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縛}}}얽을 박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糸|{{{#000,#fff 糸}}}]], 1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バク, {{{#c88 ハク}}}}}}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しば-る, {{{#c88 いまし-め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f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縛은 ''''얽을 박''''이라는 [[한자]]로, '얽다'를 뜻한다. [[일본어]]에서는 [[일본의 상용한자|상용한자]]로 지정되어있다. 아래에 보면 생각보다 "묶는다"라는 의미의 한자어가 많지 않음을 볼 수 있다. 한국에서 '박'으로 읽는 글자는 일본어로도 대체로 [[は|ハク]](하쿠)에 대응되나 이 글자는 특이하게도 バク로 탁음에 대응된다.[* 博을 일부 한자어에서 バク로 읽기는 한다. 상용한자표에서는 흔치 않은 음으로 처리되어있다.] 상용한자의 범위 내에서 한국 한자음이 '박'인 글자 중 일본 한자음이 バク가 되는 글자는 이 글자뿐이다. [[베트남어]] 한자음으로는 phược(프억)이나 phọc(폭)이다.[[https://www.tudienabc.com/tra-han-tu/bo-mich/tu-han-phuoc-phoc/id-2274/radical_page:3|#]] 그러나 실제 베트남어 단어로는 buộc(부옥)이 자주 쓰이는 것 같다.[[https://zh.wiktionary.org/wiki/bu%E1%BB%99c|#]]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7E1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FIBI(女火戈月戈)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糸]](가는 실 멱)과 음을 나타내는 [[尃]](펼 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결박]]([[結]]縛) * [[속박]]([[束]]縛) * [[주박]]([[呪]]縛): 일본에서만 쓰는 말이다. 주술로 속박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 [[포박]]([[捕]]縛) === [[고사성어]]/[[숙어]] === * [[자승자박]]([[自]][[繩]][[自]]縛) - "자기 끈에 자기가 묶인다"라는 뜻으로, [[자업자득]](自業自得)과 유사한 의미이다.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アイシテの呪縛~Je vous aime~]] == 유의자 == * [[糾]](얽을 규) * [[絡]](이을/얽을 락) * [[絆]](얽어맬 반) * [[束]](묶을 속) * [[纏]](얽을 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縳]](명주 견/권/전) * [[𪙍]]^^[⿰齒尃]^^(깨물 박) * [[𩌏]]^^[⿰革尃]^^(끈 박) * [[博]]/[[愽]]/[[𩫯]]^^[⿰𩫏尃]^^(넓을 박) * [[搏]](두드릴 박) * [[煿]](말릴 박) * [[䪙]](멍에싸개 박, 가죽옷 부) * [[牔]](박공 박) * [[㬍]](볕을쬘 박) * [[䍸]](불깐흰양 박, 짐승이름 부) * [[䗚]](사마귀알집 박) * [[𣄎]]^^[⿰方尃]^^(성씨 박) * [[𨍭]](수레아래에맨줄 박) * [[餺]]/[[𪍡]]^^[⿰麥尃]^^(수제비 박) * [[㗘]](씹을 박) * [[髆]](어깻죽지뼈 박) * [[䙏]](적삼/엷을 박) * [[䶈]](쥐 박) * [[猼]]/[[𧳵]]^^[⿰豸尃]^^(짐승이름 박) * [[膊]](팔뚝 박) * [[鎛]](호미 박) * [[㙛]](사람이름 보) * [[糐]](경단 부) * [[䎔]](깃 부) * [[溥]](넓을 부) * [[𥠵]]^^[⿰禾尃]^^(볏가리 부)[* [[秿]](볏가리 부)의 [[동자#s-2]]] * [[榑]](부상 부) * [[賻]](부의 부) * [[傅]](스승 부) * [[𠪻]]^^[⿰⿸𠂆巴尃]^^(작은술잔 부) * [[𦔍]]^^[⿰耒尃]^^(장기 부) * [[𩹲]]^^[⿰魚尃]^^(돌고래 포)[* [[鯆]](돌고래 포)의 [[동자#s-2]]] * [[禣]](부) * [[磗]](부) * [[𪩉]]^^[⿰山尃]^^ * [[𭘰]]^^[⿰巾尃]^^ * [[𱙠]]^^[⿰女尃]^^ * [[𮥕]]^^[⿰⻖尃]^^ * [[𭕶]]^^[⿰⿸尸日尃]^^ * [[𤚽]]^^[⿰牛尃]^^ * [[𤧵]]^^[⿰⺩尃]^^ * [[𭺼]]^^[⿰甫尃]^^ * [[𦉊]]^^[⿰缶尃]^^ * [[𦦐]]^^[⿰臼尃]^^ * [[𧱹]]^^[⿰豕尃]^^ * [[𬧅]]^^[⿰𧾷尃]^^ * [[𲄩]]^^[⿰身尃]^^ * [[𫘒]]^^[⿰馬尃]^^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嚩]](음역자 부) * [[𤒔]]^^[⿰火縛]^^(박) * [[𮒴]]^^[⿱艹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