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費}}}쓸 비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貝|{{{#000,#fff 貝}}}]], 5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2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5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ヒ{{{#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つい-やす, つい-える{{{#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fèi{{{#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費는 ''''쓸 비''''라는 [[한자]]로, '쓰다(費)', '소비(消費)하다', '비용(費用)'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쓰다 || || {{{-1 '''음'''}}} ||비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fèi || || {{{-1 '''[[광동어]]'''}}} ||fai3 || || {{{-1 '''[[객가어]]'''}}} ||fi || || {{{-1 '''[[민북어]]'''}}} ||hi̿ || || {{{-1 '''[[민동어]]'''}}} ||hié || || {{{-1 '''[[민남어]]'''}}} ||hùi || || {{{-1 '''[[오어]]'''}}} ||fi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ヒ || || {{{-1 '''훈독'''}}} ||つい-やす, つい-える || ||<-3> || ||<-2> '''[[베트남어]]''' ||phí || [[유니코드]]에는 U+8CB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LNBUC(中弓月山金)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貝]](조개 패)와 소리를 나타내는 [[弗]](아닐/말 불)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감가상각비]]([[減]][[價]][[償]][[却]]費) * 객비([[客]]費) * 경비([[經]]費) * 경비사([[經]]費[[司]]) * 공비([[公]]費) * 판공비([[辦]][[公]]費) * 낭비([[浪]]費) * 낭비벽([[浪]]費[[癖]]) * 당비([[黨]]費) * 비모(費[[耗]]) * [[비용]](費[[用]]) * [[기회비용]]([[機]][[會]]費[[用]]) * [[사비#s-2]]([[私]]費) * [[세비]]([[歲]]費) * [[소비]]([[消]]費) * 소비계획([[消]]費[[計]][[劃]]) * [[소비자]]([[消]]費[[者]]) * [[소비자이론]]([[消]]費[[者]][[理]][[論]]) * [[소비자물가지수]]([[消]]費[[者]][[物]][[價]][[指]][[數]]) * [[희망 소비자 가격]]([[希]][[望]] [[消]]費[[者]] [[價]][[格]]) * [[시비#s-6]]([[市]]費) * [[여비]]([[旅]]費) * [[연비(자동차)|연비]]([[燃]]費) * [[인건비]]([[人]][[件]]費) * [[자비#s-8]]([[自]]費) * 잡비([[雜]]費) * 제잡비([[除]][[雜]]費) * 장비([[葬]]費) * [[전성비|전비]]([[電]]費) * 정비([[情]]費) * 체비지([[替]]費[[地]]) * 행비([[行]]費) * [[허비#s-1]]([[虛]]費) * 환비([[換]]費) === [[고사성어]]/[[숙어]] === * 도비순설([[徒]]費[[脣]][[舌]]) * 도비심력([[徒]]費[[心]][[力]]) * 불비지혜([[不]]費[[之]][[惠]]) * 적비심력([[積]]費[[心]][[力]]) * 혜이불비([[惠]][[而]][[不]]費) === [[인명]] === * [[비보(수호전)|비보]](費[[保]]) * [[비시]](費[[詩]]) * [[비운연]](费[[云]][[烟]]) * [[비잔]](費[[棧]]) * [[임윤|페이샤]](费[[霞]])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甴]](쓸 삽) * [[需]](쓰일/쓸 수) * [[用]]/[[庸]](쓸 용)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𤇝]]^^[⿱弗火]^^(기운더울 불) * [[𠔘]]^^[⿱弗公]^^(비슷할 불)[* [[髴]](비슷할 불)의 [[동자#s-2]]] * [[𥿏]]^^[⿱弗糸]^^(인끈 불)[* [[紼]](인끈 불)의 [[동자#s-2]]] * [[𡘉]]^^[⿱弗大]^^(클 불)[* [[㚕]](클 불)의 [[동자#s-2]]] * [[𣲴]]^^[⿱弗水]^^(끓을 비) * [[𥄱]]^^[⿱弗目]^^(눈어두울 비) * [[𧕒]]^^[⿱弗蟲]^^(바퀴 비) * [[𥝃]]^^[⿱弗禺]^^(비비 비)[* [[狒]](비비 비)의 [[동자#s-2]]] * [[𤯽]]^^[⿱弗⿺㪅生]^^(죽을 사)[* [[死]](죽을 사)의 [[동자#s-2]]] * [[𠡂]]^^[⿱弗力]^^/[[𢏇]]^^[⿱弗弓]^^(도울 필) * [[𢘍]]^^[⿱弗心]^^(도울 필, 비슷할 불, 답답할 비) * [[𦐡]]^^[⿱弗羽]^^(불) * [[𰁰]]^^[⿱弗人]^^ * [[𬽀]]^^[⿱弗云]^^ * [[𥡀]]^^[⿱弗秝]^^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鄪]](고을이름 비) * [[𠢥]]^^[⿰費力]^^(끼울 비) * [[𧝇]]^^[⿰衤費]^^(두루마기 비) * [[㩌]](때려넘어뜨릴 비) * [[曊]](말릴 비)[* [[昲]](말릴 비)의 [[동자#s-2]]] * [[䊧]](방귀 비)[* [[屁]](방귀 비)의 [[동자#s-2]]] * [[𤺕]]^^[⿸疒費]^^(부어오를 비) * [[㵒]](샘용솟을 비, 물소리 배) * [[𩯃]]^^[⿱髟費]^^(수염많을 비) * [[靅]](어두울 비) * [[鐨]](페르뮴 비) == 여담 == * [[掃]](쓸 소)라는 한자는 '쓸다'의 뜻이므로 '청소'([[淸]]掃) 따위에 쓰이고, [[苦]](쓸 고)는 (맛이) '쓰다'의 뜻이며, 費(쓸 비)와 [[用]](쓸 용)은 '사용하다'의 뜻이다. [[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