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고등학교)] [include(틀:명인학원)] ||<-2> '''{{{#white {{{+1 가야고등학교}}}[br]伽耶高等學校[br]Gaya High School}}}''' || ||<-2>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152,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1973년]] || || {{{#white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white '''성별'''}}} || [[남녀공학]] || || {{{#white '''형태'''}}} || [[사립]] || || {{{#white '''교장'''}}} || 박형준 || || {{{#white '''교감'''}}} || - || || {{{#white '''교훈'''}}} || '''충실한 계획과 실천''' || || {{{#white '''교화'''}}} || [[철쭉]] || || {{{#white '''교목'''}}} || [[향나무]] || || {{{#white '''교조'''}}} || [[까치]] || || {{{#white '''학생 수'''}}} || 472명[* 남학생 151명, 여학생 321명] [br](2023학년도 기준) || || {{{#white '''교직원 수'''}}} || 49명[* 남교사 320명, 여교사 19명] [br](2023학년도 기준) || || {{{#white '''학교법인'''}}} || 명인학원 || || {{{#white '''관할 교육청'''}}} || [[부산광역시교육청]] || || {{{#white '''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152 ([[가야동]]) || || {{{#white '''홈페이지'''}}} || [[http://www.gaya.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위치한 [[남녀공학]] [[사립]] [[일반계 고등학교]]. --[[김해가야고등학교]]와는 다르다.[* 김해시 관내 고등학교는 교명 앞에 지역명인 [[김해]]를 붙히는 것이 거의 일반적이다. 김해시에는 가야동이라는 동명이 없고 김해가야고는 [[내외동]]에 위치해 있다.]-- [[가야동]]의 명칭을 따서 교명이 지정되었다. 부산 가야동 거주 학생들의 필수 코스로 [[가야초등학교(부산)|가야초등학교]]/[[가평초등학교]]/[[부산가산초등학교]] - [[부산개성중학교]]/[[가야여자중학교]] - [[가야고등학교]] - [[동의대학교]] 진학 트리가 있다. == 상세 == 가야고등학교 바로 옆에 [[부산개성중학교]]와 서로 붙어있으며 위쪽으로 [[동의대학교]]가 위치하며 그 옆으로 [[가야여자중학교]]와 부산가산초등학교가 모여 있는 등 하나의 [[학군]]을 형성하고 있다. == 학교 연혁 == || {{{#white 날짜}}} || 연혁 || || {{{#white 1954. 09. 04}}} || 학교법인 명인학원 설립 || || {{{#white 1973. 11. 01}}} || 구 '''[[항도고등학교]]''' 인수 || || {{{#white 1974. 03. 01}}} || 부산 '''가야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 {{{#white 1974. 03. 05}}} || 한오작 교장 취임 || || {{{#white 1974. 03. 28}}} || 현 위치로 교사 이전 || || {{{#white 1994. 01. 01}}} || 가야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 {{{#white 1999. 03. 01}}} || 학칙변경(남학교 → 남녀공학) , 생활한복을 교복으로 선정 || || {{{#white 2016. 02. 12}}} || 제62회 졸업식(314명, 총 29,386명) || || {{{#white 2016. 03. 01}}} || 제8대 김명균 교장 취임 || || {{{#white 2016. 03. 02}}} || 제65회 입학식(남학생 3학급, 여학생 6학급 총 222명) || || {{{#white 2020. 12. 30}}} || 제67회 졸업식(177명, 총 30,487명) || || {{{#white 2021. 03. 02}}} || 제70회 입학식(149명) || || {{{#white 2021. 08. 30}}} || 제10대 김경두 교장선생님 정년퇴임 || || {{{#white 2021. 08. 30}}} || 제11대 박형준[* 취임전 한국사를 가르치셨다] 교장선생님 취임 || || {{{#white 2022. 02. 09}}} || 제68회 졸업식(174명, 총 30,661명) || || {{{#white 2022. 03. 02}}} || 제71회 입학식(149명) || || {{{#white 2023. 03. 02}}} || 제74회 입학식(176명) || == 교훈 및 상징 == 출처: 가야고등학교 홈페이지 === 교화 === * [[철쭉]] === 교목 === * [[향나무]] 때문에 교내에 유독 향나무가 많이 식재되어 있다. === 교조 === * [[까치]] === 교훈 === "충실한 계획과 실천" === 교가 === " 찬란한 역사의 빛 가야 옛터에 진리의 문 높이솟아 우리를 부른다 슬기로운 겨레의 내일을 위해 가야건아 한데 뭉쳐 횃불이되자 오오오 영광스런 배움의 전당 빛내자 가야의 얼 영원히 영원히 낙동강 큰 물구비 동해물 이루듯 옛 뜻이어 새 빛 이룰 우리들 모였다 참을 닦고 힘모아 조국을 지킬 가야건아 한데 뭉쳐 횃불이되자 오오오 영광스런 배움의 전당 빛내자 가야의 얼 영원히 영원히 " == 교복 == [[https://blog.naver.com/smartfnd/178708776|#가야고 옛날 교복]] === 98~14 === '''[[교복]]이 무려 생활[[한복]]을 모티브로 디자인되었었다.''' 이 교복은 98년도부터 채택된 것으로 바지는 통이 매우 넓고 발목 부분만 달라붙는 한복바지였으며 치마는 무슨 한복의 그것마냥 치마단이 종아리까지 내려오는 사실상 개량한복 그 자체였다. 상의의 경우 길이가 거의 허벅지까지 내려온 [[저고리]]나 [[두루마기]]처럼 생겼다. 그야말로 부산 관내 중고등학교에서는 사실상 유일한 [[한복]]을 교복으로 채택했으며 전국 단위로 가면 [[민족사관고등학교]]의 --한복--교복과 거의 비슷한 생김새를 띄고 있었다.[* 가야고등학교 홈페이지의 가야갤러리를 뒤져보면 옛날 교복의 자세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때문에 가야고등학교 학생이 교복을 입은 채로 심하게 튜닝한 [[엑시브]] [[오토바이]]를 타고 [[서면]] 번화가 거리에서 광란의 질주를 벌이는 모습을 보면 [[충격과 공포]]스러운 [[컬쳐 쇼크]]를 느낄 수 있다. 때문에 학생들로부터 악명이 높았다. === 2015년 이후 현행교복 === 2015학년도 신입생들부터 일반적인 디자인의 [[교복]]으로 바뀌게 되었는데, 인근 [[동서대학교]] 패션디자인과 교수가 디자인을 담당했다고 한다.[* [[학생회]]에서 [[동창회]]와 [[높으신 분들]]께 지속적으로 교복을 변경시켜달라고 요구를 넣은 바 있었다.] 여담이지만 드라마 [[왕관을 쓰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 - 상속자들]]의 교복을 채택하겠다는 기사도 있었으며, 그러한 까닭인지 이와 상당히 닮아있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385022|#]] 부산 시내 고등학교 교복 중에 원단소재도 가장 최상급으로 채택하였으며, [[스마트(교복 브랜드)|스마트개금점]]에서만 학교 지정 [[공동구매]] 형식으로 판매한다. [* 와이셔츠에 달린 장식부터, 모든 디자인에서 다른학교 같지 않다. 미묘하게 차이를 두어 교복 값을 상당히 인상하고, 학교공동구매 형태로 스마트 당감점에서 독점적으로 취급하도록 해놓았다.] 바지와 치마 색 또한 [[베이지]] 계열을 채택하여, 같은 색을 찾아보기 힘든데, 이로써, 해당 루트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교복도 구매하기가 어려우며, 바지 한벌에도 7만원에 육박하는 거금에 등골을 와르르 부숴버릴 독점계약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생활한복 시절에 비하면 [[상전벽해]]가 따로 없을 정도로 교복이 달라졌으며, 학생들의 반응도 꽤 좋아졌다. 부산 전체 학교들 중에서 최악의 교복 1순위에서 교복이 예쁜 학교로 순위권에 들어갈 정도다. [* 교복이 특이해서 좋았다 할지라도, 어디 교복 입고 서면 거리라도 배회하고 싶겠는가.] == 학교 생활 == === 규제 및 통제 === 2021년 현 시점 기준으로 복장 이외에는 별도는 재재가 없는 편이다.[* 2019년도 만하더라도 다른 학교들과 비교해보면 두발 규제가 심한 편이며 당시 규정을 보면 남학생의 경우 기존 [[반삭]] 스타일의 머리에 '[[투블럭]]을 허용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었다. 또한 2010년대 초반에는 남학생의 경우 거의 [[반삭]]에 여학생의 경우 귀밑 10cm 이하의 짫은 [[단발]]머리가 규정이었다.] 교복등교도 엄격히 잡는 편은 아니나, 등교시 복장 불량[* 체육복 또는 교복 미착용]에 대해서는 학생부 교사들이 직접 교문지도를 하며 단속한다. 2021년 현재 체육복 등교도 가능하다. === 급식과 야자 === 2021학년도 현재 1타임 야자는 꼭 해야 하고 2타임 야자는 자율이다[* 특히 코로나 이후로 2타임 야자를 하는 1,2학년은 정말 몇 없다.] 이유는 , 2학년의 야간자율학습이 참여자가 적고, 면학분위기 조성이 힘든 이유로 모 학생의 건의로 인해 " 야간 자율학습시 공부를 하지 않고 노는 일부 학생들이 남아서 노래를 부르거나 담배냄새 혹은 시끄럽게 대화를 하는 등 학생들이 야자 = 놀이 라고 인식할 정도로 공부를 할 수가 없었고 이에 따라, 해당 시간에는 폐쇄되었던 도서관에도 학생들이 다른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선생님을 하나 더 배치해서라도 학교가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함이 옳다고 말하며 교실 및 도서관의 동시 개방을 요구했으나, 학교는 이를 받아들이는 동시에 인원수가 적은 교실 야자를 폐쇄하고 남•여 학생 모두를 도서관에서 강제로 자습하도록 바꿔버렸다. 이로 인해 학생들의 야자 참여율 하락에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현재는 이러한 현상들과 학생회의 건의로 2학기부터 영양사 선생님을 2~3년전에 맡았던 분으로 바꾸고, 급식의 질도 중식 석식 모두 향상되었다. === 면학 분위기 === 지금은 학교의 이미지가 많이 추락한 상황이다. 오죽하면 이 학교 교장선생님 역시 "이 학교에 오고 싶어서 온 사람 거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라고 입시 설명회에서 말할 정도. 전임 교장선생님 역시 "지금은 기피하는 학교가 되었다."라며 게시글에 적었다[*가야고 출신]. 또한 하위권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여 내신 따러 오는 학생들도 몇몇 있다. 후술에 설명할 교감선생님의 영향도 꽤 있는 것 같다.[* 학교 이사장이였던 한오작 교장선생님의 아들이다.] 공부도 느슨하게 하는 편이다. === 주변 학교와 다른 시간표 === 근처에 위치한 다른 일반계 고등학교들과는 다르게 기본 일과가 30분 정도 일찍 시작하여 그만큼 빨리 끝난다. 고등학교임에도 야자를 하지 않는다면 4시 정각에 하교를[* 2021년 기준] 한다. == 사건 사고 == === 가야고 교감 학생 구타사건 === [youtube(tUOoHrIaoXo)] 2012년에 교감이 학생에게 2분 동안 수십차례 손찌검을 한 사건이다. 교감은 지금 해임된 상황이다. == 학교 동문 == * [[KoreanBilly]] * [[김영석(기자)|김영석]] - 국민일보 기자 * [[박민(언론인)]] - [[KBS]] 사장 내정자 * [[김창룡(경찰)]] - [[경찰청장]] * [[박세완]] - 배우 * [[손상용]] * [[원영섭]] - 정치인 * [[이용우(1964)|이용우]] - 정치인 * [[정명규]] * [[조전혁]] - 전 국회의원[* 이 쪽은 '''[[학교폭력]] 가해자'''라서 동아고등학교를 자퇴하고 편입해서 졸업한 케이스이다.] * [[최백호]] - 가수 * [[최성원(당구)|최성원]] - 당구선수 * [[킴성태]] - 전 서든어택 프로게이머,현 아프리카tv 방송인 * [[한성율(1952)]] * [[한수환]] - [[동의대학교]] 총장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가야고교 || [[부산 버스 110-1|110-1]][* 학교 바로 앞에 이 노선의 차고지가 있긴 하나 노선 출발은 차고지가 아니라 가야벽산아파트에서 출발해서 학교 앞으로 내려온다.][* 가야고 학생들 하교시간인 4시 이후로는 정말 차가 꽉 찬다.]|| || 동의대학교입구 || [[부산 버스 부산진6|부산진6]], [[부산 버스 부산진6-1|부산진6-1]], [[부산 버스 부산진9|부산진9]][* 여긴 [[동의대학교]] 학생들과 만나서 더욱 헬파티다.] || === 지하철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의대역]][* 동의대역 5번출구로 나오면 [[부산 버스 부산진6-1|부산진6-1번]]과 환승이 가능하다.] [[분류:부산진구의 고등학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1973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