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3> {{{+2 '''강남역'''}}} || ||<-3> [[서울 지하철 2호선|[[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30]]]] [[신분당선|[[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30]]]] || || [[서울 지하철 2호선|{{{-1 {{{#585858,#a7a7a7 외선순환}}}}}}]][br][[역삼역|역 삼]][br]← 0.8 ㎞ ||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1 2호선[br](222)}}}}}}]] || [[서울 지하철 2호선|{{{-1 {{{#585858,#a7a7a7 내선순환}}}}}}]][br][[교대역(서울)|교 대]][br]1.2 ㎞ → || || [[신사역|{{{#!html
신사 방면}}}]][[신논현역|신논현]][br]← 0.9 ㎞ || [[신분당선|{{{#ffffff {{{-1 신분당선[br](D07)}}}}}}]] || [[광교역|{{{-1 {{{#585858,#a7a7a7 광교 방면}}}}}}]][br][[양재역|양 재]][br]1.5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Gangnam Station,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Gangnam || || [[한자]] ||<-2><|2> 江南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江南, ruby=カンナム)]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지하396 ([[역삼동(강남구)|역삼동]] 858)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20]]]] || || [[신분당선|{{{#ffffff 신분당선}}}]] ||<-2> [[네오트랜스|[[파일:네오트랜스 로고.svg|width=150&theme=light]][[파일:네오트랜스 로고 다크모드.svg|width=150&theme=dark]]]]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2> 1982년 12월 23일 || || [[신분당선|{{{#ffffff 신분당선}}}]] ||<-2> 2011년 10월 28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br]지하 4층 ([[신분당선]])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br]([[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신분당선]]) || ||<-3> '''철도거리표''' || || [[신사역|{{{-1 {{{#585858,#cccccc 신사 방면}}}}}}]] [br][[신논현역|신논현]][br]← 0.9 ㎞ || '''[[신분당선]]'''[br] 강 남 || [[광교역|{{{-1 {{{#585858,#cccccc 광교 방면}}}}}}]][br][[양재역|양 재]][br]1.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ngnam.jpg|width=100%]]}}}|| || '''강남역 사거리 일대''' || >'''출근의 설렘과 희망처럼 다이내믹한 미래의 시간이 숨 쉬는 곳''' >서울에서도 손꼽히는 최대 상권이자 대한민국의 압축 성장과 그 이면을 여실히 보여주는 작은 대한민국, 강남역. 1980~1990년대 성장과 발전을 이룩해낸 대한민국의 상징 역사이다.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 준비의 일환으로 1978년 지하철 2호선이 착공되어 1982년 12월 23일, 강남역이 개통되면서 강남대로와 테헤란로 개발이 본격화, 2011년 10월 28일 신분당선이 확장 개통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강남역은 신분당선의 환승역이 된 동시에, 기존 8번 출구에서 12번 출구까지 확장되었으며 유동인구의 증가로 일대에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냈다. 역사는 미래의 시간이라는 주제로, IT, Hi-Tech의 활발한 비즈니스가 이루어지는 젊고 역동적인 역사로 디자인되었으며 미래 여행의 한순간을 담아낸 작품 ‘첫 출근’을 통해 강남역의 활기차고 다이내믹한 특성과 이용객들의 설렘과 희망을 표현해냈다. >----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강남역'''(Gangnam station, 江南驛)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지하396 ([[역삼동(강남구)|역삼동]] 858)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222번, 개정 전 22번)과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지하396 ([[역삼동(강남구)|역삼동]] 858)에 있는 [[신분당선]](D07번)의 [[환승역]]이다. == 역 정보 == 서울특별시에 있는 도시철도역이다. 강남역은 1982년 12월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 구간([[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역]]~[[교대역(서울)|교대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영업을 시작했으며, 2011년 10월에 신분당선 강남역~[[정자역]] 구간이 첫 개통되어 29년만에 [[환승역]]이 되었다. 역이 있는 [[강남대로]]는 강남역 개통 때는 강남구의 정중앙이었다. 1988년 강남대로를 경계로 서초구가 분리 신설되면서, 현재는 역과 상권 일대의 정확히 반은 [[강남구]], 반은 [[서초구]]다. 1~4, 11~12번 출구는 강남구에, 5~10번 출구는 서초구로 연결된다. 신분당선 강남역은 서울시내에 있지만 '서울전용' 정기권 사용이 제한된다. 단, 2호선 운임구역 쪽에서 환승 게이트를 통과하는 것은 가능하다. === 역 구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남역(2) 안내도(2023.7).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45deg, #00a84d 50%, #D31145 50%)" '''{{{#ffffff 역 안내도 ([[https://drive.google.com/file/d/1zXYgu7Qvvg6B65dEp6ZyTpmgkz00dAfa/view?usp=drive_link|{{{#ffffff 크게보기}}}]])}}}'''}}} || 십자 형태가 아닌 T자 형태로 지어졌다. 계단이 두 개인 데다가 미묘한 거리가 있어서 [[개념환승]]은 아니지만 [[막장환승]]도 아니다. 신분당선 강남대로 구간의 역간 거리가 짧아서 일부러 강남역 승강장을 조금 남쪽으로 내려 역간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역에 지하상가가 딸려 있다. 2호선 강남역에 연결된 지하상가는 '강남역 지하쇼핑센터'로 1982년 2호선 개통 때부터 개장한 것이며, 본래 민간자본을 이용해 건설한 탓에 민간자본이 관리하다가 지금은 [[서울시설공단]]에서 관리한다. 2011년에 [[신분당선]]이 개통하면서 신분당선 측에도 'DX아르체 쇼핑몰'이라는 지하상가가 개장했으며 신분당선 위탁운영사인 [[네오트랜스]]에서 관리한다. 두 지하상가는 연결되어 있다. 2호선 개찰구로 나와서 지하상가에 들어가면 2, 3, 5, 6, 7번 출구와 신분당선 타는 곳이 적혀 있는 표지판이 있다. 2호선에서 [[신분당선]]으로 내려가는 환승계단이 승강장 가운데 부분에 있는데 누렇게 변색된 다른 벽면에 비해 그곳만 벽이 흰색이며 전동차 쪽 벽면에는 LED 광고판이 설치되어 있어 색상이 화려하다. 그래서 환승통로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지만 미묘하게 위화감이 있다. 신분당선의 역명판 색은 [[파란색|{{{#blue 파란색}}}]]이다. 2호선에서 신분당선으로 갈아탈 때에는 내려가야 한다. 한편 신분당선 2호선으로 갈 때는 신분당선 승강장 구조상 올라가는 계단이 어디냐에 따라 환승이 단절될 수 있다. 환승 통로가 있든 없든 둘 다 올라간다는 점에서 충분히 헷갈린다. 하차만 가능한 지점으로 올라갔을 때는 횡단도 불가능하다. 2호선-신분당선 환승통로는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고속터미널역]]에 사용된 TRcM 공법(2개의 관을 넣은 뒤 이를 관으로 다시 연결해서 그 밑을 굴착하는 공법)이 적용되었으며 2011년 올해의 토목 구조물 공모전 금상을 받았다.[* [[http://www.trenc.co.kr/bbs/board.php?bo_table=technology01#|티알이엔씨(주) > 공법소개 > TRcM]]] [[사당역]]과 마찬가지로 역사 내 [[공중화장실]]은 총 5곳이 있다. 환승객보다 승/하차객이 월등히 많은 특성상 유동인구도 상당히 많기 때문에 화장실을 많이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그중 2호선 대합실에 화장실이 3곳이고 나머지 2곳은 신분당선 대합실 각 층별로 있다. 3곳 중 2곳은 강남역 [[지하상가]]에서 관리하는 화장실인데 강남역 대합실과도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역에서도 일부 관리한다. 중국어 안내 방송에서 역명을 중국 한자음으로 읽는 몇 안 되는 역이었다.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의 모든 역과 [[우이신설선]]의 일부 역을 제외하면 이런 식으로 방송하는 역은 같은 강남권 [[양재역]]뿐이었다. 그러다가 2023년 8월 부로 한국어로 변경됐다. 신분당선 강남역 이북 구간(강남~신사) 2.4km 구간은 역간거리가 매우 짧은 구간이다. 평균 역간거리가 1.5~2.0km를 넘어가는 신분당선에서 역간거리가 1km도 채 안되는 구간이라 강남역을 출발한 열차는 출발하자마자 광고방송과 안내방송이 나오고 신논현역에 도착한다. 2호선 강남역은 [[서울대입구역]], [[영등포구청역]]과 더불어 승강장에 원형 모자이크 타일의 디자인이 들어가 있다. 역 개통 이래 오랫동안 강남역사거리에 있는 8개 출구만이 운영되었으나, [[신분당선]]이 개통되면서 신분당선 대합실과 연결되는 4개 출구가 추가되었고, 출구 번호도 새로 매겨졌다. 옛날의 3~8번 출구가 지금의 7~12번 출구이다. 역 번호가 바뀌었을 때는 이용자들과 주변 상인들이 볼멘소리를 냈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10804/39293524/1|「[수도권]오락가락 지하철 출구번호… “강남역 헷갈려요”」]], 동아일보, 2011-08-04] === 역사 === || [[파일:강남역2.png]] || || 공사 중인 강남역 || || [[파일:강남역3.jpg|width=500]] || || 공사 중이던 2호선 강남역 || 이때 불리던 역명은 '국기원역'이었다. 근처에 [[국기원]]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런데 지도상으로 보면 국기원은 강남역과 [[역삼역]] 사이 한가운데 지점에 있다. ||[[파일:갱냄역.png|width=500]]|| || {{{#fff 개통 때의 2호선 강남역 승강장}}} || ||[[파일:20190421_163155.jpg|width=500]]|| || {{{#fff 개통 때의 역명판}}} || ||[[파일:kangnam.png|width=500]]|| || {{{#fff 2호선 강남역의 옛 역명판. 당시 [[로마자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라 'Kangnam'으로 표기돼 있다.}}} || ||[[파일:강남역 11번출구.jpg|width=500]]|| || 옛 강남역 7번 출구(현 11번 출구)의 모습 || ||[[파일:강남역2호선.jpg|width=500]]|| || 현재의 강남역 2호선 출구 || === 혼잡도 === 강남역은 환승객을 제외한 개찰구를 통한 승하차 기준으로 [[수도권 전철]]에서는 물론 전국의 모든 [[도시철도]]를 통틀어 [[대한민국]]에서 1위이다. 물론 여객열차와 지하철을 모두 포함한다면 [[서울역]]이 1위이지만 도시철도만 집계한다면 강남역이 1위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만으로 일평균 승하차객 20만 명, [[신분당선]]까지 합치면 일평균 23만 명 가까이 나온다. 순전히 게이트 승하차객만으로 [[신도림역]]에 버금가는 혼잡도를 보인다. 지금은 강남-교대 구간이 제일 혼잡하다. 그러나 강남역의 환승인파는 [[신도림역]]에 비해 덜하다. 북쪽의 구 제일생명사거리에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이 개통되면서 승차량이 줄어들 거라 예상했으나, 승차량이 오히려 더 늘었다. 대한민국 내 지하철 주변 유동인구가 매우 많은 지역으로 서울특별시, 더 나아가 수도권 교통의 요지 중 한 곳이다. [[서울역]], [[신도림역]], [[고속터미널역]], [[홍대입구역]], [[사당역]], [[잠실역]] 등 각 수도권 환승 거점들과 함께 유동인구로는 단연 상위권이며, 경기도 각지에서 오는 광역, 시외버스들의 최종 목적지일 뿐 아니라 전국 각지에서 오는 차량이 많아 심각한 교통체증을 유발한다. 게다가 신분당선이 연장되면서 판교, 분당, 광교, 수지에서도 지하철로 오는 이용객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보니 각 버스 정류장과 지하상가 등은 이용객들로 가득하다. 이 때문에 플랫폼이 미어터진다. 특히 퇴근 시간인 평일 오후 5시부터 혼잡해지기 시작한다. 출근시간에는 통근자들만 이용하는데 그마저도 대부분 하차객이라 그렇게 혼잡하지는 않다. 그러나 퇴근시간에는 퇴근자들과 학생들, 유흥객들, 놀러온 이용객들 등 온갖 이용객들이 섞이면서 매우 혼잡한데, 6~7시 사이가 절정이다. 이로 인해 상대식 승강장의 한 쪽 벽면을 파서 승강장 폭을 확장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쇄도한다. 반면 명절애는 이용객이 거의 없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35842|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파일:2019_4_무임비율하위.png]] [[대한민국]] [[수도권 전철]] 중에서 [[노인]] [[무임승차]] 비율이 적은 역 중 하나이다. 2019년 4월 기준 강남역은 약 6% 정도로, 제일 높은 역은 [[제기동역]]이다. 노인 무임승차 비율은 (무임승하차) / {(무임승하차) + (유임승하차)}로 산출한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지하철 2호선|[[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25]]]] || [[신분당선|[[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25]]]] || {{{#ffffff '''총합'''}}} || {{{#ffffff '''비고'''}}} || ||<^|1><-5>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124,859명 ||<|16> {{{#fff,#1f2023 30,625명}}} ||<|16> {{{#fff,#1f2023 232,801명}}} || || || 1995년 || 134,439명 || || || 1996년 || 151,872명 || || || 1997년 || 154,011명 || || || 1998년 || 147,764명 || || || 1999년 || 자료없음 || || || 2000년 || 180,025명 || {{{#fff,#1f2023 비고}}} || || 2001년 || 177,407명 || || || 2002년 || 175,581명 || || || 2003년 || 179,825명 || || || 2004년 || 185,313명 || || || 2005년 || 187,406명 || || || 2006년 || 190,888명 || || || 2007년 || 194,286명 || || || 2008년 || 200,516명 || || || 2009년 || 204,681명 || ||}}}}}}}}} || || 2010년 || 203,544명 || || || || || 2011년 || 206,712명 || 17,663명 || 224,375명 || [* 신분당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10월 28일부터 12월 31일 까지 6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2년 || 207,475명 || 19,856명 || 227,331명 || || || 2013년 || {{{#00a84d 214,355명}}} ||<|3> 자료없음 ||<|3> - || || || 2014년 || 213,681명 || || || 2015년 || 204,342명 || || || 2016년 || 199,967명 || 27,255명 || 227,222명 || || || 2017년 || 202,176명 || 30,625명 || 232,801명 || || || 2018년 || 204,144명 || 34,087명 || {{{#red 238,231명}}} || || || 2019년 || 202,174명 || {{{#d4003b 35,560명}}} || 237,734명 || || || 2020년 || 142,179명 || 26,272명 || 168,451명 || || || 2021년 || 132,735명 || 24,350명 || 157,085명 || || || 2022년 || 142,195명 || 30,968명 || 173,163명 || || ||<-5> {{{#ffffff '''출처'''}}} || ||<-5>[[서울 지하철 2호선|[[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옛 자료 출처: [[http://www.riss.kr/search/Search.do?isDetailSearch=N&searchGubun=true&viewYn=OP&query=%EC%A7%80%ED%95%98%EC%B2%A0+%EC%88%98%EC%86%A1%EA%B3%84%ED%9A%8D|지하철 수송계획]], [[http://www.riss.kr/search/Search.do?isDetailSearch=N&searchGubun=true&viewYn=OP&query=%EC%A7%80%ED%95%98%EC%B2%A0+%EA%B2%BD%EC%98%81|서울지하철경영]]] [[신분당선|[[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 [[https://www.stcis.go.kr/pivotIndi/wpsPivotIndicator.do?siteGb=P&indiClss=IC03&indiSel=IC0304|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옛 자료 출처: [[https://www.ktdb.go.kr/www/index.do|KTDB]],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0000000|철도통계연보 교통카드 데이터]]] || }}} * [[강남대로]]와 [[테헤란로]]가 만나는 교통의 요지로 수도권의 거의 모든 지역에서 사람과 차량이 몰리는 핵심 거점역이다. 상업/교통/업무/교육 등등 모든 분야에서 중심지 역할을 하기에, 강남역은 강남구 내 도시철도 역들은 물론 전국의 모든 도시철도 역을 통틀어 승하차객 수 1위를 차지한다. * 2008년에 대한민국의 도시철도역 최초로 이용객 평균 승하차량이 일평균 20만 명을 넘어섰다. 심지어 그때는 [[신분당선]]도 개통되기 전이라 환승역도 아니었다. * 자체 수요와 환승 수요가 모두 매우 많다. 강남역 승객의 거의 대부분은 외지인이라는 이야기이다. [[성남시]], [[수원시]], [[용인시]], [[안양시]], [[인천광역시]], [[고양시]], [[남양주시]], [[화성시]], [[군포시]], [[광주시]], [[의정부시]] 등지에서 넘어온 [[광역버스]]들이 모두 모이는 사실상 유일한 곳이라 강남역이 목적지가 아닌 이용객들도 이 역에서 2호선으로 갈아타는 경우가 매우 많다. * 많은 이용객들이 몰리는 역임에도 2011년까지는 2호선만 다니는 단일역이었으며, 신분당선이 개통된 현재에도 사실상 도시철도 기능을 수행하는 유일한 노선이 2호선인지라 첫차부터 막차까지 만차가 되기 때문에 혼잡도가 매우 높다. * 강남역 출발 이용객의 목적지가 2호선이 아닌 다른 노선에 있다면 그 다른 노선이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일 가능성이 높다. 적은 노선은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과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이다. 뒤의 두 노선은 2호선과 같이 강남을 가로축으로 연결하는 노선이라서 분산 효과가 있고, 5호선은 강동과 강서를 연결하지만 도심을 거쳐 가는 굴곡노선이며 6호선은 강북 구간과 철도 음영지역을 연결하면서 돌기에 강남역에 가기 불편한 동네가 많아서 그렇다.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은 1~9호선 중에서 절대적인 승하차량이 가장 적고 그 중에서도 잠실로 많이 분산된다. * 시간이 지날수록 테헤란로 상의 강남역으로 몰리는 현상이 심해진다. 강남역을 제외한 테헤란로에 있는 다른 역들은 승객이 줄어드는 반면, 강남역은 소폭이지만 꾸준히 이용객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테헤란로에 있는 다른 역들은 업무 관련 외에는 중심적인 역할을 하지 않지만, 강남역은 총체적인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기에 그러한 이유가 작용한다. 특히 2009년에 인접한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신논현역]] 개업 후에도 강남역의 수요를 분산하기는커녕 이용객 수는 오히려 더 늘어나며 신논현역도 마찬가지로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분산 효과는 어느 정도 있지만 시간이 갈수록 강남역 인근으로의 목적지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기 때문이다. * 신분당선 역은 2호선 강남역의 위상과 신분당선 연선 인구에 비해 부족한 면이 있다. 근본적으로 두 노선이 접근성에서 큰 차이가 있으나, 그 외에도 여러 요인이 있다. 신분당선 역세권이라도 강남 방면 직행좌석버스가 매우 발달해 있기 때문에 직통을 찾는 수요가 줄었지만 꾸준하다. 거기에다가 신사역에서 끊기는 노선 특성 상 신사역 이북지역을 감당하지 못하는 데다 강남역을 넘어가는 순간 별도운임이 추가로 부과되어 요금 부담이 있다. 신분당선의 역세권 확장에도 한계가 있다. 광교신도시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원 지역은 신분당선 접근성이 좋지 않고 오히려 사당까지 직행하는 직행좌석버스나 1호선-금정역 환승을 통해 2호선으로 갈아타는 게 더 빠르고 편리하다. * 출퇴근 시간의 신분당선 승강장도 매우 혼잡하다. 입석이 생기는 것은 물론 플랫폼을 완전히 채울 정도로 승객이 많이 몰린다. 분당 및 수지구의 광역버스의 수요를 신분당선이 흡수했던 만큼 승객이 많이 몰려 있다. * 2018년 말에 9호선 3단계 구간이 개통되었기 때문에 잠실역에서 갈아타던 [[송파구]], [[강동구]] 수요가 [[신논현역]]으로 크게 이동하였을 것이라 생각되었으나, 승하차량 감소 폭은 거의 없었다. * 앞으로는 신분당선이 계속 연장될 것이기 때문에 수원, 호매실의 수요도 추가될 예정이다. 특히 수원~강남은 많이 막히는 과천-봉담 고속도로, 서초대로, 강남대로를 지나며, 지하철을 이용하면 1호선-4호선-2호선이 가장 빠른 경로였으나, 연장이 되면 신분당선을 타고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다. *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해 이용객 수가 크게 줄어들어 20만 명대가 무너졌으나, 여전히 전국의 모든 도시철도 역 중 승하차객 수 1위를 지키고 있다. * 신분당선 [[신사역]] ~ 강남역 구간이 개통하면서 강남역의 이용객 일부(약 15%)가 [[신논현역]]으로 이탈했다. * [[신분당선]] [[신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구간 개통 이후인 [[2023년]]부터는 [[잠실역]]이 대한민국 이용객 수 1위가 되었고 강남역 순위는 2위로 내려갔다. 잠실역도 [[2024년]] [[수도권 전철 8호선]]([[별내선]]) [[별내역]] 연장 개통 이후에는 [[별내신도시]], [[다산신도시]], [[구리시]]에서 버스를 타고 잠실역에서 환승하는 이용객이 빠져나갈 예정이다. 따라서 강남역과 잠실역의 이용객 수 비교는 [[2025년]]부터 가능할 전망이다. == 승강장 == === [[서울 지하철 2호선]] === ||[[파일:attachment/2ghtjsrkdskadur.jpg|width=500]]|| || {{{#fff '''2호선 승강장'''}}} || 80년대에 지어진 승강장으로, 승강장 폭이 수요에 비해 매우 좁다. 80년대에는 강남역의 이용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승강장 벽면을 파서 승강장 폭을 넓혀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나온다. 평일 RH 시간대에는 승강장이 이용객들로 완전히 들어차서 대합실에서 승강장으로 내려가지 못하기도 한다. ||<-4> [[역삼역|역삼]] ↑ || || {{{#ffffff 내}}} || ㅣ || ㅣ || {{{#ffffff 외}}} || ||<-4> ↓ [[교대역(서울)|교대]] || || {{{#ffffff 외}}} ||<|2>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삼성역(도시철도)|삼성]]·[[잠실역|잠실]]·[[건대입구역|건대입구]]·[[성수역|성수]] 방면|| || {{{#ffffff 내}}} ||[[교대역(서울)|교대]]·[[사당역|사당]]·[[신도림역|신도림]]·[[홍대입구역|홍대입구]] 방면|| 이 역은 역삼 방면으로 8퍼밀 오르막이 있다. 한때 이 역에 선로 기둥 사이에 분수대가 있었다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면서 철거되었다. 직선 승강장처럼 보이지만 미세하게 휘어진 곡선 승강장이다. || '''노선 및 방면''' || '''빠른 환승'''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2호선 외선순환(잠실, 왕십리 방면)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5-2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2호선 내선순환(신도림, 홍대입구 방면)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6-4 || 2호선에서 내려서 위층으로 올라가면 갈아탈 수 없다. 여름철과 겨울철에 승강장 내 냉난방을 상시로 해 놓는다. 승강장 전체에 냉난방을 하려면 전기료가 천문학적으로 들어가나 그만큼 이용객이 매우 많기 때문에 승객들의 편의를 배려한 것이다. 비슷한 역으로 [[홍대입구역]]이 있다. === [[신분당선]] === ||[[파일:attachment/tlsqnsekdtjsrkdskadur.jpg|width=500]]|| || {{{#fff '''신분당선 승강장 ([[신사역|신사]] 연장 전)'''}}} || ||<-4> ↑ [[신논현역|신논현]] || || {{{#ffffff 상}}} || ㅣ || ㅣ || {{{#ffffff 하}}} || ||<-4> [[양재역|양재]] ↓ || || {{{#ffffff 상}}} ||<|2>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신논현역|신논현]]·[[논현역|논현]]·[[신사역|신사]] 방면 || || {{{#ffffff 하}}} ||[[양재역|양재]]·[[판교역(성남)|판교]]·[[정자역|정자]]·[[광교역|광교]] 방면|| 유동인구와 승객 수요를 고려하여 승강장 폭을 매우 넓게 지었다.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강남역 승강장 폭의 3배 정도로 폭이 매우 넓어서 많은 승객들 수용이 가능하다. 이 역은 [[양재역|양재]] 방면으로 2퍼밀 오르막이 있으며, [[신논현역]] 방면으로 내리막이 있다. || '''노선 및 방면''' || '''빠른 환승'''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신사 방면)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2호선|| 1-1, 3-2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광교 방면)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2호선|| 4-3, 6-4 || 신분당선 상행 6호차 4번칸이나 하행 1호차 1번칸을 내려서 올라가면 갈아탈 수 없다. == [[/역 주변 정보|역 주변 정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남역/역 주변 정보)] * 출구 안내 || {{{#ffffff 1}}} ||[[테헤란로]](역삼역 방면), 국민건강보험강남지사, 삼성,서초,역삼 세무서, 역삼1동 주민센터 방면|| || {{{#ffffff 2}}} ||[[강남대로]](뱅뱅사거리 방면), 국민은행, 메리츠타워 방면|| || {{{#ffffff 3}}} ||강남역사거리(역삼방면) 방면|| || {{{#ffffff 4}}} ||뱅뱅사거리 방면|| || {{{#ffffff 5}}} ||우성아파트앞사거리 방면|| || {{{#ffffff 6}}} ||강남역사거리(교대방면) 방면|| || {{{#ffffff 7}}} ||강남대로(뱅뱅사거리 방면), KDB산업은행 방면|| || {{{#ffffff 8}}} ||[[서초대로]](교대역 방면), [[삼성타운]], [[서운중학교(서울)|서운중학교]], 서초2동 주민센터 방면|| || {{{#ffffff 9}}} ||서초대로(교대역 방면), 서초4동 주민센터, [[서울서초초등학교]] 방면|| || {{{#ffffff 10}}} ||강남대로(신논현역 방면), 교보타워 방면|| || {{{#ffffff 11}}} ||강남대로(신논현역 방면), [[한국자산관리공사]] 방면|| || {{{#ffffff 12}}} ||테헤란로(역삼역 방면), [[국기원]],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역삼공원, 특허청 방면|| == [[사건사고]] == === [[강남역 스크린도어 정비업체 직원 사망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남역 스크린도어 정비업체 직원 사망사고)] === 강남역 인근 상가 차량 돌진사고 === 2017년 10월 18일 오후 12시 36분 여성이 탄 제네시스 차량이 인근 상가를 돌진하면서 6명이 부상당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71018/86809181/2|「車 의류매장 돌진 ‘강남역 사고’로 6명 중경상…‘김여사’의 운전미숙?」]], 동아일보, 2017-10-18] === [[강남 묻지마 살인사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남 묻지마 살인사건)] 언론 보도 때문에 강남역 안에서 일어난 사고로 보이지만 강남역 밖의 인근 상가에서 발생했다. === [[강남역 일대 침수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남역 일대 침수 사고)] 2010년대 이후 큰비가 올 때마다 침수되었으며 2022년에도 침수되었다. 2022년에는 강남역 일대뿐만 아니라 2호선·신분당선 강남역 승강장까지 침수되었다. 침수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목적으로 하수관로 개선 공사를 하기 위해 2016년 11월부터 공사가 끝날 때까지 삼성타운 앞 8번 출구가 임시 폐쇄되었다. 기존에는 강남역 바로 옆에 오르막이 있어서 하수관 속의 물이 이를 넘지 못하고 강남역을 침수시키는 일이 있었지만, 개선된 하수관은 기존과 달리 오르막을 없앴다. 그 대신에 8번 출구를 기존의 3m 옆에 새로 만들고 엘리베이터의 위치도 재조정했다. === 강남역 압사 사고 우려 신고 === 2023년 7월 21일, 강남역에서 압사 사고가 우려된다는 신고가 접수되어 강남역의 일부 출입구가 통제되는 소동이 벌어졌다. 같은날 오후 7시 경찰과 소방 인력 모두 철수하였다. 경찰 관계자는 "평소 금요일 퇴근길과 크게 다르지 않은 인파였다"고 전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083830|「퇴근길 강남역 '압사 위험' 신고…일부 출구 한때 통제」]], 연합뉴스, 2023-07-21] == 기타 == * [[싸이]]가 2012년에 강남역 사거리에서 게릴라 콘서트를 열었다. [[SBS]] [[인기가요]]에서는 이 역에서 싸이가 [[강남스타일]]을 부르는 장면만 보여주었다. * 보통 한국산 게임에서 한국 지하철을 맵으로 만들 때 역 이름만 바꾼다고 가정한다면 강남역이 모티브로 가장 많이 사용됐다고 볼 수 있다. 흔히 [[클로저스]]의 [[강남 GGV]]이나 [[서든어택2]]의 [[중앙역]]이 그렇다. 실제 중앙역이 있지만 모티브는 거의 강남역이다. 그 외에도 많은 게임의 모티브로 강남역이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승하차객이 이용하는 역이라는 점도 있지만 게임의 해외성장도 고려하여 싸이의 강남스타일에서 비롯된 강남이라는 단어가 외국인에게 생소하게 들리지 않는 점 때문도 있다고 한다. 지하철을 모티브로 한다면 어디로 하겠냐는 게임창업자들의 말을 들으면 100명 중 반 이상이 강남역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 반대로 한국산 게임이 지하철 내부 광고를 할 때는 강남역의 신분당-2호선 환승 통로와 2호선 구간의 환승 통로 입구 기둥이 홍대입구역과 비슷하게 많이 나온다. * 강남역은 [[노숙자]]가 많은 편이다. 출퇴근 시간에는 주로 강남역 지하상가에 머물다가 이동인구가 줄어드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3~4시까지 밖으로 나온다. * 간혹 거리에 [[도를 아십니까]] 전도꾼들이 길을 가던 사람들에게 포교 행위를 한다. * 근처에 미디어폴라는 검정색의 높은 설치물이 있는데, 터치스크린까지 설치되었지만 보통 꺼져있을 때가 많다. * [youtube(zV4l2ZEK0_k)] 2014년 [[KT]]에서 [[LTE]] [[스트리밍]] CF를 이곳을 배경으로 하여 찍었는데, 사실은 강남역이 아닌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수인·분당선]] [[정자역]]에서 찍은 것이다. 잘 보면 [[스크린도어]]에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로고가 보인다. 역명판의 폰트도 다르다. 실제는 [[서울남산체]]로 되어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B%82%A8%EC%97%AD#mediaviewer/File:Q17469_Gangnam_B01.JPG|한국어 위키백과 이미지]]] 열차도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2호선 열차]]가 아닌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7, 8호선 열차]]에 코레일 부착물을 설치하고 촬영했는데 [[모란차량사업소]]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 강남역 한가운데에 카페 구역이 있다. 카페가 밀집된 구역인데, 카페에서 나올 수 있는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 구비되어 있다. 1회용 컵(테이크 아웃) 거치대 및 음료 붓는 통이 있다. * 영화 [[거래완료]]에서 강남역 근처의 버스중앙차로식 정류장이 나온다. 민혁(권일)과 예지([[채서은]])가 물건을 거래하는 장소로 나오는데, 예지가 민혁더러 중앙차로가 끝나는 곳으로 나오게끔 하고 민혁은 이러한 예지를 쉽게 찾지 못한다. * 2호선 역은 강남대로가 아니라 [[서초대로]]-[[테헤란로]] 지하에 있으나, 도로명주소는 두 역이 동일하게 [[강남대로]]로 쓴다. 강남역은 역무실이 [[강남구]]에 있어서 [[강남구]]의 주소를 쓰지만, 역 전체를 봤을 때는 [[강남구]] 역삼동과 [[서초구]] 서초동의 경계선에 걸쳐 있다. == [[강남역/연계 버스|연계 버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남역/연계 버스)]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신분당선의 역 목록)] [[분류:강남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