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粥}}}죽 죽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米|{{{#000,#fff 米}}}]], 6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2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준특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シュク}}}}}}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かゆ}}}}}}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zhōu{{{#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粥은 ''''죽 죽''''이라는 [[한자]]로, '[[죽]]', '팔다'를 뜻한다. == 상세 == ||<-4><#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죽 ||팔다 || || {{{-1 '''음'''}}} ||죽 ||육 || ||<-4>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zhōu ||yù || || {{{-1 '''[[광동어]]'''}}} ||zuk^^1^^ ||juk^^6^^ || || {{{-1 '''[[객가어]]'''}}} ||chuk ||yuk || || {{{-1 '''[[민북어]]'''}}} ||cṳ̆ ||ṳ̆ || || {{{-1 '''[[민동어]]'''}}} ||cé̤ṳk ||ṳ̆k || || {{{-1 '''[[민남어]]'''}}} ||chiok ||io̍k || || {{{-1 '''[[오어]]'''}}} ||tsoq (T4) ||hhioq (T5) || ||<-4> || ||<|2> '''[[일본어]]''' || {{{-1 '''음독'''}}} ||{{{#c88 シュク}}} ||{{{#c88 イク}}} || || {{{-1 '''훈독'''}}} ||{{{#c88 かゆ}}} ||{{{#c88 ひさ-ぐ}}} || ||<-4> || ||<-2> '''[[베트남어]]''' ||chúc ||dục || [[유니코드]]에는 U+7CA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FDN(弓火木弓)으로 입력한다. 이 글자의 본자(本字)는 鬻(팔 육)[* U+9B3B, 창일수입법: NNMRB(弓弓一口月)] 자이다. 鬻자는 [[米]](쌀 미)자와 [[鬲]](솥 력) 자, 그리고 [[弓]](활 궁)자 두 개가 합쳐진 [[회의자]]로, 여기서 弓자는 솥에서 김이 올라오는 모습을 본뜬 것이다. 즉, 솥에 쌀을 넣고 끓이는 모습을 본떠 '죽'이라는 뜻을 나타냈다. 그런데 이후 鬻 자가 [[가차자|가차]]되어 '팔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는 한편, 鬻 자에서 鬲 자를 생략한 粥자가 나타나면서, 粥 자와 鬻자의 의미가 분화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비록 두 글자 모두 매우 드물게 쓰이나) 오늘날에는 粥자는 주로 '죽', 鬻자는 '팔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이체자로 儥가 있다.] 한편 이 글자가 '팔 육'으로 쓰일 때는 [[𧶠]]자와 통자(通字)이나, 𧶠자는 [[형성자]]의 성부(聲符)로만 쓰일 뿐 실제로는 전혀 쓰이지 않는다. [[티베트]]식 국수/수제비 요리인 툭빠(ཐུག་པ)와 동계어라는 설도 있다. == 용례 == === [[단어]] === * 고기식외조모태죽활호([[古]][[豈]][[食]][[外]][[祖]][[母]][[太]]粥[[活]][[乎]]) * 궤죽채([[饋]]粥[[債]]) * 맥죽화수([[麥]]粥[[和]][[水]]) * 언인언 냉죽손([[言]][[人]][[言]] [[冷]]粥[[飧]]) * 열죽접설([[熱]]粥[[接]][[舌]]) * '''[[죽]]'''(粥) * 갈분죽([[葛]][[粉]]粥) * 강분죽([[薑]][[粉]]粥) * 강죽([[糠]]粥) * 욕가식 내강죽([[欲]][[加]][[食]] [[乃]][[糠]]粥) * 갱죽([[羹]]粥) * 거승죽([[巨]][[勝]]粥) * 건채죽([[乾]][[菜]]粥) * 계란죽([[鷄]][[卵]]粥) * [[닭죽|계죽]]([[鷄]]粥) * [[곤죽]](곤粥) * [[과루죽]]([[瓜]][[蔞]]粥) * 구기자죽([[枸]][[杞]][[子]]粥) * 구기죽([[枸]][[杞]]粥) * 구수죽([[口]][[數]]粥) * [[국묘죽]]([[菊]][[苗]]粥) * 나복자죽([[蘿]][[葍]][[子]]粥) * 나복죽([[蘿]][[葍]]粥) * 낙죽([[酪]]粥) * 낙화생죽([[落]][[花]][[生]]粥) * [[납팔죽]]([[臘]][[八]]粥) * 녹각죽([[鹿]][[角]]粥) * 녹두유죽([[綠]][[豆]][[乳]]粥) * 녹신죽([[鹿]][[腎]]粥) * 논인과우 유철냉죽([[論]][[人]][[過]][[尤]] [[類]][[啜]][[冷]]粥) * 능실죽([[菱]][[實]]粥) * 담인사 여끽냉죽([[談]][[人]][[事]] [[如]][[喫]][[冷]]粥) * 담채죽([[淡]][[菜]]粥) * 대구죽([[大]][[口]]粥) * 도미죽([[荼]][[蘼]]粥) * [[도토리죽]](도토리粥) * [[팥죽|동지죽]]([[冬]][[至]]粥) * 두죽([[豆]]粥) * 녹두죽([[綠]][[豆]]粥) * 동지두죽([[冬]][[至]][[豆]]粥) * 동지두죽애([[冬]][[至]][[豆]]粥[[饐]]) * 변두죽([[藊]][[豆]]粥) * 적두죽([[赤]][[豆]]粥) * 둘죽([[㐙]]粥/[[頭]][[乙]]粥/[[杜]][[乙]]粥) * 마죽([[馬]]粥) * 마죽통([[馬]]粥[[桶]]) * 매죽([[梅]]粥) * 매화죽([[梅]][[花]]粥) * [[문동죽]]([[門]][[冬]]粥) * 미죽([[米]]粥) * 삼미죽([[三]][[米]]粥) * 어미죽([[御]][[米]]粥) * 조미죽([[棗]][[米]]粥) * 미죽([[穈]]粥) * [[방풍죽]]([[防]][[風]]粥) * [[흰죽|백죽]]([[白]]粥) * 백합죽([[百]][[合]]粥) * 복령죽([[茯]][[苓]]粥) * 비지죽(비지粥) * [[빼때기죽]](빼때기粥) * 사속죽([[死]][[粟]]粥) * 산사죽([[山]][[査]]粥) * 산수유죽([[山]][[茱]][[萸]]粥) * [[산약죽]]([[山]][[藥]]粥) * 산우죽([[山]][[芋]]粥) * 삼선죽([[三]][[仙]]粥) * [[상이죽]]([[桑]][[耳]]粥) * 상자죽([[橡]][[子]]粥) * 생선죽([[生]][[鮮]]粥) * [[서여죽]]([[薯]][[蕷]]粥) * 석화죽([[石]][[花]]粥) * [[선인죽]]([[仙]][[人]]粥) * 소마죽([[蘇]][[麻]]粥) * 소임죽([[蘇]][[荏]]粥) * 소자죽([[蘇]][[子]]粥) * 송기죽([[松]][[肌]]粥) * 송엽죽([[松]][[葉]]粥) * 송죽([[松]]粥) * 양귀죽([[禳]][[鬼]]粥) * 양신죽([[羊]][[腎]]粥) * 양원죽([[養]][[元]]粥) * 양육죽([[羊]][[肉]]粥) * [[어죽]]([[魚]]粥) * 청어죽([[靑]][[魚]]粥) * 언타사 식냉죽([[言]][[他]][[事]] [[食]][[冷]]粥) * 연인죽([[蓮]][[仁]]粥) * 연자죽([[蓮]][[子]]粥) * 오류죽([[午]][[留]]粥) * 요기죽([[饒]][[氣]]粥) * 우분죽([[藕]][[粉]]粥) * 우유죽([[牛]][[乳]]粥) * 우죽([[牛]]粥) * 육선죽([[六]][[仙]]粥) * [[육죽]]([[肉]]粥) * [[밤죽|율자죽]]([[栗]][[子]]粥) * 의이죽([[薏]][[苡]]粥) * [[인삼죽]]([[人]][[蔘]]粥) * 인유죽([[人]][[乳]]粥) * 자소죽([[紫]][[蘇]]粥) * [[잣죽]](잣粥) * [[저신죽]]([[豬]][[腎]]粥) * [[전복죽]]([[全]][[鰒]]粥) * 전죽([[饘]]粥) * [[재강죽|주조죽]]([[酒]][[糟]]粥) * 죽력죽([[竹]][[瀝]]粥) * 죽엽죽([[竹]][[葉]]粥) * 지마죽([[芝]][[麻]]粥) * 지황죽([[地]][[黃]]粥) * 진군죽([[眞]][[君]]粥) * 진자죽([[榛]][[子]]粥) * 청량죽([[靑]][[梁]]粥) * [[청모죽]]([[靑]][[麰]]粥) * [[콩나물죽]](콩나물粥) * [[타락죽]]([[駝]][[酪]]粥) * 포죽([[匏]]粥) * 하추죽([[河]][[樞]]粥) * [[잣죽|해송자죽]]([[海]][[松]][[子]]粥) * 행도죽([[杏]][[桃]]粥) * 행인죽([[杏]][[仁]]粥) * 행죽([[杏]]粥) * [[소행죽]]([[蘇]][[杏]]粥) * 호도죽([[胡]][[桃]]粥) * 호마죽([[胡]][[麻]]粥) * [[호박죽]](호박粥) * 홍합죽([[紅]][[蛤]]粥) * [[황정죽]]([[黃]][[精]]粥) * 흑임자죽([[黑]][[荏]][[子]]粥) * 희죽([[稀]]粥) * [[팥죽]](팥粥) * 물렁팥죽(물렁팥粥) * 죽만(粥[[幔]]) * 죽반승(粥[[飯]][[僧]]) * 죽사발(粥[[沙]][[鉢]]) * 죽식(粥[[食]]) * 죽식간(粥[[食]][[間]]) * 죽약(粥[[藥]]) * 죽일(粥[[溢]]) * 죽조(粥[[鳥]]) * [[죽조반]](粥[[早]][[飯]]) * 죽통(粥[[筩]]) * 진전죽 비사추([[盡]][[煎]]粥 [[鼻]][[泗]][[墜]]) * 피죽새([[稷]]粥[[鳥]]) * 호로로피죽새([[胡]][[盧]][[盧]][[稷]]粥[[鳥]]) * [[훈육]]([[葷]]粥) === [[고사성어]]/[[숙어]] === * 조반석죽([[朝]][[飯]][[夕]]粥) === [[인명]] === === [[지명#s-2]] === * [[광주광역시]] [[북구(광주광역시)|북구]] [[설죽로]]([[設]]粥[[路]])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賣]](팔 매) * [[𧶠]](팔 육) * [[鬻]](죽 죽, 팔 육) == 상대자 == * [[購]](살 구) * [[買]](살 매)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𢐷]]^^[⿲弓曾弓]^^(잡을 강) * [[𢑌]]^^[⿲弓羹弓]^^(국 갱)[* [[羹]](국 갱)의 [[동자#s-2]]] * [[䰜]](다리굽은솥 력) * [[𢐾]]^^[⿲弓⿱⿻土从糸弓]^^(끓어넘칠 발) * [[𢐲]]^^[⿲弓番弓]^^(기를 번) * [[𢐌]]^^[⿲弓束弓]^^(삶은나물 속)[* [[餗]](삶은나물 속)의 [[동자#s-2]]] * [[𩱠]]^^[⿲弓鬵弓]^^(용가마 심)[* [[鬵]](용가마 심)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㢽]](미끼 이)[* [[餌]](미끼 이)의 [[동자#s-2]]] * [[㣃]](팔 육, 죽 죽) * [[𢐼]]^^[⿲弓煑弓]^^(삶을 자) * [[𢐹]]^^[⿲弓亶弓]^^(죽 전)[* [[饘]](죽 전)의 [[동자#s-2]]] * [[𢐨]]^^[⿲弓芻弓]^^/[[𢐺]]^^[⿲弓⿱⿱⿻千龷凵勾弓]^^(볶을 초) * [[弼]]/[[弻]](도울 필) * [[𢐁]]^^[⿲弓糸弓]^^(시위 현)[* [[弦]](미끼 이)의 [[속자]]] * [[𢏝]]^^[⿲弓弓弓]^^(주) * [[𢐐]]^^[⿲弓系弓]^^(현) * [[𩱒]]^^[⿲弓⿱古鬲弓]^^(호) * [[𢏺]] * [[𢐆]]^^[⿲弓吕弓]^^ * [[𭛂]]^^[⿲弓孛弓]^^ * [[𢐥]]^^[⿲弓䍃弓]^^ * [[𢐬]]^^[⿲弓䚻弓]^^ * [[𢐮]]^^[⿲弓畨弓]^^ * [[𮫛]]^^[⿲弓⿳蓔口⿵𠔿丅弓]^^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𥪷]]^^[⿱粥立]^^(삶을 심)[* [[燖]](삶을 심)의 [[동자#s-2]]] * [[𪆀]](새이름 죽) * [[鬻]](죽 죽, 팔 육) * [[𢐫]]^^[⿱粥今]^^ * [[𤳕]]^^[⿱粥田]^^ * [[𮌿]]^^[⿱粥肉]^^ [[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