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家紋, rd1=가몬(일본), other2=게임, rd2=, rd2_1=가문: 드래곤의 부활)] [목차] == 개요 == '''가문'''([[家]][[門]])은 '[[가족]] 또는 가까운 [[일가]]로 이루어진 [[공동체]] 또는 그 사회적 [[지위]]'이다. 단일한 성([[姓]])을 공유하는 [[혈연|혈족]]과 혼인관계를 통해 서 그 구성원에 포함된 혈족의 일원을 통칭하는 단어. 서구권[* [[영미권]], [[프랑스어권]], 스페인어권, [[독일어권]], 이탈리아어권 등등.]의 가문은 Family나 House[* House는 주로 일국의 [[통치]]가문 (쉽게 말해서 [[왕족]])이나 그에 버금갈 만큼 유서가 깊은 대귀족 가문을 표기할 때 사용되며 [[프랑스어]]로는 Maison, [[스페인어]]-[[이탈리아어]]로는 Casa, [[독일어]]로는 Haus가 영어의 House에 대응된다.], Clan[* Clan은 가족을 뜻하는 15세기 게일어 Cland에서 유래한 단어이다.]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종종 [[동아시아]]의 가문의 영번역을 Clan으로 표기하는데[* 예외적으로 House로 표기하는 경우도 없진 않은데, 대표적인 사례가 통치가문이었던 [[전주 이씨|이씨 가문 (House of Yi)]]. 다만 [[영어 위키백과]]의 'House of Yi'에서는 조선 왕통 직계 및 최종적으로는 고종의 후손 집안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온다. 왕통 직계를 넘어서 전주 이씨 그 자체를 가르키는 용어로는 Clan이 사용된다. 즉 왕이 되지 못한 대군 혹은 군의 부계 후손인 조선시대 혹은 현대 한국의 전주 이씨들은 Clan에는 포함되지만 House에서는 제외되는 것이다.] 이는 동아시아의 가문들이 집안 사람들로만 형성된 세력이 아닌 [[씨족|중심이 되는 집안의 세력과 그들을 따르는 집안과 세력들까지 한 가문의 일원]]으로 보기 때문이라고 한다. == 유사 [[개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종중)] 가문의 구성원들이 모인 단체를 종중이라고 한다. == 역사 == [[씨족]] 사회에서 [[귀족]] 사회로 넘어오면서 정치적 주체의 최소단위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 변화는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지역마다 다른데, 중앙집권화가 이뤄지는 시기가 일반적으로 그 기점이 된다. 가문에 속한 개인의 일은 곧 가문 전체의 일이 되고, 그래서 개인이 벌인 일에 대해서도 가문이 책임을 지거나, 개인이 당한 일에 가문 전체가 대응하게 되었다. 귀족[* 그런데 사실 자본가들도 태생을 중시하면 마찬가지다. [[http://www.econotelling.com/news/articleView.html?idxno=4124]] ]들에게는 자신이 속한 가문이 인재를 공급해 줄 인력풀이 되기도 했다. 문화적으로도 근대화가 이뤄진 지역에서는 가문이 그렇게까지 부각되지는 않는데, 이는 가문의 혈족주의를 대체하는 집단들이 활성화된 것이 그 이유. 사실 그것보다 더 정확히는 가문 같은 게 없는 민중들이 법과 제도, 심지어는 가치관의 교육등을 통하여 불리하게 만든다. 물론 지금도 과거처럼 압도적이지만 않을 뿐이지, 여전히 정점에 가까운 강력한 집단이다. 이런 가문의 내력을 연구하는 학문이 [[계보학]]이다. == 유명 가문 == === 왕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왕조)] === [[귀족]] 가문 및 전근대의 유력자 가문 === ==== 아시아 ==== * [[한국]]의 귀족 가문 * [[고구려]]의 연씨 가문[* 이 가문 출신의 [[연개소문]]은 [[쿠데타]]를 일으켜 [[영류왕]]을 시해하고 [[보장왕]]을 옹립함으로써, 왕을 능가하는 권세를 자랑했다. 그러나 그의 사후 [[연남생|아]][[연남건|들]][[연남산|들]]과 [[연정토|동생]]이 권력 투쟁을 벌이다 나라가 망하는 바람에 몰락했다.] * [[백제]]의 [[대성팔족]] * [[신라]]의 [[진골]] 가문 - [[박(성씨)|경주 박씨]], [[경주 석씨]], [[경주 김씨]][* 왕위와 왕후를 맡고 주요 귀족가문으로 군림하였다. 다만 석씨는 도중에 몰락하여 신라 중기부터는 중앙 정계에서 배제된다.] * 신라의 [[6두품]] 가문 - [[경주 최씨]], [[경주 이씨]], [[경주 정씨]], [[경주 손씨]], [[배(성씨)|경주 배씨]], [[설(성씨)|경주 설씨]][* 신라를 처음 세울 때 [[혁거세 거서간]]을 옹립하고 도운 [[고조선]] 유민 출신 6촌에서 각각 유래하였다.] * [[고려]]의 [[문벌귀족]], [[권문세족]] 가문 - [[인천 이씨]], [[해주 최씨]], [[경주 김씨]], [[안산 김씨]], [[파평 윤씨]][* 문벌귀족, 권문세족의 대표적 가문으로 고려 초 중기~후기까지 왕실과 혼인을 하면서 권력을 유지하였다.] * [[조선]]의 [[양반|국반]] 가문 - [[광산 김씨]], [[은진 송씨]], [[반남 박씨]], [[진보 이씨]], [[여주 이씨]], [[덕수 이씨]][* 조선시대 6대 국반으로 문묘 및 종묘에 배향된 가문이다.] * [[일본]]의 4대 본성(원평등귤)[* [[일본어]]로는 '겐페이토키츠'라고 발음한다.][* 일본의 귀족이라 할 수 있는 [[공경]] 및 [[사무라이]] 가문들은 대부분 이 가문들로부터 파생된 가문이다. 이 중에서 후지와라를 제외한 세 가문은 '''[[일본 황실]]'''에서 [[분가|갈라져나온 가문]]이며(다만 왕위 계승권은 없다.), 후지와라는 [[나카토미노 카마타리|시조]]가 황족인건 아니지만 대대로 [[황후]]를 배출하고, [[섭정]], [[관백]] 등 [[조정]]의 고위 관직을 역임한 가문이다.][* [[가마쿠라 시대]] 이후에는 본성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영지(역사)|영지]]나 저택의 이름에서 따온 '묘지'를 성씨처럼 사용하게 되었으며, 오늘날 [[일본의 성씨]]는 법적으로는 모두 묘지이며, 본성은 [[족보]]에서나 사용하고 있다.] * [[미나모토]][* [[가마쿠라 막부]]를 세운 가문으로 유명하며, 대표적인 분가로는 [[무로마치 막부]]를 세운 [[아시카가]] 가문이 있다. 그리고 신빙성이 떨어지긴 하지만 [[에도 막부]]를 세운 [[도쿠가와]] 가문 역시 미나모토를 자칭했다. 그래서 '''[[겐지]](미나모토의 음독)만이 [[정이대장군|쇼군]]이 될 수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위세를 떨친 가문이다.] * [[타이라]][* 가마쿠라 막부 이전에 일본을 지배한 [[헤이케]] 정권을 세운 가문이며, 신빙성이 떨어지긴 하지만 [[센고쿠 시대]]의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도 이 가문의 후예를 자처했다.][* 다만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평민]] 출신일 가능성이 높은데다, 후지와라 가문의 수장인 [[고노에 사키히사]]의 [[양자(가족)|양자]]가 되어 후지와라로 갈아탔다. 그리고 [[천황]]에게 [[도요토미]]라는 성을 새로 하사받음으로써, '''기존의 원평등귤과 맞먹는 새로운 가문을 만들었는데''', [[도요토미 히데요리|그의 아들]] 대에 몰락하는 바람에 2대 만에 나가리되고 말았다(...)] * [[후지와라]] * [[타치바나]] * 오스만 제국 * [[쾨프륄뤼 가문]] ==== 유럽 ==== * [[고대 로마]]의 귀족 가문 * 유니우스 가문[* '''[[로마 공화정]]의 창시자''' [[브루투스|루키우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와 카이사르 암살범 [[마르쿠스 브루투스]], [[데키무스 브루투스]] 등을 배출한 가문이다.] * [[율리우스 가문]][*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배출한 가문으로 유명하며, 아래의 클라우디우스 가문 및 다른 유력 가문들과의 혼맥을 통해 [[로마 제국]]의 첫번째 왕조인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를 세운다.] * [[클라우디우스 가문]][* 이 가문에서 배출한 [[클라우디우스 황제]]가 유명해서, 그냥 클라우디우스라고 하면 이 황제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군인 황제 시대]]에는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라는 [[로마 황제|황제]]도 있었는데, 워낙 혼란스러운 시대라서 참칭일 가능성이 높다.] * [[코르넬리우스 가문]][* 스키피오 가문과 [[술라]] 가문 등의 분가가 유명하다.] * [[귀족/영국|영국의 귀족 가문]] * 스펜서 가문[* 약 15세기 경부터 다양한 방면에서 두각을 나타낸 명문가. 크게 스펜서처칠을 성으로 사용하는 본가와 스펜서를 성으로 사용하는 분가로 나뉘며 본가 출신의 유명인으로는 [[영국 총리]]를 지낸 [[윈스턴 처칠]][* 처칠의 본명은 윈스턴 레너드 스펜서처칠이다.]이, 분가 출신의 유명인으로는 비운의 왕세자비 [[다이애나 스펜서]]가 있다. 본가와 분가 모두 초대 말버러 [[공작(작위)|공작]] [[존 처칠]]의 딸, 앤 처칠의 후손이며 앤 처칠의 증손자인 5대 말버러 공작, 조지 스펜서가 존 처칠을 기리기 위해 자신의 성씨를 스펜서처칠로 바꾸면서 본가와 분가가 구분되기 시작했다. 여담으로 앤 처칠에게는 5대 공작의 할아버지이자 3대 공작이던 찰스 스펜서 외에 존 스펜서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그 존 스펜서의 아들인 존 스펜서가 [[조지 3세]]에게 [[백작|스펜서 백작 (Earl Spencer)]]위를 받았다.] * 스위스의 귀족 가문 * [[베르누이 가문]][* [[수학]]이나 [[물리학]] 관련해서 많이 볼 수 있는 가문으로, 이 가문에서 수학 및 물리학 문제를 연구했고 성과도 많이 냈다.] * [[십자군 국가]] * [[예루살렘 왕국/가문]] * 북유럽 * [[만네르헤임가]] * 스페인 *[[보르자 가문]] === [[현대]]의 유명 가문 === ==== [[정치인]] 가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치인 가문)] ==== 명문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명문가)] ==== [[기업인]] 가문 ==== ===== 대한민국 ===== * [[범삼성가]] * [[범한진가]] * [[범한화가]] * [[범금호가]] * [[범두산가]] * [[범현대가]] * [[범효성가]] * [[범SK가]] * [[범동원가]] * [[범LG가]] * [[범GS가]] * [[범롯데가]] * [[범대우가]] * [[범코오롱가]] * [[범쌍용가]] * [[범DL가]] * [[조선일보/오너 일가|조선일가]] * [[중앙일보/오너 일가|중앙일가]] * [[동아일보/오너 일가|동아일가]] ===== 미국 ===== [include(틀:미국의 기업 가문)] * [[마즈(기업)|마즈 가문]] ===== 유대계 ===== [include(틀:유대인 기업 가문)] ===== 유럽 ===== * [[발렌베리 가문]] * [[엑소르|아넬리 가문(Famiglia Agnelli)]] ==== 체육인 가문 ==== * [[그레이시 가문]][* [[브라질리언 주짓수]]를 창시한 가문으로 유명하다.] * [[아노아이 가문]] * 게레로 가문 * 하트 가문 ==== 연예인 가문 ==== * [[코폴라 가문]] * [[카다시안 가족]] * [[배리모어|배리모어 가문]] == [[창작물]]에서의 가문 == * [[공전마도사 후보생의 교관]] - 엔디케우스 가문 * [[귀곡의 문]] - 이 가[* [[영연]]에서 가장 힘 있는 가문이다.], 송 가[* 점술 쪽에 일가견이 있는 가문이다.] * [[나루토]] - [[센쥬 일족]], [[우치하 일족]], [[휴우가 일족]], [[우즈마키 일족]], [[야마나카 일족]], [[나라 일족]], [[사루토비 일족]], [[오오츠츠키 일족]], [[치노이케 일족]] * [[나이트런]] - [[5대 무가]] * [[노블레스(웹툰)|노블레스]]의 [[귀족(노블레스)#s-4.3|귀족 가문들]] * [[네크로맨서 학교의 소환천재]] - 무어 가문, 우르슬라 가문, 빌렌느 가문, 휴 이켈 가문, 코크 가문, 셀린 가문, 그레리엄 가문, 아르스칼트 가문, 하츠 가문, 폴렌티아 가문, 크로스 가문, 에덴하트 가문 * [[눈물을 마시는 새]] - 굴도하 가문, [[규리하]] 가문, 마케로우 가문, 빌파 가문, 센 가문, 자보로 가문, 페이 가문 * [[대부]] - 콜레오네 가문 * [[데스마치에서 시작되는 이세계 광상곡]] - 펜드래건 가문, 맥크레 가문, 베르톤 자작가, 에므린 자작가, 마리엔텔 가문, 비스탈 공작가, 보넘 백작가, 오유고크 공작가 * [[덴마]] - [[고산]] 가문, [[엘]] 가문 * [[단간론파 시리즈]] - 키리기리 가문 * [[동방 프로젝트]] - 와타츠키 가문 * [[도쿄 구울]] - [[와슈 가문]] * [[듄 시리즈]] - [[아트레이데스 가문]], [[하코넨 가문]], [[코리노 가문]], [[익스 가문]] * [[드래곤 라자]] - 바이서스 가, 핼턴트 가, 휴리첼 가 * [[란마 1/2]] - [[샤르당 가문]] * [[레젠다리움]] - [[핀웨 왕조]], [[페아노르 가문]], [[핑골핀 가문]], [[베오르 가문]], [[하도르 가문]], [[할레스 가문]], [[엘로스 왕조]], [[후린 가문]], [[두린]] 가문, [[골목쟁이네 집안|골목쟁이네 가문]], [[툭 집안|툭 가문]], [[강노루 집안|강노루 가문]] * [[롤랑롤랑]] - 슈이스키 가문, 로렐라이 가문, 토크빌 가문 * [[룬의 아이들]] - 진네만 가문, 아르님 가문, 폰티나 가문, 강피르 가문, 티카람 가문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 - [[토키메 일족]] * [[마인탐정 네우로]] - [[새로운 혈족]] * [[붕괴: 스타레일]] - 랜도 가문 * [[블리치]] - 쿠로사키 가문[* [[퀸시]] 집안이다. 즉, 이치고는 사신과 퀸시의 혼혈이다.], 이시다 가문, 쿠치키 가문, 시호인 가문[* 대대로 [[천사병장]]을 맡아 관리, 봉인한다. 그래서 이 가문을 언급할 때는 '천사병장 지킴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츠나야시로 가문, 시바 가문, 쿄라쿠 가문, 카스미오오지 가문[* 애니판 한정.], 키라 가문, 우키타케 가문, 퐁 가문[* 대대로 처형과 암살을 생업으로 삼는 하급 귀족이다. 일족 모두가 형군에 들어가 생애를 바치는 게 당연하게 여겨지며, 형군에 들어가지 못하면 가문에서 추방 당한다.], 이세 가문 * [[사혼곡: 사이렌]] - [[카지로 가문]] * [[세월의 돌]] - 나르시냐크 가 * [[성각의 용기사]] - 랜들 가문, 블레일스포드 가문, 비터하우젠 가문, 셰리 가문, 라폰 가문 * [[소드 아트 온라인]] - 하렌츠 가문 * [[스트리트 파이터 5]] - 칸즈키 가문(이 가문의 당주가 스파5의 등장 캐릭터인 칸즈키 카린이다. * [[스타워즈 시리즈]] - [[스카이워커 가문]], [[솔로의 가문]]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오래된 가문]] * [[신부 이야기]] - [[신부 이야기/등장인물/에이혼 가|에이혼 가]], [[신부 이야기/등장인물/하르갈 가|하르갈 가]], 스미스 가 * [[신의 탑]] - [[자하드 왕가]], [[위대한 가문]], [[그랑 가문]] * [[아메리카노 엑소더스]] - 빈즈 가문, 디아즈 가문, 플레르 가문, 펠트너 가문, 웨이즈 가문, 베질 가문, 페르난 가문, 하우즈 가문, 포트넘 가문, [[위타드 가문]], 리버티 가문 * [[아카데미 검은머리 외국인]] - 시노자키 가문, 쿠로사와 가문, 카미야 일문 * [[앙상블 스타즈!]] - 텐쇼인 가문, 히메미야 가문, 스오우 가문 * [[얼음과 불의 노래]]에 등장하는 가문들 - [[대가문]] 및 [[얼음과 불의 노래/등장 세력 및 인물]] 참조 * 엘더스크롤 시리즈의 [[대가문]]. * [[엘피스 전기 시리즈]] - [[디바인 가문]], [[세븐쥬얼 가문]], 라이트닝 가문, 라이노 가문, 크레인 가문, 랜스 가문, 화이트 타이거 가문 * [[역전재판 시리즈]] - [[아야사토]] 가문 * [[원신]] - 군힐드 가문, 라겐펜더 가문, 로렌스 가문, 카미사토 가문, 쿠죠 가문, 히이라기 가문, 알베리히 가문, 슈미트 가문, 호마야니 가문, 캐츠라인 가문, 카에데하라 가문 * [[원피스(만화)|원피스]] - [[빈스모크 가문]], 샬롯 가문, [[D의 일족|몽키 D 가문]], 돈키호테 가문, 네펠타리 가문 * [[월드 티처]] - 드리아누스 가문, 에버리티 가문, 호르티아 가문, 엘메로이 가문, 엘드랜드 가문 * [[오버워치]] - [[시마다 가문]] * [[왕의 프러포즈]] - 후야죠 가문 * [[워프레임]] - [[Warframe/신디케이트/엔트라티|엔트라티 가문]] * [[이누가미 일족]] - [[이누가미 가문]] * [[죠죠의 기묘한 모험]] - [[죠스타 가문]], [[체펠리 가문]], [[히가시카타 가문]] * [[전설의 용자의 전설]] - --[[루실 에리스|에리스 가]][* 루실이 인간이 아니게 되어버린 후, 대를 이을 수 있을지 없을지 조차 의심스러웠지만 대전용전 15권에서 당주이자 가문내에 하나밖에 없는 남자가 죽어버렸으니 대를 잇긴 글렀다. 여동생인 이리스는 아마 에리스가를 이을 가능성이 없어보이고, 특히 페리스는 더더욱 대를 잇지 않을 듯 하다. 그리고 루실도 이 집안은 미쳤다며, 에리스가의 어둠을 짊어지는건 자신 혼자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했으니 여동생들에게 에리스가의 무거운 짐을 없애려고 했었으니 아마 에리스가는 영영 다시 재림하기는 힘들 것이다.]--, --[[률라 류틀|류틀 가]][* 률라가 아들을 살려내려고 나라를 뒤엎고, 세계를 뒤엎고 롤랜드 최고의 마술사라고 불리운 최고마도사의 지위와 공작 작위까지 버려서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가문... '''롤랜드 국에서는 일부 몇몇만 빼고 이 가문이 존재하는 지에 대한 인식조차도 없어지고 말았다.''' 다시 재개할 기미도, 생각도 보이지 않는 상태다.]--, [[시온 아스타르|왕족]] * [[정령사의 검무]] - 엘스틴 가문, 파렌가르트 가문, 로렌프로스트 가문, 켈자노스 가문 * [[정령환상기]] - 아르보 가문, 유그노 가문, 거버네스 가문, 크렐 가문, 크레티아 가문, 오르귀 가문, 로던 가문 * [[진격의 거인]] - [[아커만 일족]], [[타이버 가문]], [[아즈마비토 가문]], [[예거 가문]], [[글라이스 가문]], [[아커만 일족]] * [[재혼 황후]] - 트로비 공작가, 투아니아 공작가, 탈리탈 후작가, 림웰 자작가, 이스쿠아 자작가, [[즈멘시아 공작가]], 리버티 공작가, 케트런 후작가, 아마레스 후작가 * [[최약무패의 신장기룡]] - 크로이처 가문, 에인폴크 일가, 기잘트 가문, 그랑하이드 가문, 라르그리스 가문 * [[카케구루이]] - [[모모바미 일족]] * [[피를 마시는 새]] - 굴도하 가, 규리하 가, 달비 가, 비나간 가, 빌파 가, 자보로 가, 토프탈 가, 파림 가, 퍼스 가, 헨로 가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파이널 판타지 XI]] [[아두린의 마경]] - [[아두린 12가문]] * [[파이널 판타지 XIV]] [[창천의 이슈가르드]] - 이슈가르드 사대명가 * [[파이널 판타지 XV]] - [[글라디올러스 아미시티아|아미시티아 가문]] * [[판도라 하츠]] - 4대 공작가(베델리우스 가문, 나이트레이 가문, 레인즈워스 가문, 바르마 가문), 바스커빌 가문, 싱클레어 가문, 루넷 가문 * [[폴아웃 시리즈]] - 맥슨 가문 * [[해리포터 시리즈]] - [[블랙 가문(해리 포터 시리즈)|블랙 가문]], [[말포이 가문]], [[위즐리 가문]], [[포터 가문]], [[곤트 가문]], [[레스트레인지 가문]] * [[헬릭스 왈츠]] - 4대가문(바바론카 가문, 살칸가문, 죠카셀 가문, 오리넬가문), 에런스탄 가문 * [[Fate 시리즈]] - [[시작의 세 가문]], [[에미야 가문]], [[에인즈워스 가문]], 에델펠트 가문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 메이더스가, 칼스텐가, 아스트레아가, 유클리우스가, 파우젠가 등 [[분류:가문]][[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