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齲}}}충치 우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齒|{{{#000,#fff 齒}}}]], 9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24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𮯌}}}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ウ, ク}}}}}}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むしば}}}}}}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qǔ{{{#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齲는 ''''충치 우''''라는 [[한자]]로, '[[충치]]'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F7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GPPA(一土心心日)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齒]](이 치)와 음을 나타내는 [[禹]](성 우)가 합쳐진 [[형성자]] 같지만… ||[[파일:41_EB1D.png]]|| || [[갑골 문자|갑골문]] || 진실은 [[상나라]]에서 만든 [[상형자]]다. 입과 이와 벌레의 모습이 오늘날에 봐도 뻔하다. 벌레가 충치를 만든다는 생각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보편적인가 보다. 그러나 [[소전]]부터 [[형성자]]로 바뀌었다. [[해서]]도 복잡함을 감안하면 간략함을 위해서가 아니라 한자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이 사이에 벌레가 있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를 나타낼 요소가 딱히 없어서 그런 게 아닌가 추측된다. == 용례 == === [[단어]] === * 우치(齲[[齒]]) * [[충치|치아우식증]]([[齒]][[牙]]齲[[蝕]][[症]])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일본어]] === ==== [[훈독]] ==== ==== [[음독#s-1]] ==== === [[중국어]] === === 기타 ===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𡥶]]^^[⿰子禹]^^(외로울 거, 어릴 유) * [[𥈋]]^^[⿰目禹]^^(놀라서보는모양 구) * [[聥]]/[[𦞇]]^^[⿰⺼禹]^^(놀랄 구) * [[䄔]]/[[𢯺]]^^[⿰扌禹]^^(성씨 구) * [[竬]](세울 구) * [[蝺]](예쁠 구, 곱사등이 우) * [[𡟥]]^^[⿰女禹]^^(꼽추 규) * [[𪑴]]^^[⿰黑禹]^^(검붉을 리)[* [[𪒔]](검붉을 리)의 [[동자#s-2]]] * [[楀]](나무이름 우) * [[瑀]](옥돌 우) * [[𤘐]]^^[⿰牙禹]^^(이썩을 우) * [[偊]](혼자걸을 우) * [[踽]](홀로걸을 우) * [[渪]](젖을/막힐 유)[* [[濡]](젖을/막힐 유)의 [[동자#s-2]]] * [[㙖]](우) * [[𨺲]] * [[𣈭]]^^[⿰日禹]^^ * [[𪹋]]^^[⿰火禹]^^ * [[𮵖]]^^[⿰石禹]^^ * [[𰨰]]^^[⿰禾禹]^^ * [[𲀹]]^^[⿰衤禹]^^ * [[𦔊]]^^[⿰耒禹]^^ * [[𫒳]]^^[⿰金禹]^^ == 여담 == [[분류:급수 미배정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