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리듬게임 수록곡,rd1=竹(BMS))]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竹}}}대 죽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竹,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チ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たけ{{{#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ú{{{#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竹획순.gif|width=130]]}}}||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나무 죽/대 죽 '[[대나무]]'라는 뜻이 있는 한자이며, 대죽머리(⺮)의 제부수자이다. 부챗살이라는 부수적인 뜻도 가지고 있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대나무, 대 || || {{{-1 '''음'''}}} ||죽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zhú || || {{{-1 '''[[광동어]]'''}}} ||zuk^^1^^ || || {{{-1 '''[[객가어]]'''}}} ||chuk || || {{{-1 '''[[민북어]]'''}}} ||dṳ̆ || || {{{-1 '''[[민동어]]'''}}} ||dé̤ṳk|| || {{{-1 '''[[민남어]]'''}}} ||tek / tiak / tiok || || {{{-1 '''[[오어]]'''}}} ||tsoq (T4) || ||<-3> || ||<|2> '''[[일본어]]''' || {{{-1 '''음독'''}}} ||チク || || {{{-1 '''훈독'''}}} ||たけ || ||<-3> || ||<-2> '''[[베트남어]]''' ||trúc || [[유니코드]]에는 U+7AF9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ㄓㄨˊ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竹(H)로 입력한다. 부수 형태로 된 것은 두 개가 있다. 하나는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B 영역의 U+25AD7(𥫗), 또 하나는 한중일 부수 보충 영역의 U+2EAE(⺮)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7%AB%B9-bronze.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7%AB%B9-bigseal.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7%AB%B9-seal.svg.png|bgcolor=#ffffff]] 竹은 당연히 대나무의 모습을 본떠서 만든 글자이다. [[상형자]]의 변화를 예시로 들때 자주 써먹는다. 참고로 [[가타카나]] [[ケ]]는 竹이 아닌 [[介]](낄 개)가 기원이다. [[亇]](망치 마) 또한 竹과는 관련이 없다. 정확히 竹의 반쪽짜리는 [[个]](낱 개)이며, 현재 중국에서 [[個]]/[[箇]]의 간체자로 쓴다. == 용례 == === [[단어]] === * [[관음죽]]([[觀]][[音]]竹) * [[죽간]](竹[[簡]]) * [[죽림]](竹[[林]]) * 죽력(竹[[瀝]]) - 대나무 [[수액]] * [[죽력고]](竹[[瀝]][[膏]]) * [[죽부인]](竹[[夫]][[人]]) * [[죽순]](竹[[筍]]) * 죽여(竹[[茹]]) - 대나무의 속껍질 * [[죽염]](竹[[鹽]]) * [[죽창]](竹[[槍]]) * [[폭죽]]([[爆]]竹) === [[고사성어]]/[[숙어]] === * [[우후죽순]]([[雨]][[後]]竹[[筍]]) * [[죽마고우]](竹[[馬]][[故]][[友]]) * [[파죽지세]]([[破]]竹[[之]][[勢]]) === [[인명]] === 竹은 일본인의 성씨에 자주 쓰이는 한자이다. * [[고죽리]]([[高]]竹[[離]]) * 김죽파([[金]]竹[[波]]): [[가야금]] 연주가 * [[단치쿠 류호]]([[段]]竹 [[竜]][[包]]) * 리봉죽([[李]][[鳳]]竹): [[북한]]의 [[최고인민회의]] 12기 의원. * [[쇼치쿠 우메요]]([[松]]竹 [[梅]][[世]]) * [[시미즈 나요타케]]([[清]][[水]] [[名]][[夜]]竹) * [[정비석|정서죽]]([[鄭]][[瑞]]竹): 소설가 [[정비석]]의 본명 * [[죽죽]](竹竹) - [[신라]]의 장군 * [[사타케]](佐竹), [[타케다]](竹田), 타케시타(竹下), [[타케우치]](竹内), 타케타츠(竹達) 등의 성씨를 사용하는 모든 일본인. === [[지명#s-2]] === * [[송죽동(수원)|송죽동]]([[松]]竹[[洞]]) * [[신주현]]([[新]]竹[[縣]]) * [[신주시]]([[新]]竹[[市]]) * 오죽헌([[烏]]竹[[軒]]) - [[율곡 이이]]의 생가 * [[오타케시]]([[大]]竹[[市]]) * [[일죽면]]([[一]]竹[[面]]) * 죽교동(竹[[橋]][[洞]]) * [[죽도]](竹[[島]]) - 한국과 일본에 여럿 있는 섬.[* [[독도]]의 일본식 표기로도 쓰인다.] * [[죽령]](竹[[嶺]]) * [[죽림동]](竹[[林]][[洞]]) - 부산, 사천, 춘천, 청주에 있는 동네 * [[죽동동]](竹[[洞]][[洞]]) * [[죽산면]](竹[[山]][[面]]) * 죽왕면(竹[[旺]][[面]]) * [[죽전동(수지구)|죽전동]](竹[[田]][[洞]]) * 죽헌동(竹[[軒]][[洞]]) * [[타케하라시]](竹[[原]][[市]]) * [[죽전역]](竹[[田]][[驛]]) * [[죽령역]](竹[[嶺]][[驛]]) * [[죽동역]](竹[[東]][[驛]]) * [[죽림온천역]](竹[[林]][[溫]][[泉]][[驛]]) === [[창작물]] === *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 [[타케토리모노가타리]](竹[[取]][[物]][[語]]) * [[竹取飛翔 ~ Lunatic Princess]]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竹은 기초적인 한자이기는 하나 '대나무'라는 의미 외에는 일반적인 사용례가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여 그다지 볼일이 많지가 않다. 대신 그것의 부수형태인 ⺮(대죽머리)부는 1,000여개에 이르는 한자들이 부수로 삼기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진다. 참고로 대죽머리는 [[강희자전]]에서 118번째 부수로 분류되어있다. [[분류:준4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