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會}}}모일 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曰|{{{#000,#fff 曰}}}]],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6급 한자|{{{#000,#fff 준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イ, エ{{{#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あ-う, {{{#c88 あつ-まる, あつ-め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huì, kuà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會는 '''모일 회'''라는 [[한자]]로, '모이다', '모으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6703에 배당되어 있다. ||
[[파일:會갑골문.svg|width=100%]] || || 갑골문 || 자원에는 3가지 설이 있다. * [[상형자]] * 그릇 뚜껑을 본뜬 亼, 그릇을 본뜬 曰(갑골문에서는 口로 쓰기도 함)과 그 사이에 있는 고기를 본뜬 모습을 그린 [[상형자]]로 원래는 먹는 [[회]]를 뜻했으나, 나중에 [[가차]]되어 '모임'을 뜻하게 되고 [[膾]](회 회)가 새로 만들어졌다는 설. * 뚜껑이 있는 그릇 안에 밥과 반찬을 넣고 함께 끓이는 모양으로 [[燴]](모아 끓일 회)의 본자(本字)라는 설. * [[회의자]]: 모임을 뜻하는 [[亼]] 또는 [[人]](사람 인)과 [[增]](더할 증)의 생략형으로서 [[曾]](일찍, 거듭 증)이 합쳐진 [[회의자]]라는 설. 동사로 쓰이면 모으다, 모이다로 쓰며 명사로 쓸 경우엔 집회, 모임, 기회(機會), 시기(時機), 잠깐 동안, 짧은 시간(時間), 회계(會計) 등으로 쓰인다. 부사로 쓰이면 '때마침, 공교(工巧)롭게도'라고 쓰인다. 이 외에도 '반드시 ~ 해야 한다(have to ~, must ~)'나 미래시제를 뜻하는 '~할 것이다(will)'의 뜻도 있다. 프랑스 철학자 멘드비랑이 남긴 '나는 의욕한다. 고로 존재한다(Volo, ergo sum)'를 중국어로는 我會故我在(한국 한자음으로 '아회고아재')로 번역하는데, 이 때의 회(會)가 '의욕한다(will)'를 뜻한다. 고대 지명인 양주 회계군会稽郡을 읽을 때는 유독 hui가 아닌 콰이(kuài) 혹은 구이(guì)라고 읽는데 이는 현지의 발음을 따른 것이다. == 용례 == === [[단어]] === * 간담회(懇談會) * 개회(開會) * [[경회루]](慶會樓) * [[공청회]](公聽會) * [[교회]](敎會) * [[국회]](國會) * [[국회도서관]](國會圖書館), [[국회의사당]](國會議事堂), [[국회의원]](國會議員) * [[기회]](機會) * [[대전회통]](大典會通) * [[대회#s-1]](大會) * [[전당대회]](全黨大會) * [[동창회]](同窓會) * [[동호회]](同好會) * [[망년회]](忘年會) * [[면회]](面會) * [[밀회]](密會) * [[박람회]](博覽會) * 발표회(發表會) * [[사회]](司會) * [[사회자]](司會者) * [[사회]](社會) * [[가족사회학]](家族社會學), 국제사회(國際社會), [[사회간접자본]](社會間接資本), 사회보장(社會保障), 사회보험(社會保險), 사회복지(社會福祉), 사회상(社會相), [[사회성]](社會性), 사회적(社會的), [[사회주의]](社會主義) * [[시사회]](試寫會) * 연회(宴會) * [[위원회]](委員會) * [[상임위원회]](常任委員會) * 음악회(音樂會) * [[의회]](議會) * [[이사회]](理事會) * [[전시회]](展示會) * [[조회]](朝會/照會) * 좌담회(座談會) * [[집회]](集會) * [[청문회]](聽聞會) * 총회(總會) * 토론회(討論會) * [[협회]](協會) * 회견(會見) * [[기자회견]](記者會見) * [[회계]](會計) * [[공인회계사]](公認會計士), [[분식회계]](粉飾會計) * [[회관]](會館) * [[회담]](會談) * [[정상회담]](頂上會談) * 회동(會同) * [[회사]](會社) * 가족회사(家族會社), 금융회사(金融會社), [[보험회사]](保險會社), [[자회사]](子會社), [[제약회사]](製藥會社), [[지주회사]](持株會社), [[회사원]](會社員) * [[회식]](會食) * [[회원]](會員) * [[회의]](會議/會意) * 가족회의(家族會議), [[국무회의]](國務會議), 본회의(本會議), 연석회의(連席會議), 회의록(會議錄) * [[회장]](會長) * [[부회장]](副會長) * [[회화]](會話) * [[훈몽자회]](訓蒙字會) === [[고사성어]]/[[숙어]] === * 견강부회([[牽]][[強]][[附]]會) * 회자정리(會[[者]][[定]][[離]]) === [[인명]] === * [[능성 구씨]]의 항렬자로 쓰고 있다. 문서 참조. * [[연우진|김봉회]]([[金]][[奉]]會) * [[노회찬]]([[魯]]會[[燦]]) * [[아이자와 사야]](会[[沢]] [[紗]][[弥]]) * [[와타라이 히바리]]([[渡]]会 [[雲]][[雀]]) * [[유회승]]([[柳]]會[[勝]]) * [[이회창]]([[李]]會[[昌]]) * [[이회택]]([[李]]會[[澤]]) * [[후이|이회택(후이)]]([[李]]會[[澤]])[* 위의 인물과 한자까지 같은 동명이인이다.] * [[정윤회]]([[鄭]][[潤]]會) * [[종회]]([[鍾]]會) * [[주선회]]([[周]][[善]]會) * [[허문회]]([[許]][[文]]會) === [[지명#s-2]] === *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삼회리([[三]]會[[里]])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회현리(會[[賢]][[里]])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馬]][[山]]會[[原]][[區]]) * 경상남도 고성군 회화면(會[[華]][[面]]) *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佳]]會[[面]]) * 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會[[泉]][[面]]) *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會[[鎭]][[面]]) * 함경북도 [[회령군]](會[[寧]][[郡]]) *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서울)|회현동1~3가]] * [[쿄카이마에역]]([[教]]会[[前]][[駅]]) * [[회현역]](會[[賢]][[驛]]) * [[국회의사당역]]([[國]]會[[議]][[事]][[堂]][[驛]]) === [[창작물]] === * 십구공신회맹록([[十]][[九]][[功]][[臣]]會[[盟]][[錄]]) * 십오공신회맹록([[十]][[五]][[功]][[臣]]會[[盟]][[錄]]) * 십칠공신회맹록([[十]][[七]][[功]][[臣]]會[[盟]][[錄]]) * [[오공신회맹축]]([[五]][[功]][[臣]]會[[盟]][[軸]]) * [[완월회맹연]]([[玩]][[月]]會[[盟]][[宴]]) * 이십공신회맹록([[二]][[十]][[功]][[臣]]會[[盟]][[錄]]) * ダンジョンに出会いを求めるのは間違っているだろうか([[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 기타 === * [[일해회]]([[一]][[姟]]會) === [[일본어]] === ==== [[훈독]] ==== * 会(あ)う: 만나다 ==== [[음독#s-1]] ==== カイ. * 会席(かいせき): [[가이세키#s-2]] * 会社(かいしゃ): 회사. 주의할 점은 이 단어가 다른 명사와 합성되어 뒤에 올 경우 탁음화가 일어나 がいしゃ로 발음해야 한다는 것이다. 음독에서 탁음화가 일어나는 매우 드문 사례이다. * 株式会社(かぶしきがいしゃ): 주식회사 * 製造会社(せいぞうがいしゃ): 제조회사 * 貿易会社(ぼうえきがいしゃ): 무역회사 == 유의자 == * [[社]](모일 사) * [[集]](모을 집) * [[輯]](모을 집) * [[緝]](모을 집, 이을 즙) * [[撮]](모을 촬) * [[聚]](모을 취) * [[合]](합할 합) == 상대자 == * [[訣]](이별할 결) * [[離]](떠날 리) * [[別]](다를 별)[* '다르다'라는 뜻 외에 '나누다', '헤어지다'라는 뜻이 있다.] * [[散]](흩을 산, 흩어질 산)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정자 會 * [[曾]](일찍 증)[* 會과는 人 아래 조그만 한 획 차이라 혼동하기 쉽다.] * 신자체 会 * [[夽]](높을 운) == 기타 == 속자로 㑹[* 거의 쓰이지 않는다]가 쓰이기도 한다. 다른 속자로는 간체자인 会를 쓴다 일본 역사상 [[막말]]의 주요 세력 중 하나였던 [[아이즈 번]]의 상징이 이 회자이다.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6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