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論}}}논할 론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言|{{{#000,#fff 言}}}]],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ロ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あげつら-う}}}}}}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ún, lù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논할 론(論)'''. '논(論)하다', '서술하다', '[[의견]]을 말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논하다 || || {{{-1 '''음'''}}} ||론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lùn, lún || || {{{-1 '''[[광동어]]'''}}} ||leon6 || || {{{-1 '''[[객가어]]'''}}} ||lun || || {{{-1 '''[[객가어]]'''}}} ||lō̤ng || || {{{-1 '''[[민동어]]'''}}} ||lâung || || {{{-1 '''[[민남어]]'''}}} ||lūn || || {{{-1 '''[[오어]]'''}}} ||len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ロン || || {{{-1 '''훈독'''}}} ||{{{#c88 あげつら-う}}} || ||<-3> || ||<-2> '''[[베트남어]]''' ||luận ||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侖]](생각할 륜)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8AD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口人一月(YROMB)로 입력한다. 이 글자는 엄밀하게 말하면 다음자(多音字)로, 보통은 [[사성|거성]]으로 읽지만, 책 《[[논어]]》(論語)를 지칭할 때는 [[사성|평성]](즉, 표준중국어에서는 2성)으로 읽는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글자 중 한국 한자음과 일본 한자음에서 '[[론]]'으로 읽는 유일한 글자이다. 侖이 붙은 다른 글자들([[倫]], [[輪]])은 대개 '륜/[[り|リン]]'으로 읽는다. == 용례 == === [[단어]] === * 각론([[各]]論) * [[결론]]([[結]]論) * 결론적([[結]]論[[的]]) * 공론([[公]]論) * 공론화([[公]]論[[化]]) * [[논리]](論[[理]]) * 논리성(論[[理]][[性]]) * 논리적(論[[理]][[的]]) * 논리주의(論[[理]][[主]][[義]]) * [[논리실증주의]](論[[理]][[實]][[證]][[主]][[義]]) * [[논문]](論[[文]]) * 논박(論[[駁]]) * 논변(論[[辯]]/論[[辨]]) * 논설(論[[說]]) * [[논술]](論[[述]]) * 논의(論[[議]]) * 논쟁(論[[爭]]) * 논제(論[[題]]) * 논조(論[[調]]) * 논총(論[[叢]]) * 담론([[談]]論) * [[물론]]([[勿]]論) * [[반론]]([[反]]論) * 변론([[辯]]論) * 본론([[本]]論) * 서론([[序]]論) * [[언론]]([[言]]論) * [[여론]]([[輿]]論) * [[여론조사]]([[輿]]論[[調]][[査]]) * 의논/의론([[議]]論)[* 論이 어두에 오지 않는데도 '논'으로 읽는 특이한 예이다.][* 의논, 의론 두 가지로 읽힐 수 있으며 두 뜻은 다르다.] * [[이론]]([[理]]論) * [[기대효용이론]]([[期]][[待]][[效]][[用]][[理]]論) * 이론물리학([[理]]論[[物]][[理]][[學]]) * [[이론물리학자]]([[理]]論[[物]][[理]][[學]][[者]]) * 이론적([[理]]論[[的]]) * [[관찰의 이론적재성|이론적재성]]([[理]]論[[積]][[載]][[性]]) * [[중론]]([[衆]]論) * 지론([[持]]論) * 진화론([[進]][[化]]論) * 총론([[總]]論) * 추론([[推]]論) * [[토론]]([[討]]論) === [[고사성어]]/[[숙어]] === * [[갑론을박]]([[甲]]論[[乙]][[駁]]) * [[탁상공론]]([[卓]][[上]][[空]]論) === [[인명]] === * [[구논회]]([[具]]論[[會]]) * [[논개]](論[[介]]) * [[논흠릉]](論[[欽]][[陵]]) * [[무토 사토시]]([[武]][[藤]] 論) === [[지명#s-2]] ===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富]]論[[面]]) * [[논현역]](論[[峴]][[驛]])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강남구)|논현동]](論[[峴]][[洞]]) * [[신논현역]]([[新]]論[[峴]][[驛]]) *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남동구)|논현동]](論[[峴]][[洞]]) *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 다만 논산의 진짜 뜻은 "논하다"와 전혀 상관 없다. 논산의 논은 "[[노랑|노랗다]]" 내지는 "논[畓\]"을 [[음차]]한 것이다. 그래서 논산의 옛 지명으로 "노란 산"을 훈차한 [[황산]](또는 [[황산벌]])과, "논과 산"이라는 뜻으로 훈차한 답산(畓山)이 있었던 것이다.] === [[창작물]] === * [[논어]](論[[語]]) * 역대사론([[歷]][[代]][[史]]論) * [[有心論]] === 기타 === * [[근본론]]([[根]][[本]]論) * [[논개작전]](論[[介]][[作]][[戰]]) * [[삭제 토론]]([[削]][[除]] [[討]]論) * [[상대성이론(밴드)|상대성이론]]([[相]][[対]][[性]][[理]]論): 일본의 밴드 * [[식근론]]([[植]][[近]]論) * [[심기체론]]([[心]][[技]][[體]]論) * 졸논([[卒]]論): '졸업 논문'의 준말 * [[설거지론]] == 유의자 == * [[議]](의논할 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輪]](바퀴 륜) * [[淪]](빠질 륜, 물방울 륜) * [[倫]](인륜 륜) * [[諭]](타이를 유) [[분류:준4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