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本}}}근본 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木|{{{#000,#fff 木}}}]], 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ホ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もと{{{#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ě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근본을 뜻하는 [[한자]]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근본 || || {{{-1 '''음'''}}} ||본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běn || || {{{-1 '''[[광동어]]'''}}} ||bun2 || || {{{-1 '''[[객가어]]'''}}} ||pún || || {{{-1 '''[[민북어]]'''}}} ||buōng || || {{{-1 '''[[민동어]]'''}}} ||sáuk || || {{{-1 '''[[민남어]]'''}}} ||pún[*文 [[문독]]] / pńg[*白 [[백독]]] || || {{{-1 '''[[오어]]'''}}} ||pen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ホン || || {{{-1 '''훈독'''}}} ||もと || ||<-3> || ||<-2> '''[[베트남어]]''' ||bản, bổn || [[유니코드]]에는 U+672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DM(木一)로 입력한다. [[木]]([[나무 목]])의 아랫부분에 [[一]]을 그어, 나무의 뿌리를 나타내는 [[지사자]]이다. 지사자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주 인용된다. [[책]]이라는 뜻도 있다. == 용례 == '''한국 한자어에서 '본'이 들어가는 단어는 모두 다 本이다.''' === [[단어]] === * '''[[본#s-1]](本)''' * [[각본]]([[脚]]本) * [[각본가]]([[脚]]本[[家]]) * 간행본([[刊]][[行]]本) * [[견본]]([[見]]本) * 교본([[敎]]本) * [[국본]]([[國]]本) * [[근본]]([[根]]本) * [[기본]]([[基]]本) * [[기본권]]([[基]]本[[權]]), [[기본급]]([[基]]本[[給]]), [[기본법]]([[基]]本[[法]]), 기본적([[基]]本[[的]]) * 도본([[圖]]本) * 등본([[謄]]本) * 발본([[拔]]本) * 발본적([[拔]]本[[的]]) * 본거지(本[[據]][[地]]) * [[본격]](本[[格]]) * [[본고사]](本[[考]][[査]]) * [[본과]](本[[科]]) * [[본관]](本[[貫]]) * 본국(本[[國]]) * [[본능]](本[[能]]) * [[귀소본능]]([[歸]][[巢]]本[[能]]), 본능적(本[[能]][[的]]) * 본디(本디) * 본래(本[[來]]) * 본래적(本[[來]][[的]]) * 본말(本[[末]]) * [[본명]](本[[名]]) * 본문(本[[文]]) * [[본부]](本[[部]]) * 본부장(本[[部]][[長]]) * 본분(本[[分]]) * [[본사]](本[[社]]) * 본생(本[[生]]) * [[본선]](本[[線]]) * [[본성]](本[[性]]) * 본시험(本[[試]][[驗]]) * 본심(本[[心]]) * 본연(本[[然]]) * 본업(本[[業]]) * 본의(本[[意]]) * [[본인]](本[[人]]) * 본자(本[[字]]) * 본전(本[[錢]]) * 본점(本[[店]]) * 본죄(本[[罪]]) * 본질(本[[質]]) * 본질적(本[[質]][[的]]) * 본체(本[[體]]) * [[본토]](本[[土]]) * [[본향]](本[[鄕]]) * [[사본]]([[寫]]本) * [[원본]] ([[原]]本) * [[필사본]]([[筆]][[寫]]本) * [[자본]]([[資]]本) * [[사회간접자본]]([[社]][[會]][[間]][[接]][[資]]本), [[자본가]]([[資]]本[[家]]), [[자본금]]([[資]]本[[金]]), 자본재([[資]]本[[財]]), [[자본주의]]([[資]]本[[主]][[義]]) * [[장본]]([[藏]]本) * [[제본]]([[製]]本) * 초본([[初]]本) * 탁본([[拓]]本) * [[파본]]([[破]]本) * 판본([[板]]本) * [[표본]]([[標]]本) * 활자본([[活]][[字]]本) === [[고사성어]]/[[숙어]] === * 발본색원([[拔]]本[[塞]][[源]]) * 추원보본([[追]][[遠]][[報]]本) === [[인명]] === [[인명용 한자]]에서 음이 '본'인 한자는 本밖에 없기 때문에 정확한 한자를 몰라도 이 문서에 적을 수 있다. * [[구본근]]([[具]]本[[根]]) * [[구본길]]([[具]]本[[佶]]) * [[구본능]]([[具]]本[[綾]]) * [[구본무]]([[具]]本[[茂]]) * [[구본범]]([[具]]本[[範]]) * [[구본상]]([[具]]本[[祥]]) * [[구본선]]([[具]]本[[善]]) * [[구본수]]() * [[구본승]]([[具]]本[[承]]) * 구본식() * [[구본영]]([[具]]本[[玲]]) * [[구본웅]]([[具]]本[[雄]]) * [[구본준]]([[具]]本[[俊]]) * [[구본찬]]([[具]]本[[粲]]) * [[구본철]]([[具]]本[[喆]]) * [[구본철(축구선수)|구본철]](축구선수)() * [[구본택]]() * [[구본항]]() * [[구본혁]]([[具]]本[[奕]]) * [[구본화]]() * [[구본환(1960)|구본환]]([[具]]本[[煥]]) 前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 [[구본흥]]([[具]]本[[興]]) * [[유타(NCT)|나카모토 유타]]([[中]]本 [[悠]][[太]]) * [[마스모토 키라]]([[増]]本 [[綺]][[良]]) * [[마츠모토 리카]]([[松]]本 [[梨]][[香]]) * [[모본왕]]([[慕]]本[[王]]) * [[사카모토]]([[坂]]本, [[阪]]本) * [[신본기]]([[辛]]本[[基]]) * [[염입본]]([[閻]][[立]]本) * [[하시모토 미유키]]([[橋]]本 みゆき) * [[혼고 유즈하]](本[[郷]] [[柚]][[巴]]) * [[혼다 히토미]](本[[田]][[仁]][[美]]) * [[혼도 카에데]](本[[渡]][[楓]]) * [[마츠모토 히로야]]([[松]]本 [[寛]][[也]]) * [[하시모토 아츠시]](橋本 [[淳]]) === [[지명#s-2]] === *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山]]本[[洞]]) * [[구마모토]]([[熊]]本) * [[구마모토 성]]([[熊]]本[[城]]) * [[롯폰기]]([[六]]本[[木]]) * [[일본]]([[日]]本)[* 하지만 국제경기나 일본을 우선으로 할땐 대부분 にっぽん으로 부른다.] === 지하철역 === * [[산본역]]([[山]]本[[驛]]) * 본동 === [[창작물]] === * [[본생경]](本生經)/[[본생담]](本[[生]][[譚]]) === 기타 === * [[근본론]]([[根]]本[[論]]) * [[밀본]]([[密]]本) * [[본계]](本[[計]]) * [[왈본]]([[曰]]本) * [[퇴근본능]]([[退]][[勤]]本[[能]]) * [[한본어]]([[韓]]本[[語]]) * [[大島優子卒業コンサート in 味の素スタジアム~6月8日の降水確率56%(5月16日現在)、てるてる坊主は本当に効果があるのか?~]]: [[오오시마 유코]]의 졸업 콘서트명 === [[일본어]] === [[일본어]]에서는 책을 세는 단위로서 本(ほん)을 쓴다. 일본어에서 本이 '책'이라는 뜻이기 때문인데, [[한국어]]에서 '권(券, 책 권)'을 쓰는 것과는 다르다. 한국에서 책에 本을 쓰는 경우는 각본, 대본 같은 경우에만 쓰인다. == 유의자 == * [[氐]](근본 저)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東]](동녘 동) * [[來]](올 래) * [[末]](끝 말) * [[木]](나무 목) * [[未]](아닐 미) * [[束]](묶을 속) * [[朿]](가시 자, 묶을 속)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6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