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include(틀:다른 뜻1,other1=表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rd1=錶)]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表}}}겉 표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衣|{{{#000,#fff 衣}}}]], 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6급 한자|{{{#000,#fff 준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ヒ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おもて, あらわ-す, あらわ-れる, {{{#c88 しるし}}}}}}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iǎ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表는 ''''겉 표''''라는 [[한자]]로, '겉', '표면(表面)', '나타내다', '[[표#s-2]](表)' 등을 뜻한다. [[중국]]에서는 시계 표([[錶]])의 [[간체자]]로 쓰인다. == 상세 == 글자의 자원은 [[衣]]와 [[毛]]가 합쳐 이루어진 [[회의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8868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QMV(手一女)로 입력한다. 상대어로는 [[裏]](속 리)가 있다. ||[[파일:s05985.gif]]|| || 소전체 || == 용례 == === [[단어]] === * 가격표([[價]][[格]]表) * 가계표([[家]][[系]]表) * [[경세유표]]([[經]][[世]][[遺]]表) * 계획표([[計]][[劃]]表) * [[공표]]([[公]]表) * 대진표([[對]][[陣]]表) * [[대차대조표]]([[貸]][[借]][[對]][[照]]表) * [[대표]]([[代]]表) * [[국가대표]]([[國]][[家]][[代]]表) * 대표단([[代]]表[[團]]) * [[대표부]]([[代]]表[[部]]) * 대표음([[代]]表[[音]]) * [[대표이사]]([[代]]表[[理]][[事]]) * 대표인([[代]]表[[人]]) * 대표자([[代]]表[[者]]) * 대표작([[代]]表[[作]]) * 대표적([[代]]表[[的]]) * [[비례대표]]([[比]][[例]][[代]]表) * [[도표]]([[圖]]表) * [[발표]]([[發]]表) * 공동발표([[共]][[同]][[發]]表) * 미발표([[未]][[發]]表) * 발표력([[發]]表[[力]]) * 발표회([[發]]表[[會]]) * [[사표]]([[辭]]表) * [[성적표]]([[成]][[績]]表) * [[시간표]]([[時]][[間]]表) * 식단표([[食]][[單]]表) * [[연표]]([[年]]表) * 연대표([[年]][[代]]表) * [[유표]]([[有]]表) * 의표([[意]]表) * [[지표]]([[地]]表) * [[진정표]]([[陳]][[情]]表) * 징표([[徵]]表) * [[출사표]]([[出]][[師]]表) * [[표결]](表[[決]]) * 표구(表[[具]]) * [[표기]](表[[記]]) * [[표기 심도]](表[[記]] [[深]][[度]]) * 표리(表[[裏]]) * [[표리부동]](表[[裏]][[不]][[同]]) * 표면(表[[面]]) * 표문(表[[文]]) * 표명(表[[明]]) * 표상(表[[象]]) * [[표시]](表[[示]]) * [[의사표시]]([[意]][[思]]表[[示]]) * 표음(表[[音]]) * 표음기호(表[[音]][[記]][[號]]) * [[표음 문자]](表[[音]][[文]][[字]]) * 표음부(表[[音]][[部]]) * 표음자(表[[音]][[字]]) * 표음주의(表[[音]][[主]][[義]]) * 표의(表[[衣]]) * 표의(表[[意]]) * [[표의 문자]](表[[意]] [[文]][[字]]) * 표의부(表[[意]][[部]]) * [[표정]](表[[情]]) * [[무표정]]([[無]]表[[情]]) * [[표제]](表[[題]]) * [[표지]](表[[紙]]) * [[표창(상)|표창]](表[[彰]]) * 표창장(表[[彰]][[狀]]) * [[표출]](表[[出]]) * 표층(表[[層]]) * 표토(表[[土]]) * 표피(表[[皮]]) * [[표피효과]](表[[皮]][[效]][[果]]) * [[표현]](表[[現]]) * [[표현론]](表[[現]][[論]]) === [[고사성어]]/[[숙어]] === * [[표리부동]](表[[裏]][[不]][[同]]) * [[표리일체]](表[[裏]][[一]][[體]])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30,743명, 전체 79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신창(新昌)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표(성씨)]] 문서 참조. * [[고영표]]([[高]][[永]]表) * [[고표인]]([[高]]表[[仁]]) * [[오모테우라 토쿠노스케]](表[[裏]] [[徳]][[之]][[助]]) * [[표훈대덕]](表[[訓]][[大]][[德]]) * [[화표]]([[華]]表) === [[지명#s-2]] ===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表[[善]][[面]]) == 이체자 == * 𧘝^^[⿳亠毛𧘇]^^(U+2761D) * 𧘦^^[⿳亠王𧘇]^^(U+27626) * 𧘰^^[⿱丿表]^^(U+27630) * 𧜫^^[⿳亠鹿𧘇]^^(U+2772B) * 𧞧^^[⿰衤麃]^^(U+277A7) * 𧞱^^[⿰衤𪊘]^^(U+277B1) * 𪊘^^[⿸鹿𧘇]^^(U+2A298) * 𪊬^^[⿸鹿衣]^^(U+2A2AC) == 유의자 == * [[外]](바깥 외) == 상대자 == * [[內]](안 내) * [[裏]](속 리)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袞]](곤룡포 곤) * [[裏]](속 리)[* 일본방송사가 TV로 야구 중계방송을 할 때 表(선공)와 うら/ウラ(후공)로 표기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 [[麦]](보리 맥)[* [[麥]](보리 맥)의 [[신자체]]이자 [[간체자]]] * [[裵]](성 배) * [[裒]](모을 부) * [[褻]](더러울 설) * [[素]](흴 소) * [[衰]](쇠할 쇠) * [[哀]](슬플 애) * [[襄]](도울 양) * [[衣]](옷 의) * [[衷]](속마음 충) * [[褒]](기릴 포)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俵]]/[[㧼]](나누어줄 표) * [[䁃]](눈여겨볼 표) * [[脿]](뚱뚱할/나누어줄/화랑이 표) * [[裱]](목도리 표) * [[𪍊]]^^[⿰麥表]^^(밀 표) * [[錶]](시계 표) * [[諘]](칭찬할 표) * [[婊]](화랑이 표) * [[𡨲]]^^[⿱宀表]^^(갈) * [[䱪]](표) * [[𠶓]]^^[⿰口表]^^ * [[𭎫]]^^[⿰土表]^^ * [[𡈂]]^^[⿴囗表]^^ * [[𣷴]]^^[⿰氵表]^^ * [[𣓻]]^^[⿰木表]^^ * [[𫈒]]^^[⿱艹表]^^ * [[𣍅]]^^[⿰表曲]^^ * [[𭹙]]^^[⿰⺩表]^^ * [[𤷶]]^^[⿸疒表]^^ * [[𪿦]]^^[⿰石表]^^ * [[𬒾]]^^[⿰示表]^^ * [[𮄏]]^^[⿰空表]^^ * [[𬗠]]^^[⿰糸表]^^ * [[𮔘]]^^[⿰虫表]^^ * [[𧶫]]^^[⿰貝表]^^ * [[𩓳]]^^[⿰表頁]^^ * [[𩤕]]^^[⿰馬表]^^ * [[𩩩]]^^[⿰骨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