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5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觀을 대용자로 하는 한자, rd1=瞰)]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觀}}}볼 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見|{{{#000,#fff 見}}}]], 1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み-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uān, gu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觀은 ''''볼 관''''이라는 [[한자]]로, '보다'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보다 || || {{{-1 '''음'''}}} ||관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guān, guàn || || {{{-1 '''[[광동어]]'''}}} ||gun1 || || {{{-1 '''[[객가어]]'''}}} ||kôn || || {{{-1 '''[[민동어]]'''}}} ||guăng || || {{{-1 '''[[민남어]]'''}}} ||koan || || {{{-1 '''[[오어]]'''}}} ||kuoe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カン || || {{{-1 '''훈독'''}}} ||{{{#c88 み-る}}}[* TV, 영화, 오페라 등을 '감상한다'라는 의미에서는 見る 대신 観る로도 많이 쓰고, 똑같이 みる라고 읽는다.] || ||<-3> || ||<-2> '''[[베트남어]]''' ||quan || [[유니코드]]에는 U+89C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GBUU(廿土月山山)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見]](볼 견)과 소리를 나타내는 [[雚]](황새 관)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 글자는 엄밀히 말하면 다음자로, 대다수의 경우에는 [[사성|평성]](표준중국어의 경우 guān)으로 읽으나, '망루(望樓)', '누대(樓臺)', 도교 사당 따위의 나타낼 때는 [[사성|거성]](표준중국어의 경우 guàn)으로 읽는다. 한국에서는 [[약자(한자)|약자]]로 𣁐(U+23050, ⿰文見)을 쓰기도 한다. == 용례 == 조선시대 觀이 '관광', '보러다니다'의 뜻을 가질 때는 명나라를 상대하여서만 쓸 수 있었으나 조선후기에는 청나라를 다녀왔을 때도 사용했다고 한다. [[https://www.khan.co.kr/culture/book/article/202012181152001|#]] === [[단어]] === * [[가치관]]([[價]][[値]]觀) * 개관([[槪]]觀) * 객관([[客]]觀) * [[객관성]]([[客]]觀[[性]]) * [[객관식]]([[客]]觀[[式]]) * [[객관적]]([[客]]觀[[的]]) * 객관화([[客]]觀[[化]]) * [[경관]]([[景]]觀) * 관객(觀[[客]]) * [[관광]](觀[[光]]) * [[관광객]](觀[[光]][[客]]) * [[관광공사]](觀[[光]][[公]][[社]]) * 관광사업(觀[[光]][[事]][[業]]) * 관광산업(觀[[光]][[産]][[業]]) * 관광자원(觀[[光]][[資]][[源]]) * [[관광지]](觀[[光]][[地]]) * [[문화관광부]]([[文]][[化]]觀[[光]][[部]]) * [[관념]](觀[[念]]) * [[강박관념]]([[强]][[迫]]觀[[念]]) * [[고정관념]]([[固]][[定]]觀[[念]]) * 고착관념([[固]][[着]]觀[[念]]) * [[관념론]](觀[[念]][[論]]) * 관념적(觀[[念]][[的]]) * 관람(觀[[覽]]) * 관람객(觀[[覽]][[客]]) * 관람료(觀[[覽]][[料]]) * [[대관람차]]([[大]]觀[[覽]][[車]]) *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 * [[관상]](觀[[相]]/觀[[想]]) * [[관상어]](觀[[賞]][[魚]]) * 관상용(觀[[賞]][[用]]) * [[관심법]](觀[[心]][[法]]) * [[관음]](觀[[音]]/觀[[淫]]) * [[관음증]](觀[[淫]][[症]]) * [[관점]](觀[[點]]) * [[관중]](觀[[衆]]) * [[관측|관찰]](觀[[察]]) * [[관찰사]](觀[[察]][[使]]) * [[관측]](觀[[測]]) * [[관측소]](觀[[測]][[所]]) * [[관측자]](觀[[測]][[者]]) * 기상관측([[氣]][[象]]觀[[測]]) * [[낙관]]([[樂]]觀) * 낙관론([[樂]]觀[[論]]) * 낙관적([[樂]]觀[[的]]) * [[낙관주의]]([[樂]]觀[[主]][[義]]) * 달관([[達]]觀) * 미관([[美]]觀) * [[방관]]([[傍]]觀) * [[비관]]([[悲]]觀) * [[비관론]]([[悲]]觀[[論]]) * 비관적([[悲]]觀[[的]]) * [[사관]]([[史]]觀) * [[세계관]]([[世]][[界]]觀) * [[염세관]]([[厭]][[世]]觀) * 외관([[外]]觀) * 자연관([[自]][[然]]觀) * [[장관]]([[壯]]觀) * 주관([[主]]觀) * [[주관식]]([[主]]觀[[式]]) * [[주관적]]([[主]]觀[[的]]) * [[직관]]([[直]]觀) * 직관성([[直]]觀[[性]]) * 직관적([[直]]觀[[的]]) * 참관([[參]]觀) * 체관([[諦]]觀) === [[고사성어]]/[[숙어]] === * 관풍찰속(觀[[風]][[察]][[俗]]) * 관형찰색(觀[[形]][[察]][[色]]) * 달인대관([[達]][[人]][[大]]觀) * [[명약관화]]([[明]][[若]]觀[[火]]) * 무소가관([[無]][[所]][[可]]觀) * 무일가관([[無]][[一]][[可]]觀) * 백무가관([[百]][[無]][[可]]觀) * 별무가관([[別]][[無]][[可]]觀) * 본유관념([[本]][[有]]觀[[念]]) * 일무가관([[一]][[無]][[可]]觀) * 일심삼관([[一]][[心]][[三]]觀) * [[좌정관천]]([[坐]][[井]]觀[[天]]) === [[인명]] === * [[관륵]](觀[[勒]]) * [[미즈키 코토리]](観[[月]] [[小]][[鳥]]) * [[소우게츠 노조미]]([[蒼]][[月]] [[希]]観) * [[이관술]]([[李]]觀[[述]]) * [[이케구치 에칸]]([[池]][[口]] [[恵]]観) * [[칸논자카 돗포]](観[[音]][[坂]] [[独]][[歩]]) * [[타케다 간류사이]]([[武]][[田]] 観[[柳]][[斎]]) * [[탁발관]]([[拓]][[跋]]觀) === [[지명#s-2]] === === [[창작물]] === *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 [[관풍행전]](觀[[風]][[行]][[殿]]) *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 * 유관집([[游]]觀[[集]]) * [[정관정요]]([[貞]]觀[[政]][[要]]) * [[天体観測]] == 유의자 == * [[𥋣]]^^[⿰目賈]^^(볼 가) * [[看]](볼 간) * [[監]]/[[䁍]](볼 감) * [[𥋥]]^^[⿱䀠兔]^^(볼 격) * [[見]](볼 견) * [[䚉]](볼 계) * [[䚌]](볼 고) * [[𥍁]]^^[⿱歸目]^^(볼 귀) * [[𧠋]]^^[⿱見廾]^^(볼 극) * [[覲]](뵐 근) * [[𥄜]]^^[⿰目𠫘]^^(볼 글) * [[𧡺]]^^[⿰耆見]^^(볼 기) * [[矃]](볼 녕) * [[𥄋]]^^[⿰目內]^^(볼 뉵) * [[𥄽]]^^[⿻𫠠⿰⿱二目丶]^^(볼 니) * [[𥋡]]^^[⿳䀠冖弜]^^(볼 당) * [[睹]](볼 도) * [[覽]](볼 람) * [[𥌛]]^^[⿰目黎]^^(볼 려) * [[覝]](볼 렴) * [[瞜]](볼 루) * [[𥉳]]^^[⿰目留]^^(볼 류) * [[𥌿]]^^[⿰目隸]^^(볼 리) * [[矕]](볼 만) * [[睰]](볼 말) * [[䁅]](볼 맹) * [[矈]](볼 면) * [[覭]](볼 명) * [[𥈆]]^^[⿰目冒]^^(볼 모/휵) * [[䙿]](볼 미) * [[盿]](볼 민) * [[眪]](볼 병) * [[䀯]](볼 보) * [[𧠾]]^^[⿰孚見]^^(볼 부) * [[䀻]](볼 빙) * [[𧡢]]^^[⿰宣見]^^(볼 선) * [[睲]](볼 성) * [[䙼]]/[[釗]](볼 소) * [[視]](볼 시) * [[瞫]](볼 심) * [[謁]](뵐 알) * [[閱]](볼 열) * [[盶]](볼 원) * [[𧢧]]^^[⿰巂見]^^(볼 유) * [[𥌟]]^^[⿱⿰⿱上矢余目]^^(볼 의) * [[覿]](볼 적) * [[𥇓]]^^[⿰目定]^^(볼 정) * [[睵]](볼 재) * [[睼]](볼 제/천) * [[𥍋]]^^[⿰目巂]^^(볼 주) * [[睃]](볼 준) * [[𧠝]]^^[⿰㐱見]^^(볼 진) * [[眰]](볼 질) * [[𥉷]]^^[⿰目戚]^^(볼 척) * [[瞻]](볼 첨) * [[䀙]](볼 체) * [[𥉻]]^^[⿰目祭]^^(볼 체/찰) * [[矚]](볼 촉) * [[瞅]](볼 추) * [[瞟]](볼 표) * [[䚂]](볼 혁) * [[矎]](볼 현) * [[䙽]](볼 혈) * [[䀨]](볼 활) * [[眖]](볼 황) * [[𥄖]]^^[⿰目𰅭]^^(볼 흘) * [[䁯]](볼 흡)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顴]](광대뼈 관) * [[𤮴]]^^[⿰雚瓦]^^(두레박 관) * [[鸛]](황새 관) * [[𣰻]]^^[⿰雚毛]^^(모직물 구)[* [[氍]](모직물 구)의 [[동자#s-2]]] * [[勸]](권할 권) * [[飌]](바람 풍)[* [[風]](바람 풍)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酄]](고을이름 환) * [[歡]](기쁠 환) * [[𱥙]]^^[⿰雚殳]^^ * [[𮦃]]^^[⿰雚隹]^^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𢦉]]^^[⿱觀心]^^(빌 공)[* [[空]](빌 공)의 [[동자#s-2]]] * [[欟]](나무이름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