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 '''간행물윤리위원회'''}}}[br]Publication Industry Promotion Agency of Korea}}} || ||<-2> [[파일:간행물윤리위원회 로고.jpg|width=300]] || || '''유형''' ||[[기타]] [[공공기관]]|| || '''위원장''' ||문철수|| || '''주소''' ||[include(틀:지도, 장소=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 너비=100%)] ---- '''간행물윤리위원회'''[br]{{{-2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 || '''운영기관''' ||'''[[문화체육관광부]]'''|| || '''링크''' ||[[https://www.kpipa.or.kr/kpec/main/main.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출판문화산업 진흥법 제17조(간행물윤리위원회의 설치 등)''' ① 간행물의 윤리적ㆍ사회적 책임을 구현하고 간행물의 유해성 여부를 심의하기 위하여 진흥원에 간행물윤리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기구로서, 만화책, 일반서적, 잡지 등 인쇄 간행물과 전자 출판물을 검열하는 기관. 약칭 '간윤위(과거 간륜)'. 진흥원 설립 전까지 간행물윤리상 시상(2006년까지), [[청소년]] 추천/권장도서 선정(2012년까지)도 실시한 바 있다. 또 위원회는 연간 심의 결과들을 다룬 <간행물 심의연감>을 내고 있다. 과거에는 기관지 <책&(구 도서잡지주간신문윤리 → 간행물윤리)>과 계간지 <서평문화>가 있었으나 전자는 2014년, 후자는 2008년에 각각 폐간되었다. == 역사 == 역사는 1970년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대한[[출판]]문화협회 산하 한국[[도서]]출판윤리위원회(1969년 창설.), 한국[[잡지]]협회 산하 한국잡지윤리위원회(1965년 창설.), 한국아동만화윤리위원회(1968년 창설.) 3개로 나누어져 있던 문공부 산하 기구들이 통합하여 '한국도서잡지윤리위원회(약칭 도륜)'으로 출범하고 '한국도서잡지윤리강령'을 만들었다. 초대 위원장직에는 아동만화윤리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대법관 계창업을, 사무국장에는 최창룡을 앉혔다. 당시 강령은 아래와 같았다. >우리들 도서, 잡지인은 문화의 창조자로서 또는 매개자로서 그 사회적 사명이 더없이 크다. 우리의 고유문화를 수호하고 세계 문화의 진운에 적극 참여하여야 하며, 평화적 자주통일을 성취하여야 하는 [[민족]] 중흥의 역사적 대과업에 당면하여 더욱 그러하다. > >우리들 도서, 잡지인은 이러한 자각과 책임에 투철하여 도서잡지의 윤리를 확립하고 품위를 높이는 데 힘쓰며, 이에 도서잡지 윤리강령을 제정한다. > >우리들 도서, 잡지인은 이 강령을 실천하는 데 충실하여 자주적 민족문화를 수립함은 물론, 도서, 잡지에 대한 민중의 여망과 신뢰에 부응한다. 이 강령은 우리들 도서, 잡지인의 자율적 규약이므로 누구도 이를 강요할 권한은 없으나 이 강령의 실천을 주저하는 도서, 잡지 및 도서, 잡지인은 마침내 공중의 지지를 잃어 존립이 어렵게 될 것이다. > >'''1. 건전한 지식과 교양 및 오락 제공''' >'''2. 사회 문화와 국민복지 향상''' >'''3. 언론 출판의 자유 보호''' >'''4. 저자(필자)의 자유와 명예와 권리''' >'''5. 사회 질서와 도덕 존중''' >'''6. 게재 내용의 신속, 정확, 진실''' >'''7. 품위 유지''' >'''8. 부당 행위 금지''' 이후 1972년에는 만화심의 전문위원회를 신설했고, 1976년에는 한국주간신문윤리위원회를 통합해서 '한국도서잡지주간신문윤리위원회'라는 상당히 긴 이름으로 개명하여 심의위원을 종래의 15명에서 17명으로 늘린 뒤 이듬해부턴 잡지심의기준, 만화심의기준, 주간신문심의기준, 광고심의세칙기준을 제정하고 1983년 11월 24일부터는 광고심의규정도 제정하였다. 그리고 이념서적 등 각종 출판물의 발행이 급증하던 1985년에는 정원식 위원장 체제부터 [[음란물]]/불량만화 단속에서 좌경사상 추방에 중점을 두어 심의위원회를 [[정치]], [[경제]], [[사회]], [[노동]], [[종교]], [[철학]], 문화예술, 도덕, 만화 등 9개 분과위원회로 개편하여 전문성을 강화해 심의위원도 17명에서 33명으로 늘렸다. 과거 [[군사정권]] 시절 만화, 잡지, 도서 각 분야에 걸쳐서 만화원고 사전심의를 위시한 엄청난 가위질과 사후 통제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던 곳이었으나, 1987년 [[6.29 선언]] 이후 10.19 출판활성화조치와 1988년 월북작가 작품 해금 등으로 규제가 완화됨에 따라 1989년에 '사단법인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라는 명칭으로 기존의 문공부 산하 자율심의기관에서 사단법인 형태로 바꾸고 심의위원회를 3개로 바꾸었다. 1991년 3월부터는 [[일본]]만화 해적판의 급증으로 외국만화 사전심의제를 실시해 제한적이나마 일본만화 정식수입 개방의 길을 열었다. 1997년에 [[청소년보호법]]이 제정되면서 동법 제47조에 따라 설치근거가 마련되면서 기존의 사단법인 형태에서 문화체육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바뀌어 법제화되었고 심의기구를 제1심의위원회(음란/폭력 간행물), 제2심의위원회(만화), 제3심의위원회(반체제 간행물)로 개편했으며, 2001년에는 심의위원회가 제1심의위원회(도서), 제2심의위원회(만화), 제3심의위원회(정기간행물), 제4심의위원회(표시/광고)로 개편되면서 3개에서 4개로 늘었다. 이후 [[노무현]] [[참여정부]] 시대에 들어서면서 2003년 2월 27일에 '출판 및 [[인쇄]]진흥법'이 제정되면서 동법 제16조로 설치근거를 이전한 뒤 2006년부터는 5개 심의위원회로 늘렸다. 2010년부터 인쇄광고물 심의가 폐지되면서 심의위원회가 2개로 통합된 뒤 2012년부터 '출판문화산업 진흥법'이 개정됨에 따라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출범되면서 산하 기구로 격하되었다. 본사는 1970년부터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태평로 1가 76번지에 위치한 한국방송회관에 입주하였다가 1978년부터 종로구 청진동 174-14번지 한국잡지협회 건물(잡지회관), 1985년부터 [[마포구]] [[공덕동]] 257의 3번지 국민서관 사옥(제성빌딩), 2000년부터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방화동]] [[국립국어원]] 청사 4층을 거쳐 2015년부터 정부의 혁신도시 정책에 따라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번지로 이전했다. 2018년 5월 8일에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원회'는 기자회견에서 간윤 폐지 등을 담은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5/08/0200000000AKR20180508087300005.HTML?input=1195m|정부 권고안을 발표하였다.]] == 조직 구성 == 2006년부터 2010년 전반기까지 제1심의위원회(도서), 제2심의위원회(만화책), 제3심의위원회(정기간행물), 제4심의위원회(표시/광고물), 제5심의위원회(외국간행물)의 5개 소위원회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동년 8월에 광고물에 대한 심의가 폐지되면서 제1, 2, 3, 4 심의위원회는 국내간행물소위원회로 통합되었고, 제5심의위원회는 외국간행물소위원회로 이름을 변경하여 2개 소위원회로 이원화되었다. * 국내간행물소위원회 국내에서 발행된 소설, 사진집, 화보집 등 도서, 만화단행본, 만화잡지, 전자출판물 및 정기간행물 등의 유해성 여부 심의결정 * 외국간행물소위원회 외국에서 발행되어 국내에 수입되는 소설, 사진집, 화보집, 등 도서, 만화단행본, 만화잡지, 전자출판물 및 정기간행물 등의 유해성 여부 심의결정 == 역대 위원장 == * 초대 계창업 (1970~1972) * 2~7대 강영수 (1972~1984) * 8대 김은우 (1984~1985) * 9~10대 [[정원식]] (1985~1988) * 11대 [[정한모]] (1989~1991) * 12대 [[이원홍(1929)|이원홍]] (1991[* 정한모 위원장의 타계 석달 뒤 부임.]~1995) * 13대 권혁승[* 전 [[한국일보]] 편집국장, 상임고문, [[서울경제신문]] 사장.] (1995~1998) * 14대 [[윤양중]] (1998~2002) * 15대 [[노성대]] (2002~2003) * 16대 김종심 (2003~2006) * 17대 민병욱 (2006~2009) * 18대 [[양성우(시인)|양성우]][* <겨울공화국>, <노예수첩> 등으로 유명한 시인.] (2009~2012) * 19대 이근배 (2012~2015) * 20대 김태승 (2015~2018) * 21대 김정순 (2018~2021) * 22대 문철수 (2021~ ) == 참고 문헌 == * [[https://nl.go.kr/NL/contents/search.do?pageNum=1&pageSize=30&srchTarget=total&kwd=%EA%B0%84%ED%96%89%EB%AC%BC%EC%9C%A4%EB%A6%AC+30%EB%85%84#viewKey=CNTS-00118132967&viewType=C&category=%EB%8F%84%EC%84%9C&pageIdx=1&jourId=|간행물윤리 30년]] (2000) == 관련 문서 == * [[만화 검열제]]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분류:대한민국의 검열]][[분류:문화체육관광부]][[분류:특수법인]][[분류:서적 검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