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4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include(틀:국명·지명 한자 약칭)]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華}}}빛날 화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艸|{{{#000,#fff 艸}}}]],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 (ケ), {{{#c88 キャ, ゲ}}}}}}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はな, {{{#c88 しろ-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huá, huà{{{#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빛날 화(華)'''. '꽃', '빛나다', '화려(華麗)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중화(중국)|중화]]를 지칭하기도 하는데, 이는 옛 중원의 사람들이 스스로의 '빛나고 화려한' 문명에 자부심을 갖고 붙인 자칭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빛나다 || || {{{-1 '''음'''}}} ||화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huá, huà || || {{{-1 '''[[광동어]]'''}}} ||waa^^4^^ || || {{{-1 '''[[객가어]]'''}}} ||fà || || {{{-1 '''[[민북어]]'''}}} ||uǎ || || {{{-1 '''[[민동어]]'''}}} ||huà || || {{{-1 '''[[민남어]]'''}}} ||hôa, hoa || || {{{-1 '''[[오어]]'''}}} ||hho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カ, (ケ), {{{#c88 キャ, ゲ}}} || || {{{-1 '''훈독'''}}} ||はな, {{{#c88 しろ-い}}} || ||<-3> || ||<-2> '''[[베트남어]]''' ||hoa || [[유니코드]]에는 U+83E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廿一廿十(TMTJ)으로 입력한다. || [[파일:華(금문).png]] || [[파일:華(소전).png]] || || 금문 || 소전 || 이 글자는 원래 [[상형자]]로, 잎과 줄기, 꽃잎이 있는 한 송이의 꽃을 본뜬 글자였다. [[소전]]에서는 위에 [[艸]](풀 초)가 더해져 지금에 가까운 자형이 되었다. [[花]](꽃 화)와 뜻이 비슷하고 발음이 같아 종종 혼동되고는 하는데, 실제로 동원자(同源字)이다. 花와 華가 분화된 것은 [[한나라]] 이후로, 花는 '꽃'이라는 명사로, 華는 '꽃을 피우다'라는 동사, '화려하다'라는 형용사로 쓰인다. 원래 두 글자의 의미분화를 일으키는 요소는 성모로, [[중고음]] 기준으로 花는 曉모 [x~h], 華는 匣모 [ɣ~ɦ]이다. 그러나 현재 중국 대다수의 방언에서는 성모의 차이가 없어지고, 성조에 그 차이가 반영되어 있다. == 용례 == === [[단어]] === * [[만화경]]([[萬]]華[[鏡]]) * [[승화]](昇華) * 화갑(華[[甲]]) 환갑의 미칭. * 화려(華[[麗]]) * [[화씨]](華[[氏]]) * [[화이사상]](華[[夷]][[思]][[相]]): 중국 민족이 스스로를 중화라 하여 존중하고, 주변의 다른 민족을 이적(오랑캐)라 하여 천시하던 사상. [[중화사상]]이라고도 한다. * [[화교]](華[[僑]])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경화공주]]([[慶]]華[[公]][[主]]) * [[마토바 카린]]([[的]][[場]] 華[[鈴]]) * [[산카 단이치로]]([[散]]華 [[団]][[一]][[郎]]) * [[산카 레아]]([[散]]華 [[礼]][[弥]]) * [[양근화]]([[楊]][[謹]]華) * [[슈화|예슈화]]([[葉]][[舒]]華) * [[위젠화]]([[俞]][[建]]华) * [[이바라키 카센]]([[茨]][[木]] 華[[扇]]) * [[푸정화]]([[傅]][[政]]华) * [[카몬]](華[[紋]]) * [[카미사토 아야카]]([[神]][[里]] [[綾]]華) * [[카자키리 효우카]]([[風]][[斬]] [[氷]]華) * [[카죠 아야메]](華[[城]] [[綾]][[女]]) * [[코토게 카부토]]([[小]][[峠]] 華[[太]]) * [[키라키쇼]]([[雪]]華[[綺]][[晶]]) * [[하라다 스즈카]]([[原]][[田]] [[珠]]々華) * [[한선화]]([[韓]][[善]]華) - 華를 花의 정체자로 볼 경우. 그런데 연예인 한선화는 伙를 쓴다. * [[후카가와 루카]]([[深]][[川]] [[瑠]]華) === [[지명#s-2]] === *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華[[川]][[郡]]) * [[강화도]]([[江]]華[[島]])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華[[西]][[洞]]) * [[경기도]] [[화성시]](華[[城]][[市]])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華[[明]][[洞]]) * [[중화민국]]([[대만]])([[中]]華[[民]][[國]]) * [[중국|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 / [[中]]華[[人]][[民]][[共]][[和]][[國]]) === [[창작물]] === * [[華Doll*(하나돌*)]] * [[華札]] * [[화양연화]](花樣年華) * [[華振舞]] * [[華蝶風雪]] * [[華の二水戦]] * [[華爛漫 -Flowers-]] * [[華陽炎-Hana Kagerou-]] * [[華蕾夢ミル狂詩曲〜魂ノ導〜]] * [[演華舞踊 ~Enka Dance Music~]] * [[동방빙의화 ~ Antinomy of Common Flowers.|東方憑依華 〜 Antinomy of Common Flowers.]] * [[화조풍월#s-4|華鳥風月]] * [[환상만화경|幻想万華鏡 〜 The Memories of Phantasm]] * [[月に叢雲華に風]] === 기타 === * [[중화전신]]([[中]]華[[電]][[信]]): [[대만]]의 [[이동통신사]] * [[친중화민국]]([[親]][[中]]華[[民]][[國]]) * [[화독]](華[[獨]]) == 지하철 == * [[화서역]] * [[화계역]] * [[화명역]] == 유의자 == * [[炅]]/[[冏]](빛날 경) * [[爛]](빛날 란) * [[彬]](빛날 빈) * [[曜]](빛날 요) * [[耀]](빛날 요) * [[煜]](빛날 욱) * [[燦]](빛날 찬) * [[赫]](빛날 혁) * [[煥]](빛날 환) * [[煌]](빛날 황) * [[輝]](빛날 휘)[* '휘황찬란'의 한자를 잘보면 輝煌燦爛으로 빛남과 관련되어 있다.] * [[熙]](빛날 희) == 상대자 == * [[暗]](어두울 암)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垂]](드리울 수) * [[畢]](마칠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