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罰}}}벌할 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网|{{{#000,#fff 网}}}]],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バツ, バチ, {{{#c88 ハツ}}}}}}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fá{{{#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罰은 ''''벌할 벌''''이라는 [[한자]]로, '벌(罰)하다', '처벌(處罰)'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벌하다 || || {{{-1 '''음'''}}} ||벌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fá || || {{{-1 '''[[광동어]]'''}}} ||fat6 || || {{{-1 '''[[객가어]]'''}}} ||fa̍t || || {{{-1 '''[[민북어]]'''}}} ||huăk || || {{{-1 '''[[민동어]]'''}}} ||giĕ || || {{{-1 '''[[민남어]]'''}}} ||hoa̍t || || {{{-1 '''[[오어]]'''}}} ||vaq (T5) || ||<-3> || ||<|2> '''[[일본어]]''' || {{{-1 '''음독'''}}} ||バツ, バチ, {{{#c88 ハツ}}} || || {{{-1 '''훈독'''}}} ||- || ||<-3> || ||<-2> '''[[베트남어]]''' ||phạt || [[유니코드]]에는 U+7F7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WLYRN(田中卜口弓)으로 입력한다. [[网]](그물 망), [[言]](말씀 언), [[刀]](칼 도)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죄인을 그물(网)로 잡아 말(言)로 꾸짖고 칼(刀)로 벌한다는 뜻으로 '벌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网과 言의 합자인 [[詈]](꾸짖을 려)가 [[刀]](칼 도)와 합쳐진 것으로도 볼 수 있다. == 용례 == === [[단어]] === * '''벌'''(罰) * 견벌([[譴]]罰) * 경벌([[輕]]罰) * 궁벌([[宮]]罰) * 난벌([[亂]]罰) * [[남벌]]([[濫]]罰) * 달벌([[撻]]罰) * 면벌([[免]]罰) * [[면벌부]]([[免]]罰[[符]]) * [[반의사불벌죄]]([[反]][[意]][[思]][[不]]罰[[罪]]) * 벌과금(罰[[科]][[金]]) * [[벌금]](罰[[金]]) * [[벌금형]](罰[[金]][[刑]]) * [[재산비례벌금제]]([[財]][[産]][[比]][[例]]罰[[金]][[制]]) * 벌례전(罰[[禮]][[錢]]) * 벌방(罰[[房]]) * 벌배(罰[[杯]]) * 벌번(罰[[番]]) * 벌수(罰[[水]]) * 벌작(罰[[爵]]) * 벌적(罰[[籍]]) * [[벌점]](罰[[點]]) * 벌주(罰[[酒]]) * 벌직(罰[[直]]) * 벌책(罰[[責]]) * [[벌칙]](罰[[則]]) * 벌칙구역(罰[[則]][[區]][[域]]) * 벌환(罰[[鍰]]) * 상벌([[賞]]罰) * 수벌([[受]]罰) * 시벌([[施]]罰) * [[신벌#s-1]]([[神]]罰) * 쌍벌([[雙]]罰) * 쌍벌규정([[雙]]罰[[規]][[定]]) * 쌍벌죄([[雙]]罰[[罪]]) * 쌍벌주의([[雙]]罰[[主]][[義]]) * 간통쌍벌주의([[姦]][[通]][[雙]]罰[[主]][[義]]) * 앙벌([[殃]]罰) * 엄벌([[嚴]]罰) * [[엄벌주의]]([[嚴]]罰[[主]][[義]]) * 영벌([[永]]罰) * [[위약벌]]([[違]][[約]]罰) * 유벌([[儒]]罰) * 잠벌([[暫]]罰) * 장벌([[杖]]罰) * 죄벌([[罪]]罰) * 주벌([[誅]]罰) * 지벌(지罰) * [[징벌]]([[懲]]罰) * [[처벌]]([[處]]罰) * [[천벌]]([[天]]罰) * [[체벌]]([[體]]罰) * 추벌([[追]]罰) * 출벌([[黜]]罰) * 태벌([[笞]]罰) * 피벌([[被]]罰) * 필벌([[必]]罰) * 해벌([[解]]罰) * 현벌([[懸]]罰) * [[형벌]]([[刑]]罰) === [[고사성어]]/[[숙어]] === * 상선벌악([[賞]][[善]]罰[[惡]]) * [[신상필벌]]([[信]][[賞]][[必]]罰) * [[일벌백계]]([[一]]罰[[百]][[戒]]) * 죄중벌경([[罪]][[重]]罰[[輕]]) * 포편지벌([[蒲]][[鞭]][[之]]罰)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乱れた風紀に天罰を]](흐트러진 풍기에 천벌을) == 유의자 == * [[𧬍]](벌할 적) * [[罪]](허물 죄)[* 단순히 '죄(罪)'뿐만 아니라 '벌하다'라는 뜻도 있다.] * [[刑]](형벌 형) == 상대자 == * [[賞]](상줄 상)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罽]](어망 계)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藅]](시들시들할 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