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합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悅}}}기쁠 열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心|{{{#000,#fff 心}}}]],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エツ{{{#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よろこ-ぶ}}}}}}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u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悅은 ''''기쁠 열''''이라는 [[한자]]로, '기쁘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6085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心金口山(PCRU)으로 입력한다. [[心]](마음 심)과 [[兌]](바꿀 태)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 용례 == === [[단어]] === * 희열([[喜]]悅) === [[인명]] === * [[니마이야 오에츠]]([[二]][[枚]][[屋]] [[王]]悦) * [[시이나 에쓰사부로]]([[椎]][[名]] 悦[[三]][[郎]]) * [[아이하나 에츠]]([[藍]][[花]] 悦) * [[왕열이]]([[王]]悦[[伊]]) * [[윤석열]]([[尹]][[錫]]悅) * 혼인보 도에츠([[本]][[因]][[坊]] [[道]]悦) * 혼인보 산에츠([[本]][[因]][[坊]] [[算]]悦) * 혼인보 슈에츠([[本]][[因]][[坊]] [[秀]]悦) === [[지명#s-2]] === * [[함열역]]([[咸]]悅[[驛]]) === [[일본어]] === * 음독 * 오음: エチ 한음: [[상용한자표|{{{#!htmlエツ}}}]] * えつらく (悦楽) ^^[[상용한자표|{{{#!html표내}}}]]^^ * きえつ (喜悦) ^^[[상용한자표|{{{#!html표내}}}]]^^ * 훈독 * よろこ-ぶ、よろこ-ばす、よし、や == 유의자 == * [[怡]](기쁠 이) * [[歡]](기쁠 환) * [[㐂]](기쁠 칠, 기쁠 희) * [[喜]](기쁠 희) == 상대자 == * [[慷]](슬플 강) * [[怛]](슬플 달) * [[悼]](슬퍼할 도) * [[惊]](슬플 량) * [[悲]](슬플 비) * [[哀]](슬플 애) * [[嗚]](슬플 오) * [[懊]](한할 오, 슬플 욱) * [[愴]](슬플 창) * [[凄]](슬플 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𥹲]](싸라기 대) * [[𣇋]](저물 만) * [[說]](말씀 설/달랠 세) * [[哾]](맛볼 설) * [[䬽]](강신제 세) * [[稅]](세금 세) * [[帨]](수건 세) * [[裞]](수의 세) * [[挩]](씻을 세) * [[祱]](작은 제사 세) * [[涗]](잿물 세) * [[蛻]](허물 세) * [[𨁑]](가시 밟을 열) * [[䂱]](갈아 없앨 예) * [[銳]](날카로울 예) * [[侻]](가벼울 탈) * [[梲]](막대기 탈/동자기둥 절) * [[脫]]/[[𨉋]](벗을 탈) * [[鮵]](작은 가물치 탈) * [[𩊭]](기울 태) * [[㟋]](깊고 펀펀한 모양 태) * [[駾]](말빨리달릴 태) * [[綐]](명주 태) * [[娧]](아름다울 태) * [[𩎰]](자루 혜) * [[𨹪]] * [[𦩃]] * [[𨌔]]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3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