || {{{#green 257}}} || {{{#blue,#0000ff 5}}} || {{{#blue,#0000ff 455}}} || {{{#orange,#ffa500 8}}} || {{{#orange,#ffa500 883}}} || {{{#red,#ff0000 12}}} || {{{#red,#ff0000 1835}}} || {{{#FD067C 12}}} || {{{#FD067C 2355}}} [include(틀:CN)] || || [[더블 플레이]] ||<-2> {{{#green -}}} || {{{#blue,#0000ff 4}}} || {{{#blue,#0000ff 455}}} || {{{#orange,#ffa500 8}}} || {{{#orange,#ffa500 840}}} || {{{#red,#ff0000 12}}} || {{{#red,#ff0000 1858}}} || {{{#FD067C 12}}} || {{{#FD067C 2276}}} [include(틀:CN)]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19 Lincle|19 Lincle]] ~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vol.1) * [[단위인정]] 수록 * SPA : 10단 (20 tricoro) 해금 전에도 파격적인 내용 때문에 주목받았고, 해금 후에는 히트차트 랭킹 5위권 이내에서 좀처럼 떠나지 않는 명실상부한 링클 인기곡 중 하나. 비슷하게 아키바 노선을 표방한 [[Drive Me Crazy]]나 [[Round and Round]], 그리고 [[突撃!ガラスのニーソ姫!|'''충격과 공포의 그것''']] 등이 가동 직후를 제외하면 좀처럼 히트차트에 보이지 않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BGA]]는 [[GOLI]]가 담당했으며, [[스미레(팝픈뮤직)|스미레]] 코스프레를 한 SD화한 [[세리카(beatmania IIDX)|세리카]]가 당근 전함과 토끼 군단을 몰고 등장한다. 미스레이어에는 恋する☆宇宙戦争っ!!로고가 튀어나온다. === 싱글 플레이 ===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하드 게이지/지력 C)]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노말 게이지/지력 D)] [youtube(z_xzMJCNOEA)] SPA 플레이 영상 [youtube(GdSFTH-ful0)] SPL 플레이 영상 어나더가 로케 테스트 때부터 레벨 12로 알려졌고 결국 정규 판이 나온 지 두 달 반 뒤인 어나더가 해금되었다. IIDX 최초로 보스급 전파곡이 등장한 셈. 계단 위주의 물량보면으로 하드게이지 체감난이도는 딱 10단 급의 12렙 중하위권 패턴. 이전에, 패턴 특징을 악절별로 뜯어보면 '''대부분 [[One More Lovely]]의 재탕이다.''' 하이퍼와 어나더 물량 차가 큰 특징도 비슷하고... [[후살]] 대신 물량이 늘어난 셈이라 단순 클리어만 따지면 이쪽이 약간 쉽긴 하다. 하지만 가사에 맞춰 자주나오는 스크래치와 빠른계단, 후살끼가 보이는 최후반의 폭타는 하드 게이지에 어려움이 될수있다. [[투덱 31|31 EPOLIS]]에서 레겐다리아 패턴이 추가되었다. 끝없는 계단폭타를 이중으로 강화시킨, 노트수가 벨플레겐에 버금가는 엄청난 체력곡. === 더블 플레이 === [youtube(MAjGaO2UvvI)] DPA 플레이 영상 [youtube(2DqqGzGPSv4)] DPL 플레이 영상 === 코멘트 === || * Sound / Prim[* 이 코멘트는 L.E.D.가 아니라 보컬인 모리나가 마유미가 썼다고 한다. --여러가지 의미로 다행(...).-- 이후 Prim 명의 악곡에서 작곡가 분은 본명으로 따로 코멘트를 쓴다.] 아아~ 처음뵙겠습니다!!!Prim입니다!!! 이번에 처음으로 beatmania IIDX 19 Lincle에 참가한 Prim이라고 합니다♪ 히라가나로 「ぷりむ」카타카나로 「プリム」 입니다!!! 「사랑스런☆우주전쟁!!」이란 무엇인가? 라고 Prim 나름대로 생각해 보았다에요!!! 그런데, 사랑스런이란!? 그런데, 우주전쟁이란!!? 대답은 「사랑스런 우주전쟁」 카타카나로 해도 거꾸로 읽어도 프림에게는 무리난제였던 것이였습니다 ><!!! 빙글빙글~ 핫! 분명 이런거네요☆반짝-!!! || || * Lyric / mitsu 안녕하세요 처음뵙겠습니다☆ 「사랑스런☆우주전쟁!!」에 가사로 참가하였습니다, mitsu입니다. 비트매니아는 중학교 시절부터 좋아했기 때문에 감격입니다. 중학교 2학년 무렵, 수학여행때 압수당한 [[게임보이]]의 갓챠믹스가 아직까지도 선생님한테서 돌아오지 않아서 침울해졌습니다만... 그런 기분도 싹 없어졌습니다!  \해냈다/ 가사는 조숙한 소녀를 이미지로하고 썼습니다! 사랑은 언제나 백병전! 하지만 용기 나지않아요! 그런 가사입니다. 부끄럽지만, 꼭 플레이해보세요☆☆ || || * Anime / [[GOLI]] 꼬-옥! 언제나, 여러가지 의미로 대기권을 돌파 해버린다. 그런 내게 꽂힌 이 명곡! 가사의 임팩트, 센스, 가창력은 물론, 그 베이스가 되는 사운드의 야무진 제작에 귀를 기울이는 것도 좋을지 도에요. 「당신이 중얼거린 멋진 말~」의 부분이 귀여워서 너무 좋습니다. 침울할 때, 맥이 풀린 때에 들으면 「좋아, 오늘도 힘내자!」 그런 기분을 받고 있습니다. 이 유닛으로 다른 곡도 부디 듣고 싶네요. ||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4>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3> 난이도 || ||<|2> 200 || {{{#green,#7fff7f BASIC}}} || {{{#orange,#ffa500 MEDIUM}}} || {{{#red,#ff0000 HARD}}} || || {{{#green,#7fff7f 6}}} || {{{#orange,#ffa500 9}}} || {{{#red,#ff0000 11}}} || || 스킬 레이트 || {{{#green,#7fff7f 22}}} || {{{#orange,#ffa500 37}}} || {{{#red,#ff0000 52}}} || || 오브젝트 || {{{#green,#7fff7f 228}}} || {{{#orange,#ffa500 397}}} || {{{#red,#ff0000 545}}} || || MAX COMBO || {{{#green,#7fff7f 238}}} || {{{#orange,#ffa500 411}}} || {{{#red,#ff0000 581}}} || || JUST REFLEC || {{{#green,#7fff7f 8}}} || {{{#orange,#ffa500 15}}} || {{{#red,#ff0000 15}}} || || 수록 버전 ||<-3>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3> MUSIC PACK 23 || ||<-4>{{{#green,#7fff7f BASIC}}} : 오브젝트 5 증가 (리플레시아)|| [youtube(u7gqiWA03B4)] HARD EXC+AJR 영상 2012년 2월 29일, [[beatmania IIDX 19 Lincle]] OST 발매 기념으로, [[Sweet Rain]]과 [[Starry☆night]]와 함께 업데이트되었다. 패턴은 [[SHION]] 가속버전. 곡 길이가 굉장히 길어서 체력곡 느낌도 난다. 다만, 엇박과 16비트도 없어서 판정을 뽑기는 굉장히 쉬운 편이며 대부분 가사를 따라가기 때문에 가사의 박자를 꿰뚫고 있으면 더 쉽다. 등장 첫 주부터 오리지날 차트 랭킹 1위를 달성했으며, 한동안 [[LEVEL5-judgelight-]]와 함께 1위에서 내려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APPEND TRAVEL]] 이벤트로 유비트의 인기곡들이 대거 이식되면서 의외로 빨리 1위 자리를 빼앗기게 되었다. 하지만 '''[[리플렉 비트 콜레트]] 올시즌'''에서도 오리지널곡 랭킹 최상원권을 유지하고 있다. 항상 BEMANI 오리지널에선 10위권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업데이트로 곡이 들어와도 밀리는건 잠깐일뿐, 빠른속도로 다시 치고 올라온다. 물론 [[리플렉 비트 콜레트]]가동 직후부터 집계한 최종랭킹은 항상 10위 안.], 지금까지 곡을 선택하면 얼마 안있으면 바로 매칭이 들어올 정도로 인기가 많다. == [[사운드 볼텍스]] (恋する☆宇宙戦争っ!! あばばばみっくす[* 왜 이런 이름인지는 '''초반부를 들어보면 알 수 있다.''']) == [youtube(oSlP4jk_rqA)] [[Lincle Link]] 5탄과 같은 날에 [[突撃!ガラスのニーソ姫!]]와 함께 리믹스되어 업데이트 되었다. 리믹서는 --얄궂게도 --[[突撃!ガラスのニーソ姫!]]를 담당했던 ARM([[IOSYS(동인 서클)|IOSYS]]). 반응은 당연히 처참해서 언어장애 믹스라고 까이지만 목소리와 리믹스가 합쳐져 귀엽다고 호평을 주는 사람도 여러 있다. 다만 부정적이라고 해도 워낙 니삭스히메가 어그로를 끌어줘서(...) 2012년 KAC 스페셜 스테이지에서 연주되었다. [[http://www.youtube.com/watch?v=SL-QNJjSnu8&feature=share&list=UUgy1VQK9bzC0Aj98C8WdzIg|처음부터 갑툭튀하니 주의하자]] * [[사운드 볼텍스 부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 {{{#purple,#ff7ffe NOVICE}}} || {{{#orange,#ffa500 ADVANCED}}} || {{{#red,#ff0000 EXHAUST}}} || {{{#f2f,#dd00dc INFINITE}}} || || 자켓 || [[파일:attachment/image_90.jpg|width=150]] || [[파일:attachment/image_91.jpg|width=150]] || [[파일:attachment/image_89.jpg|width=150]] || [[파일:attachment/image_88.jpg|width=150]] || || 난이도 || {{{#purple,#ff7ffe 06}}} || {{{#orange,#ffa500 12}}} || {{{#red,#ff0000 15}}} || {{{#f2f,#dd00dc 15}}} || || 체인 수 || {{{#purple,#ff7ffe 0886}}} || {{{#orange,#ffa500 0902}}} || {{{#red,#ff0000 1559}}} || {{{#f2f,#dd00dc 1556}}} || || 일러스트 담당 || {{{#purple,#ff7ffe びゅ~ん!わたあめコモンセンス}}} || {{{#orange,#ffa500 ぎゅ~って!蒼弐}}} || {{{#red,#ff0000 えいえいお~!蒼弐}}} || {{{#f2f,#dd00dc ギュってされたいけど焦りは禁物★蒼弐}}} || || 이펙터 || {{{#purple,#ff7ffe ばばばば~ん☆ふかせ}}} || {{{#orange,#ffa500 たいきけ~ん☆ふかせ}}} || {{{#red,#ff0000 えいえいお~☆ふかせ}}} || {{{#f2f,#dd00dc まだまだ負けないんだから~☆ki4ki4}}} || || 수록 시기 ||<-3> {{{#084fc5,#3981f7 BOOTH 07(2012.6.27)}}} || [[쿠프로·미미냐미·파스텔군의 다함께 우주전쟁!!#s-3|{{{#ff00ec,#ff00ec 레이시스, 레후토, 라이토의 멋대로 다함께 우주전쟁!!}}}]][br]{{{#ff00ec,#ff00ec (2013.9.12)}}} || || [[BPM]] ||<-4> 200 || ||<-2> TRACK INPUT || || 난이도 || 조건 || || {{{#purple,#ff7ffe NOVICE}}} || 없음 || || {{{#orange,#ffa500 ADVANCED}}} || 없음 || || {{{#red,#ff0000 EXHAUST}}} || 없음 || || {{{#f2f,#dd00dc INFINITE}}} || 이 곡의 EXH 패턴을 1회 플레이 || 변경점 || 2013/09/12 || EXHAUST 자켓 변경, INFINITE 패턴 추가 || || 2014/11/20 || ADVANCED 패턴 난이도 변경 (11 → 12) || || 2016/12/21 || EXHAUST, INFINITE 패턴 난이도 변경 (14 → 15, 14 → 15) || * [[스킬 애널라이저|SKILL ANALYZER]] 수록 * NOVICE : Skill Level 01(2013.9.5 ~ 2013.10.4, 2014.2.6 ~ 2014.3.6, 2014.5.1 ~ 2014.6.5) * EXHAUST : Skill Level 08(2013.9.5 ~ 2013.10.4) * INFINITE : Skill Level 08(2013.10.4 ~ 2013.10.31), Skill Level 08(2016.2.5 ~ 2016.8.17) 자켓에 나오는 캐릭터들은 순서대로 [[레이시스(사운드 볼텍스)|레이시스]], [[Replicant D-action|리논]], [[스미레(팝픈뮤직)|스미레]], [[세리카(beatmania IIDX)|세리카]]. ~~전부 분홍머리라 다 똑같이 생긴거 같지만~~ ADV의 자켓을 자세히 보면 [[APPEND TRAVEL]]의 노래에서 나왔던 [[Cody]]가 리논과 당근 사이에 --[[흑드라군]]의 자세로-- 한 바퀴 도는 자세로 숨어있다. 일러스트와 이펙터 담당 명의에 [[KONMAI|가사를 써먹었다(…)]]. 실제 일러스트 담당은 わたあめコモンセンス와 [[아오니사이|蒼弐]][* EXHAUST에 나온 팝픈뮤직의 [[스미레(팝픈뮤직)|스미레]]의 원래 디자이너이기도 하다.], 이펙터는 [[PHQUASE]]와 ki4ki4. 또한 위아래로 자켓을 붙이면 일러스트가 완성되는 [[突撃!ガラスのニーソ姫!]]와는 반대로 자켓을 좌우로 이어붙이면 한 장의 일러스트가 완성된다. 그리고 INF 패턴이 추가되면서 EXH 패턴의 자켓도 INF 패턴의 자켓과 연결되게 바뀌었고, 스미레 뒤에 세리카의 실루엣을 새로 그렸다[* 이전 EXH 패턴 자켓은 [[http://p.eagate.573.jp/game/sdvx/sv/p/images/sv_contents/jk/07/jk_001_0054_3.jpg|이렇게 생겼다.]]]. [youtube(NnaSZ817EQk, width=420, height=600)] EXH 패턴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EXH 패턴의 영상이 올라오자 [[사운드 볼텍스 부스|당시 유저들]]은 [[지뢰곡|이건 아무리 봐도 난이도 15짜리다]] 라는 반응을 보였다.--4볼 이후 기준으로 보면 맞는 말이긴 하다-- [[니시닛포리의 춤]], [[ヤサイマシ☆ニンニクアブラオオメ]], [[FLOWER(BEMANI 시리즈)|FLOWER]] 에 준하는 수준의 이펙터 노브가 전반적으로 쏟아지며 특히 사볼 역사상 최초로 등장한 [[충격과 공포]]의 노브 반 꺾기 노트, 일명 반각 노브와 [[PHQUASE]] 트랩이 압권. 일반적인 꺾기 노브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면 되지만 처음 이를 접한 유저들의 당혹감은 상당히 컸었고, 초반에 X자 형태에서 나오는 PHQUASE 트랩에서 갑자기 레이트가 뚝뚝 떨어지는 일이 많았었다. 물론 부스 당시에도 [[고독한 파수꾼]]이나 [[rainbow flyer]] 같은 14레벨 상위권 곡보다는 한 수 아래라는 말이 많았고, 이후 끝없는 난이도 인플레가 진행되면서 평범한 14레벨 정도로 평가가 하락했다.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4볼]]에서 난이도 개편이 이루어질 때도 구 14레벨 중급 수준인 15레벨에 배정되었다. [youtube(INkHDL6Jcm4, width=420, height=600)] INF 패턴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INF 패턴의 난이도는 '''EXH 패턴과 동일한 난이도'''. [[사운드 볼텍스/기네스|사운드 볼텍스 최초로 하위 난이도와 상위 난이도의 레벨 표기가 같은 케이스이며, 동시에 하위 난이도의 체인 수가 더 많은 케이스]]가 되었다. 전체적으로 원핸드 위주의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간의 꽤 긴 노브 발광과 회전 중에도 노브를 돌려야 하는 패턴, [[PANIC HOLIC]]을 연상케하는 노브+숏노트의 팔 교차 패턴이 까다로운 편이다. EXH 패턴과의 난이도 비교는 개인차가 갈리는 편. 세심한 노브 컨트롤과 폭타에 익숙하다면 EXH가, 원핸드 및 노브 발광과 사볼2 신 노트에 익숙하다면 INF가 비교적 쉽게 느껴질 것이다. 여담으로 INF 패턴의 체인수와 팝픈뮤직의 EX보면 노트수가 똑같다. [youtube(kwKpiP3K55A, width=420, height=600)] ADV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ADV의 경우 중반의 이펙터+한손치기 구간이 약간 까다로울 수 있는데, 그영향인지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에서는 12로 레벨이 상향됐다. 그래서 한때 클리어레이트가 50% 대를 찍었던 적도 있다. [[사운드 볼텍스 부스]]에서는 EXH 패턴의 해금 조건이 ADV패턴을 AAA 랭크 이상으로 클리어 또는 15회 이상 플레이여서 [[코인 러시]]를 강요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 [[팝픈뮤직]] == [youtube(8doEcHQq6-Y, width=640, height=480)] HYPER 패턴 [youtube(MfLtkGipJDk, width=640, height=480)] EX패턴 ||<-3> [[파일:external/remywiki.com/SP_Hi-BLEEP.png]]|| [[BPM]] || 200 || || 곡명 ||<-4> '''恋する☆宇宙戦争っ!!''' || ||<-5> クールなIIDXには珍しいこのかわいさに、もうノックアウトです!歌詞の世界観にも注目だよ。 쿨한 [[beatmania IIDX|IIDX]]에 드문 이 귀여움에, 이제 Knock-Out입니다! 가사의 세계관에도 주목해! || || 아티스트 명의 ||<-4> [[Prim]] || || 장르명 ||<-2> HI-BLEEP ||<-2> 하이-블리프 || || 담당 캐릭터 ||<-2> CELICA ||<-2> [[세리카(beatmania IIDX)|세리카]] || || 수록된 버전 ||<-4> pop'n music [[팝픈뮤직 Sunny Park|Sunny Park]] || ||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 {{{#blue,#0000ff EASY}}} || {{{#green,#7fff7f NORMAL}}} || {{{#orange,#ffa500 HYPER}}} || {{{#red,#ff0000 EX}}} || || 50단계 || {{{#blue,#0000ff 6}}} || {{{#green,#7fff7f 27}}} || {{{#orange,#ffa500 35}}} || {{{#red,#ff0000 47}}} || || 노트 수 || {{{#blue,#0000ff 162}}} || {{{#green,#7fff7f 492}}} || {{{#orange,#ffa500 826}}} || {{{#red,#ff0000 1470}}} || * [[팝픈뮤직/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2012년 12월 26일 '겨울방학! 따끈따끈 BEMANI 대작전'(冬休み!ほかほかBEMANI大作戦) 이벤트로 [[팝픈뮤직 Sunny Park]]에 이식되었다. 세리카도 팝픈뮤직에 처음으로 등장. EX 보면은 체력과 계단 처리력에 따라 개인차가 크게 갈리는 채보. IIDX의 싱글 어나더 패턴에서 동시치기를 줄인 느낌이 강하다. 등장 당시 레벨은 46이었는데, 46 3위에 해당하는[* 1위는 [[めうめうぺったんたん!!]] EX의 1530개, 2위는 プリンシプル EX의 1500개.] 1470개의 노트를 동시치기도 거의 없는 BPM 200짜리 계단과 난타로 뿌려대는 바람에 엄청난 체력곡으로 악명이 높아 결국 라피스토리아에서 47로 격상. 별다른 [[최후반살인]]은 없지만 중후반 부분 겹트릴은 게이지를 갉아먹기 쉽다. [[안미츠]] 추천. 하지만 하이퍼는 35에 비해선 좀 어렵지만 기본패턴이 세삼하게 나오니 그래도 클리어는 꼭하길바란다. 일반 성공 모션은 몸을 공처럼 말아서 앞으로 회전하고--[[smooooch・∀・]]--, 피버 성공 모션은 몸을 옆으로 돌리면서 회전한다. ~~[[나이트 엘프]]와 [[블러드 엘프]]의 점프 모션을 동시에 구사하는 세리카~~ 일반 승리 모션(FEVER 클리어가 아닌)에서는 세리카가 로봇을 소환하는데, 이 로봇은 [[Almagest|아무리 봐도]]… ~~아니면 [[零 -ZERO-|이건가...]]~~ == [[미라이다갓키]] == == [[유비트 시리즈]] == ||<-4><#bcbcbc><:> [[유비트 시리즈|{{{#000000 유비트}}}]] {{{#000000 난이도 체계}}}|| ||<:>난이도||<#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레벨||<:>4||<:>8||<:>10.0|| ||<:>노트 수||<:>439||<:>745||<:>966|| ||<:>BPM||<-3><:>200|| ||<-4><#bcbcbc><:>{{{#000000 아케이드 수록 버전 및 모바일 수록}}}|| ||<:>아케이드||<-3><:><#F8F8F8>[[유비트 소서|{{{#231816 유비트 소서}}}]] {{{#231816 (2014.01.01)}}}|| ||<:><|2>모바일||<-3><:><#F8F8F8>[[유비트 소서|{{{#231816 유비트 소서}}}]] {{{#231816 앨범}}} || ||<-3><:><#313131>[[beatmania IIDX|{{{#white beatmania IIDX}}}]] {{{#white 앨범}}}|| ||<:>플러스 모드||<-3><:><#313131>[[유비트(모바일판)/수록곡#s-2.2.1.3|{{{#white beatmania IIDX pack 3}}}]]|| * 관련 칭호 * [[유비트 소서]] ~ * 恋する☆宇宙戦争っ!!(사랑스런☆우주전쟁!!) : 모든 보면 클리어 * えいえいおー!ばばばば~ん!ぎゅ~って!!(아자아자-! 타타타~앙! 꼬옥~하고!) : 모든 보면에서 풀 콤보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비공식 난이도표/엑설런트/10레벨/1기)] [youtube(XKdiuOO734w)] EXT 채보 영상(셔터 마커) [youtube(TRZxlkj81FU)] EXT 채보 영상(플라워 마커) [youtube(uX2qlWow5Vc)] EXT EXC 영상 2014년 1월 [[bistro saucer]] FINAL 두번째 해금곡으로 이식 수록되었다. EXT 노트 수가 [[AIR RAID FROM THA UNDAGROUND]]보다 1개 적다. 유비트 소서 이후에서 1000개가 넘는 노트수의 곡들이 많이 등장해서 그렇지 상당한 물량곡이다. 다만 [[GAIA(BEMANI 시리즈)|처음과 중간의 16비트 패턴]]만 빼면 동시치기의 비중이 높아서 체감물량은 생각보다 적다. 사랑이 들어가서인지 중간중간에 나오는 ♡패턴을 만드는 것과, [[†渚の小悪魔ラヴリィ~レイディオ†|소악마]]랑 비슷한 패턴이 나오는게 인상적이다. 대다수의 유비트 유저의 평가는 하위권 내지 최하위권의 인식이 강하다. [[유비트 클랜]]의 대규모 난이도 조정때 강등이 안 되어서 10레벨 최하위권을 유지하였고, [[유비트 페스토]]의 10레벨 물렙곡 대량숙청에서도 살아남아 여전히 최하위권을 지키는 중. 배정받은 상수는 10.0이다. 다만 초견 난이도는 중간의 상하치기나 약간 난해한 8비트 배치나 갖가지 동시치기가 콤보를 조금 끊어먹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고난이도 스코어링이나 풀콤보 난이도는 상기한 이유 때문에 살짝 올라간다. 로켓 모양의 동시치기는 [[88배치]]로 처리하기에는 상당히 골때린다. 나오는것도 한손이 3개를 처리하려고하면 꼬이기때문에 다른 방법으로는 한쪽손에 2개를 할당하고 나머지가 다른손이 처리하도록 배치하면 손을 틀거나 할 필요 없이 팔의 속도만으로도 처리할 수 있다.[* 왼손 10,13오른손 15 왼손 2,5 오른손7 → 왼손 14 오른손 11,16 왼손6 오른손 3,8순으로 치는 의미] 처리력 자체가 약하다면 팔의 속도를 올리고 칠 수 있게 연습하자. 다만 저렇게 분할해서 치면 그렛이 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처음에는 적응하기 힘드므로 차라리 상단, 하단으로 좌, 우손을 나누어 치는것도 좋다. == [[BeatStream 시리즈]] == ||<-5> [[BeatStream]] 난이도 체계 || || || {{{#blue,#6495ed LIGHT}}} || {{{#orange,#ffa500 MEDIUM}}} || {{{#ff009f,#ff009e BEAST}}} || --{{{#444444,#bbbbbb NIGHTMARE}}}-- || || 레벨 || {{{#blue,#6495ed 4}}} || {{{#orange,#ffa500 8}}} || {{{#ff009f,#ff009e 10}}} || {{{#444444,#bbbbbb '''神'''}}} || || 노트수 || {{{#blue,#6495ed 200}}} || {{{#orange,#ffa500 505}}} || {{{#ff009f,#ff009e 872}}} || {{{#444444,#bbbbbb ?}}} || || BPM ||<-4> 200 || || 수록버전 ||<-4> [[BeatStream|{{{#e80c7a,#f31685 BeatStream}}}]] || [youtube(XSj61JfY1pk)] BEAST 난이도 PERFECT 영상 [youtube(HzVXZIapMwo)] NIGHTMARE 난이도 채보 재현 영상 BeatStream 아니무트라이브 로케테스트 당시 선공개된 NIGHTMARE 난이도가 클리어될 경우 모든 유저에게 정식 업데이트 시 [[蟲の棲む処]]를 통상 해금해주는 이벤트가 있었다. 그리고 실제로 클리어자가 등장하여 蟲の棲む処는 통상 해금되었다. [[그러나 이 사진이 표지로 사용되는 일은 없었다|그러나 정작 해당 보면이 정식 가동판에 수록되는 일은 없었다]]. 이 패턴은 시리즈 종료때까지 정식으로 수록되지는 않았지만, 만약 시리즈가 계속 되었다면 [[ゴーイング マイ ウェイ! ]]의 기타 마스터 보면처럼 나중에 응용되었을지도. == [[GITADORA 시리즈]] (GITADOROCK ver.) == [youtube(VZhmDM1hQSg)] 기타 MAS 패턴 [youtube(VL-fUvTHdVw)] 베이스 MAS 패턴 [youtube(cz4njRR1ke8)] 드럼 MAS 패턴 ||<-6> [[GITADORA 시리즈]]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00f,#0000ff BASIC}}} || {{{#ff8c00,#ff8c00 ADVANCED}}} || {{{#red,#ff0000 EXTREME}}} || {{{#purple,#ff7ffe MASTER}}} || ||<|3> 200 || {{{#red,#ff0000 기타 표준}}} || 3.30 || 5.15 || 6.95 || 8.40 || || {{{#00f,#0000ff 기타 베이스}}} || 3.65 || 5.10 || 5.70 || 6.55 || || {{{#green,#7fff7f 드럼매니아}}} || 1.60 || 5.15 || 7.05 || 8.00 || ||<-2> 최초 수록 버전 ||<-4> [[GITADORA Tri-Boost|{{{#ffef02,#fded00 GITADORA}}} {{{#fff Tri-Boost}}}]] || 2015년 10월 14일 [[GITADORA Tri-Boost]]의 해금 이벤트 GITADORA ROCK WAVE 제 2탄의 해금곡으로 수록되었다. 기타 어레인지 담당은 [[96]]. == [[DanceDanceRevolution]] == [include(틀:EXTRA SAVIOR)] [youtube(mxynRzZzI10)] CSP 플레이 영상 ||<-12> [[DanceDanceRevolution/난이도 체계|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 ||<|3> '''싱글 플레이''' ||<-2> {{{#blue,#0000ff BEGINNER}}} ||<-2> {{{#orange,#ffa500 BASIC}}} ||<-2> {{{#red,#ff0000 DIFFICULT}}} ||<-2> {{{#green,#7fff7f EXPERT}}} ||<-3> {{{#purple,#ff7ffe CHALLENGE}}} || ||<-2> {{{#blue,#0000ff 4}}} ||<-2> {{{#orange,#ffa500 7}}} ||<-2> {{{#red,#ff0000 12}}} ||<-2> {{{#green,#7fff7f 14}}} ||<-3> {{{#purple,#ff7ffe 17}}} || || {{{#blue,#0000ff 163}}} || {{{#blue,#0000ff 16}}} || {{{#orange,#ffa500 315}}} || {{{#orange,#ffa500 22}}} || {{{#red,#ff0000 493}}} || {{{#red,#ff0000 23}}} || {{{#green,#7fff7f 652}}} || {{{#green,#7fff7f 26}}} || {{{#purple,#ff7ffe 739}}} || {{{#purple,#ff7ffe 25}}} || {{{#purple,#ff7ffe 0}}} || ||<|3> '''더블 플레이''' ||<-2><|3> - ||<-2> {{{#orange,#ffa500 BASIC}}} ||<-2> {{{#red,#ff0000 DIFFICULT}}} ||<-2> {{{#green,#7fff7f EXPERT}}} ||<-3> {{{#purple,#ff7ffe CHALLENGE}}} || ||<-2> {{{#orange,#ffa500 8}}} ||<-2> {{{#red,#ff0000 13}}} ||<-2> {{{#green,#7fff7f 15}}} ||<-3> {{{#purple,#ff7ffe 17}}} || || {{{#orange,#ffa500 310}}} || {{{#orange,#ffa500 21}}} || {{{#red,#ff0000 491}}} || {{{#red,#ff0000 27}}} || {{{#green,#7fff7f 632}}} || {{{#green,#7fff7f 41}}} || {{{#purple,#ff7ffe 720}}} || {{{#purple,#ff7ffe 25}}} || {{{#purple,#ff7ffe 0}}} || || BPM ||<-11> 200 || || 아케이드 버전분류 ||<-11> [[DanceDanceRevolution A]] || 2017년 1월 26일 EXTRA SAVIOR로 이식되었다. DDR A 신곡 중 최초로 CHALLENGE보면이 수록된 곡이다. BGA는 [[니소히메]]와 마찬가지로 비트스트림에서 이식되었으며, 그래서 비트스트림의 범용 BGA도 같이 나온다. 싱글 챌린지 보면에 대한 평가는 한줄로 요약하자면 '''백문이 불여일견'''. 분명 채보를 영상으로 보게 된다면 난이도 치곤 생각만큼 배치가 어렵지도 않고 밀도도 크게 안 높아보이기 때문에 "이게 왜 17이지?" 라고 생각하기 쉽고, 경우에 따라선 15렙까지로도 보일 수 있지만 막상 밟아보면 후반부에 체력이 갉아먹히는 걸 체감할 수 있다. 물론 17 중에선 하급이어서 17 초심자는 도전할만한 난이도이지만 난이도 값은 충분히 하기 때문에 채보만 보고 모험 걸다간 폭사할 가능성이 높다. 싱글 익스퍼트의 경우는 사실상 챌린지를 열화시킨 패턴으로, '''노트 수가 678개'''로 '''14레벨 최대'''를 자랑한다. 이처럼 물량이 무식하게 많기 때문에 패턴이 안 꼬여있어도 동렙대 플레이어 기준으로는 상당히 벅찰텐데... 중간중간 허리틀기도 꽤나 섞여있기 때문에 사실상 체력 소모 자체가 탈 14급을 자랑한다. 단, 정박 위주이기 때문에 스코어링 난이도는 체력적 요소에 비해서는 그렇게 높진 않은 점이 위안거리. 그리고 더블 익스퍼트의 경우에는 8비트 체중이동 위주로 채보가 구성되어 있어 싱글에 비해서 체력적인 요소가 더 크다. 다만 숙련된 유저라면 단순한 박자 덕분에 고득점을 하기가 쉬우며 DDR 더블 플레이 15레벨 보면중에서는 정말 드물게 마벨러스 풀 콤보가 달성된 보면이기도 하다. [[분류:beatmania IIDX 19 Lincle의 수록곡]][[분류: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의 수록곡]][[분류:사운드 볼텍스 부스의 수록곡]][[분류:팝픈뮤직 Sunny Park의 수록곡]][[분류:미라이다갓키의 수록곡]][[분류:유비트 소서의 수록곡]][[분류:GITADORA Tri-Boost의 수록곡]][[분류:DanceDanceRevolution A의 수록곡]][[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