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頓}}}조아릴 돈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頁|{{{#000,#fff 頁}}}]],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トン, {{{#c88 トツ}}}}}}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くる-しむ, つか-れる, つまず-く,[br]とど-まる, とみ-に, ぬか-ずく,[br]ひたすら, ひたぶ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ù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頓은 ''''조아릴 돈'''', [[흉노]] [[선우#s-1]] 이름 돌이라는 [[한자]]로, '조아리다'를 뜻하며 [[묵돌]]에 쓰인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81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PUMBC(心山一月金)로 입력한다. 음을 나타내는 [[屯]](진칠 둔)과 훈을 나타내는 [[頁]](머리 혈)이 합쳐진 [[형성자]]로 대체로 돈이라고 읽지만 [[흉노]] [[선우]]의 이름으로 쓰일 적에는 [[안사고]]의 [[한서]] 주석에 따르면 소리가 독([[毒]])과 같다고 하고 『운회(韻會)』와 『홍무정운(洪武正韻)』에 따르면 [[반절]]이 당몰절(當沒切)이라서 '''돌'''이라고 읽는다고 한다. [[상고한어]]로는 [tu:ns]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 용례 == === [[단어]] === * 돈좌(頓挫) * [[사돈]]([[査]]頓) * [[정돈]]([[整]]頓) * 정돈(停頓): 한국에서는 흔히 쓰이지는 않는 단어인데 [[상법]]에서 뜬금없이 등장한다. "회사의 업무가 현저한 정돈상태를 계속하여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생긴 때 또는 생길 염려가 있는 때(에는 주식회사의 해산을 법원에 청구할 수 있다)"(제520조 제1항 제1호) 회사가 [[정리정돈]]이 잘 된 상태를 지칭하는 것이 당연히 아니고(...), [[데드락]]을 뜻한다. === [[고사성어]]/[[숙어]] === * 돈불고견(頓[[不]][[顧]][[見]]) * 돈오점수(頓[[悟]][[漸]][[修]]) * [[사돈팔촌]]([[査]]頓[[八]][[寸]]) === [[인명]] === * [[묵돌]]([[冒]]頓) * [[톤구 유마]](頓[[宮]] [[裕]][[真]]) === [[창작물]] === * [[頓珍漢の宴]]([[얼뜨기의 연회]])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蝢]](나라 이름 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