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頭}}}머리 두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頁|{{{#000,#fff 頁}}}]],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トウ, ズ, (ト), {{{#c88 ジュ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あたま, かしら, {{{#c88 かぶり, こうべ, ほとり}}}}}}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tóu{{{#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頭는 ''''머리 두''''라는 [[한자]]로, [[머리]]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머리 || || {{{-1 '''음'''}}} ||두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tóu || || {{{-1 '''[[광동어]]'''}}} ||tau^^4^^ || || {{{-1 '''[[객가어]]'''}}} ||thèu || || {{{-1 '''[[민동어]]'''}}} ||tàu || || {{{-1 '''[[민남어]]'''}}} ||thâu[*文 [[문독]]] / thiô[*白 [[백독]], 샤먼 등], thô͘[* [[백독]], 타이베이 가오슝 등] || || {{{-1 '''[[오어]]'''}}} ||deu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トウ, ズ, (ト), {{{#c88 ジュウ}}} || || {{{-1 '''훈독'''}}} ||あたま, かしら, {{{#c88 かぶり, こうべ, ほとり}}} || ||<-3> || ||<-2> '''[[베트남어]]''' ||đầu || [[유니코드]]에는 U+982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에서는 一廿一月金(MTMBC)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頁]](머리 혈)과 소리를 나타내는 [[豆]](콩 두)가 합쳐진 [[형성자]]다. == 용례 == === [[단어]] === * 가두([[假]]頭) * 가두([[街]]頭) * 가두검문([[街]]頭[[檢]][[問]]) * 가두검색([[街]]頭[[檢]][[索]]) * 가두극장([[街]]頭[[劇]][[場]]) * 가두녹음([[街]]頭[[錄]][[音]]) * 가두문학([[街]]頭[[文]][[學]]) * 가두방송([[街]]頭[[放]][[送]]) * 가두선전([[街]]頭[[宣]][[傳]]) * 가두시위([[街]]頭[[示]][[威]]) * 가두연설([[街]]頭[[演]][[說]]) * 가두집회([[街]]頭[[集]][[會]]) * 가두판매([[街]]頭[[文]][[學]]) * 십자가두([[十]][[字]][[街]]頭) * 교두([[敎]]頭/[[咬]]頭/翹頭) * 교두([[橋]]頭) * [[교두보]]([[橋]]頭[[堡]]) * [[구두]]([[口]]頭) * 구두계약([[口]]頭[[契]][[約]]) * 구두교([[口]]頭[[交]]) * 구두변론([[口]]頭[[辯]][[論]]) * 구두선([[口]]頭[[禪]]) * 구두설명([[口]]頭[[說]][[明]]) * 구두시문([[口]]頭[[試]][[問]]) * 구두시험([[口]]頭[[試]][[驗]]) * 구두심리([[口]]頭[[審]][[理]]) * 구두심판([[口]]頭[[審]][[判]]) * 구두약속([[口]]頭[[約]][[束]]) * 구두위임([[口]]頭[[委]][[任]]) * 구두주의([[口]]頭[[主]][[義]]) * 구두창([[口]]頭[[瘡]]) * 권두([[權]]頭) * 배권두([[陪]][[權]]頭) * 권두([[卷]]頭) * 권두언([[卷]]頭[[言]]) * 단두([[斷]]頭) * [[단두대]]([[斷]]頭[[臺]]) * 단두술([[斷]]頭[[術]]) * 단두장([[斷]]頭[[場]]) * [[대두]]([[擡]]頭/[[大]]頭) * [[두각]](頭[[角]]) * 두개(頭[[蓋]]) * [[두개골]](頭[[蓋]][[骨]]) * [[두건]](頭[[巾]]) * 두괄식(頭[[括]][[式]]) * [[두뇌]](頭[[腦]]) * 두령(頭[[領]]) * [[두목]](頭[[目]]) * [[두발]](頭[[髮]]) * [[두부]](頭[[部]]) * [[두서]](頭[[書]]/頭[[緖]]) * 두음(頭[[音]]) * 두음경화(頭[[音]][[硬]][[化]]) * 두음법(頭[[音]][[法]]) * [[두음법칙]](頭[[音]][[法]][[則]]) * [[두음전환]](頭[[音]][[轉]][[換]]) * [[두정안]](頭[[頂]][[眼]]) * [[두통]](頭[[痛]]) * [[편두통]]([[偏]]頭[[痛]]) * 두품(頭[[品]]) * [[사두품]]([[四]]頭[[品]]) * [[오두품]]([[五]]頭[[品]]) * [[육두품]]([[六]]頭[[品]]) * [[만두]]([[饅]]頭) * 모두([[冒]]頭) * 몰두([[沒]]頭) * [[백두대간]]([[白]]頭[[大]][[幹]]) * 변두([[邊]]頭) * [[부두]]([[埠]]頭) * 서두([[序]]頭) * [[선두]]([[先]]頭) * 선두타자([[先]]頭[[打]][[者]]) * 어두([[語]]頭) * 어두음([[語]]頭[[音]]) * [[염두]]([[念]]頭) * 우두마두([[牛]]頭[[馬]]頭) * [[인두#s-2]]([[咽]]頭) * [[인두염]]([[咽]]頭[[炎]]) * [[인두음]]([[咽]]頭[[音]]) * [[진신두]]([[鎭]][[神]]頭) * 출두([[出]]頭) * [[탄두]]([[彈]]頭) * 원자탄두([[原]][[子]][[彈]]頭) * 탄두음([[彈]]頭[[音]]) * [[핵탄두]]([[核]][[彈]]頭) * 필두([[筆]]頭) * [[화두]]([[話]]頭) * [[후두]]([[喉]]頭) * 후두개연골([[喉]]頭[[蓋]][[軟]][[骨]]) * 후두결절([[喉]]頭[[結]][[節]]) * 후두결핵([[喉]]頭[[結]][[核]]) * 후두경([[喉]]頭[[鏡]]) * 후두개([[喉]]頭[[蓋]]) * [[후두개음]]([[喉]]頭[[蓋]][[音]]) * [[후두암]]([[喉]]頭[[癌]]) * 후두연골([[喉]]頭[[軟]][[骨]]) * [[후두염]]([[喉]]頭[[炎]]) * [[후두음]]([[喉]]頭[[音]]) * 후두직달경검사([[喉]]頭[[直]][[達]][[鏡]][[檢]][[査]]) * 후두화([[喉]]頭[[化]]) * [[匹]]과 마찬가지로 (특히 [[일본어]], [[중국어]])에서) 동물을 셀때 쓰는 단위다. 匹과의 차이점이라면 匹은 작은 동물을 셀때고, 頭는 큰 동물을 셀때 기준이다. === [[고사성어]]/[[숙어]] === * 고두백배([[叩]]頭[[百]][[拜]]) * 구두삼매([[口]]頭[[三]][[昧]]) * 단두장군([[斷]]頭[[將]][[軍]]) * 두발상지(頭[[髮]][[上]][[指]]) * 백두([[白]]頭) * [[양두구육]]([[羊]]頭[[狗]][[肉]]) * [[어두육미]]([[魚]]頭[[肉]][[尾]]) * [[용두사미]]([[龍]]頭[[蛇]][[尾]]) * 초두천자([[草]]頭[[天]][[子]]) * 팽두이숙([[烹]]頭[[耳]][[熟]]) * 포두서찬([[抱]]頭[[鼠]][[竄]]) * 호두사미([[虎]]頭[[蛇]][[尾]]) * 호두묘미([[虎]]頭[[猫]][[尾]]) === [[인명]] === * [[고즈마루]]([[牛]]頭[[丸]]) * [[두만]](頭[[曼]]) * [[메즈마루]]([[馬]]頭[[丸]]) * [[모두루]]([[牟]]頭[[婁]]) * [[미츠가시라 에노코]]([[三]]頭 [[慧]]ノ[[子]]) * [[엔토우지 코스케]]([[猿]]頭[[寺]] [[耕]][[助]]) * [[오니가시라 코스리]]([[鬼]]頭 [[鼓]][[修]][[理]]) * [[이노가시라 고로]]([[井]][[之]]頭 [[五]][[郎]]) * [[지토우에 네네]]([[地]]頭[[江]] [[音]]々) * [[키토 미쿠루]]([[鬼]]頭 [[未]][[来]]) * [[키토 아카리]]([[鬼]]頭 [[明]][[里]]) * [[토고 타카히토]](頭[[護]] [[貴]][[人]]) * [[효도 쥬자]]([[兵]]頭 [[十]][[座]]) * [[후루야리 즈킨]]([[古]][[槍]] 頭[[巾]]) === [[지명#s-2]] === * [[두류역]](頭[[流]][[驛]]) * [[마두역]]([[馬]]頭[[驛]]) * [[백두대간]]([[白]]頭[[大]][[幹]]) * [[스와토가 정류장]]([[汕]]頭[[街]][[電]][[車]][[站]]) * [[용두역]]([[龍]]頭[[驛]]): 서울, 광주, 대전 모두 한자가 같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항파두리로]]([[缸]][[坡]]頭[[里]][[路]]) === [[창작물]] === * [[头号新闻]] * [[ほおずき程度には赤い頭髪]] * [[徹頭徹尾 Thrive at Perfect Fourth]] == 유의자 == * [[𨼽]](우두머리 거) * [[𠰡]](우두머리 금) * [[首]](머리 수) * [[酋]](우두머리 추) * [[頁]](머리 혈) == 상대자 == * [[尾]](꼬리 미)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정자(한자)|정자]]''' 頭 * [[顆]](심을 과) * [[剅]](조금 뚫을 두) * [[㰯]](침뱉을 두) * [[須]](모름지기 수) * [[顗]](근엄할 의) * [[頗]](자못 파) * [[項]](항목 항) * [[顯]](나타날 현) * '''[[간체자]]''' 头 * [[买]](살 매) - [[買]]의 간체자. * [[卖]](팔 매) - [[賣]]의 간체자. * [[实]](열매 실) - [[實]]의 간체자. == 여담 ==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의 [[벤투호/2022 FIFA 월드컵 카타르/포르투갈전|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수준 이하의 플레이로 한국에게 이득을 주었다는 이유로 다음과 같은 한국 재외국민 주민등록증 짤이 나돌아다니고 있다. 호날두의 이름을 [[號]](이름 호), [[捺]](누를 날), 頭(머리 두)로 표기한 모습이다. 참고로 실제로 존재하는 [[호씨]]는 [[扈]](따를 호) 또는 [[胡]](되 호)를 쓰지 號를 쓰지 않는다. 하지만 號는 '부르짖다'라는 훈도 존재하기 때문에 [[Siuuuu|호날두의 세레모니]]를 생각해보면 적절히 훈차했다고 볼 수도 있다. [[파일:호날두 민증.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