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涼}}}서늘할 량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水|{{{#000,#fff 水}}}]],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リ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すず-しい, すず-む, {{{#c88 うす-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iáng, lià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涼은 ''''서늘할 량''''이라는 [[한자]]로, '서늘하다', '시원하다', '얇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서늘하다 || || {{{-1 '''음'''}}} ||량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liáng || || {{{-1 '''[[광동어]]'''}}} ||loeng^^4^^ || || {{{-1 '''[[객가어]]'''}}} ||liòng || || {{{-1 '''[[민동어]]'''}}} ||liòng || || {{{-1 '''[[민남어]]'''}}} ||liâng[*文 [[문독]]] / niû[*白 [[백독]]] || || {{{-1 '''[[오어]]'''}}} ||lian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リョウ || || {{{-1 '''훈독'''}}} ||すず-しい, すず-む, [br]''うす-い'', ''すず-やか'' || ||<-3> || ||<-2> '''[[베트남어]]''' ||lương || [[유니코드]]에는 U+6DB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水卜口火(EYRF)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京]](서울 경)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체자]]로는 왼쪽에 삼수변 대신 [[冫]](이수변)이 붙은 凉(U+51C9)이 있다. [[한국어문회]]와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涼을 표준으로 삼고 있으나 대중적으로는 凉도 많이 쓰이는 실정이다. [[청량리]](淸凉里)가 대표적인 사례. 심지어 [[완성형]]에는 凉은 수록되어 있지만 涼은 없다. 중국에서는 凉을, 일본에서는 涼을 정식 자체로 인정하고 있다. == 용례 == === [[단어]] === * [[납량]]([[納]]涼) * 황량([[荒]]涼) * 처량([[凄]]涼) * 청량([[淸]]涼) * [[청량음료]]([[淸]]涼[[飮]][[料]])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나츠카와 마스즈]]([[夏]][[川]] [[真]]涼) * [[스즈노 유우]](涼[[野]] ユウ) * [[스즈노 이토]](涼[[野]] いと) * [[스즈미야 하루히]](涼[[宮]] ハルヒ) * [[유즈키 료카]]([[柚]][[木]] 涼[[香]]) * [[이리우치지마 사야카]]([[入]][[内]][[嶋]] 涼) * [[이치무라 스즈카]]([[市]][[村]] 涼[[風]]) * [[츠노다 료타로]]([[角]][[田]] 涼[[太]][[朗]]) * [[쿠리바 료코]]([[操]][[歯]] 涼[[子]]) * [[타카하시 료스케(이니셜D)|타카하시 료스케]]([[高]][[橋]] 涼[[介]]): [[이니셜D]]의 등장인물 === [[지명#s-2]] === * 핑량([[平]]凉): 중국 [[간쑤성]]의 도시 * 청량([[淸]]凉): 유명한 서울 [[청량리]]를 비롯해 한국 각지의 지명으로 쓰인다.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청량리 *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동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청량동길: 인근 청량사와 관련이 있는 지명으로 보인다. 리 이름은 황산리이다. *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청량로 *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청량산길 * 경상북도 안동시 청량로 === [[창작물]] === * 薬師寺涼子の怪奇事件簿([[야쿠시지 료코의 괴기 사건부]]) == 유의자 == * [[冷]](찰 랭) * [[凜]](찰 름) * [[凄]](찰 처) * [[寒]](찰 한) == 상대자 == * [[暖]](따뜻할 난) * [[暑]](더울 서) * [[熱]](더울 열) * [[溫]](따뜻할 온)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翞]](까치 걷는 모양 강) * [[𣨣]](시체 강) * [[弶]](창애 강) * [[鯨]](고래 경) * [[倞]](굳셀 경) * [[鍄]](땅 이름 경) * [[婛]](여자의 자 경) * [[黥]](자자할 경) * [[猄]](짐승 이름 경) * [[掠]](노략질할 략) * [[䝶]](구실 량) * [[䁁]](눈병 날 량) * [[諒]](살펴알 량) * [[綡]](수건 량) * [[惊]](슬플 량) * [[㹁]](얼룩소 량) * [[輬]](와거 량) * [[䣼]](음료 량) * [[晾]](쪼일 량) * [[淳]](순박할 순) * [[椋]](푸조나무 양) * [[䃄]](경) * [[𠶛]] * [[𡹡]] * [[𡌿]] * [[𧌬]] * [[𨂙]] [[분류:준3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