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41B27, #872434, #872434, #641B27);" '''[[고려대학교/학부/문과대학|{{{#ffffff {{{#d7c9b1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교수}}}}}}]][br]{{{#ffffff {{{+1 {{{#d7c9b1 강만길}}}}}}[br]{{{#d7c9b1 姜萬吉 | Kang Man-gi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de4716114fd516d0bc889f132ed77070694635eb4ebf8c997253af8375d6da8d.jpg|width=100%]]}}} || ||<|2> '''출생''' ||[[1933년]] [[10월 25일]] || ||[[서울특별시]] || || '''사망''' ||[[2023년]] [[6월 23일]] (향년 89세) || || '''학력''' ||[[마산중학교]] {{{-2 (졸업)}}}[br][[마산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학부/문과대학|사학과]] {{{-2 ([[사학]] / [[학사]])}}}[br][[고려대학교]] [[대학원]] {{{-2 (사학 / [[석사]] · [[박사]])}}} || || '''약력'''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교수|| [목차] == 개요 == 1933년 경남 [[마산]] 생.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호는 여사(黎史)[* 검을 려, 역사 사. 관을 쓰지 않은 검은 머리인 채로 산 민중의 역사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여명(黎明)의 역사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민족적이면서도 진보적 성향의 [[역사학자]]로서, [[고려대학교]] 교수, [[상지대학교]] 총장,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C%B9%9C%EC%9D%BC%EB%B0%98%EB%AF%BC%EC%A1%B1%ED%96%89%EC%9C%84%EC%A7%84%EC%83%81%EA%B7%9C%EB%AA%85%EC%9C%84%EC%9B%90%ED%9A%8C|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親日反民族行爲眞相糾明委員會, Presidential Committee for the Inspection of Collaborations for Japanese Imperialism, 약칭 반민규명위.] 위원장, 통일뉴스 상임고문 등을 역임했다. == 생애 == [[마산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국사편찬위에서 일했다. 이후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288395|朝鮮王朝前期의 工匠硏究]]],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9076304|朝鮮後期 商業資本의 發達]]] 학위[* 대학원생이 아닌 교수 신분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기 때문에 대학원이 아닌 문과대학에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하였다.]를 받고 [[고려대학교]] 교수가 되었으나 [[1980년]] [[전두환]] 정권에 의해 교수직을 박탈당하기도 했다. 한국근현대사의 거목으로 불린다. 생존한 한국근현대사 연구자들 가운데 [[서중석]]과 더불어 많이 알려진 역사학자다. 김용섭, 송찬식과 함께 [[자본주의 맹아론]] 형성에 기여했으며, <분단시대의 역사인식>, <통일운동시대의 역사인식>, <고쳐 쓴 한국 현대사>, <고쳐 쓴 한국 근대사>[* 초판 제목은 1984년에 지은 <한국근대사>, <한국현대사>이다.], <20세기 우리역사>[* 1997년 유니텔 사이버대학 강의 시절 게시글들을 모아 다듬은 책.] 등을 저술하였으며, <[[해방 전후사의 인식]]>의 공동저자중에 한명이다. [[친일반민족행위자]]에 대해 강력히 비판적이며 북한 정권 수립 전까지의 사회주의 운동가에게도 우호적이다. 한반도 정책에 있어 평화적 통일정책을 추구하며, 미국의 대북제재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일부 [[우파]] 세력은 [[좌파]]사학자라고 평하기도 한다. 반면에 일부 [[좌파]] 그룹에서는 전형적인 [[우파]] [[민족주의자]]로 평가한다. 현재는 1세대 역사학자로서 가끔씩 저서를 내며 한국의 평화통일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3년 5월에는 "대륙과 해양세력 각축장 '한반도'는 흡수통일 불가능"이라는 취지로 『분단고통과 통일전망의 역사』라는 책을 출간했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589068.html|#]][* 하지만 실질적으로 한반도 통일의 길은 흡수통일밖에 없다는 반론도 있다. [[통일반대론]] 참고.] 여담으로 [[6.25 전쟁]]때 학도의용군으로 지원, 참전한 경력이 있다. 2018년 강만길 저작집 세트(전18권)가 출간되었다. 2023년 6월 23일 별세했다. 향년 90세.[[https://www.yna.co.kr/view/AKR20230623140800005?input=1195m|관련 기사]] [[분류:1933년 출생]][[분류:2023년 사망]][[분류:마산합포구 출신 인물]][[분류:한국의 역사학자]][[분류:한국사학자]][[분류:마산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재직]][[분류:인문과학 교수]][[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상지대학교 총장]][[분류:6.25 전쟁/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