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BS의 성우)] ---- || '''{{{#fff 강희선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지하철 안내방송 성우)] ---- || '''{{{+1 {{{#008080 지하철 안내방송 성우 변천}}}}}}'''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 {{{#!folding [ 현재 적용 ] ||<-5>
{{{+1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height=30]]]] 차내 안내방송 성우}}} || ||<|2> {{{#8c8c8c 출범}}}[*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구간은 합병 전 [[은영선]] 성우가 담당하였으나, 이 구간도 강희선 성우의 안내 방송으로 바뀌었다.] ||<|2> {{{+1 {{{#8c8c8c →}}} }}} || 강희선 ||<|2> {{{+1 {{{#8c8c8c →}}} }}} ||<|2> {{{#8c8c8c 현재}}} || || 2017년 5월 31일~{{{#e3002c '''현재'''}}} || ---- ||<-5> {{{+1 [[부산교통공사|[[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height=30]]]] 차내 안내방송 성우}}} || || {{{#8c8c8c 조면주}}} ||<|2> {{{+1 → }}} || 강희선 ||<|2> {{{+1 {{{#8c8c8c →}}} }}} ||<|2> {{{#8c8c8c 현재}}} || || 1985년 7월 15일~1999년 6월 30일|| 1999년 6월 30일~{{{#e3002c '''현재'''}}} || }}} || || {{{#!folding [ 과거 적용 ] ||<-5> {{{+1 [[서울메트로|[[파일:서울메트로 CI.svg|height=30]]]] 차내 안내방송 성우}}}[* 서울메트로 구간은 서울교통공사로 합병 후 회사명이 언급된 부분과 로고송만 바뀌었을 뿐, 나머지 안내 방송은 그대로 송출되는지라 과거 적용이라 하기도 뭣하지만... 어쨌건 서울교통공사와 서울메트로는 별개의 법인이고, 서울도시철도공사 구간도 새로 바뀌었다.] || || [[조유연]] ||<|2> {{{+1 → }}} || 강희선 ||<|2> {{{+1 {{{#8c8c8c →}}} }}} ||<|2> [[서울교통공사|{{{#8c8c8c 서울교통공사}}}]]{{{#8c8c8c 로[br] 합병}}} || || 1991~1996년 1월 1일 || 1996년 1월 1일~2017년 5월 31일 || ---- ||<-5> {{{+1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응용로고_상하조합.svg|height=30]]]] 광역전철 차내 안내방송 성우}}} || || [[이윤정(성우)|이윤정]] ||<|4> {{{+1 → }}} ||<|2> 강희선 ||<|4> {{{+1 → }}} ||<|2> [[TTS]] || || 2002년 3월 30일~2010년 6월 13일 || || [[한수림]] ||<|2> 2010년 6월 13일~2019년 ||<|2> 2018년 5월 1일~현재[* 처음에는 현아를 사용했으나 발음이 딱딱하고 적응이 안 돼 2018년 8월에 혜련으로 바뀌었다.] || || 2008~2010년 6월 13일 || }}} ||}}} }}}}}} || }}} || ---- ||<-2> '''KBS 성우극회 15기 성우[br]{{{+1 강희선}}}[br]姜羲先|Kang Hee-s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성우 강희선.jpg|width=100%]]}}} || || '''출생''' ||[[1960년]] [[12월 12일]] ([age(1960-12-12)]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진주 강씨]] (晉州 姜氏)|| || '''신체''' ||166cm, 46kg, [[AB형]] || || '''가족''' ||부모님, 남편, 장녀^^(1987년생)^^, 장남^^(1990년생)^^ || || '''학력''' ||[[중경고등학교]] {{{-2 (졸업)}}}[* 학창시절에 방송부였는데 민방위 훈련 방송을 하면서 능력을 발현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UsuBLDZnhi4|출처 유튜브 짱구 엄마의 탄생 비화?!🤔 22년차 짱구엄마 성우가 말하는 봉미선의 모든 것 | 성우 강희선 인터뷰]].][br][[서울예술대학교|서울예술전문대학]] {{{-2 (방송연예과 / 전문학사)}}}[*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사성웅]], [[전태열]] 등과 동문이다.] || || '''종교''' ||[[개신교]] || || '''소속''' ||前 [[TBC 성우극회]] 10기[br][[KBS 성우극회]] 15기 ([[프리랜서]]) || || '''활동 시기''' ||전속: [[1979년]] ~ [[1985년]] [br] 프리랜서: [[1985년]] ~ 현재^^'''([age(1979-01-01)]년 차)'''^^ || || '''취미''' ||영화 감상 || || '''수상''' ||[[2002년]] [[KBS]] 성우연기대상 최우수외화연기상[br] [[2005년]] [[KBS]] 성우연기대상 대상[br][[2006년]] 제18회 한국방송프로듀서상 성우 부문 [br] [[2016년]] [[KBS]] 성우연기대상 공로상 [br] [[2018년]] 제9회 [[대중문화예술상]] 국무총리 표창 || || '''별명''' ||'''짱구엄마''', 지하철 안내방송의 여제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강희선 성우 서명.svg|width=13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성우. 1979년 [[TBC 성우극회]] 10기로 입사했으나,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KBS 성우극회]] 15기로 분류된다. 만 18세라는 어린 나이에 데뷔했다. 2002년 KBS 성우연기대상 최우수외화연기상, 2005년 KBS 성우연기대상 대상을 수상하였고, 2018년에는 [[대중문화예술상]]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2013년 11월 실시된 [[KBS 성우극회]] 극회장 선거에서 당선되어 2016년까지 3년 간 KBS 성우극회 30대 극회장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한국성우협회]] 제 25~26대(법인 10~11대) 수석 부이사장직을 담당하고 있다. == 생애 == 1960년에 태어났다. [[중경고등학교]] 재학 시절 방송부에 있었는데, 이때 민방위 훈련의 진행을 맡던 중 동기생들이 "라디오를 틀어놓은 줄 알았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를 계기로 1978년 서울예술전문대학(현 [[서울예술대학교]]) 방송연예과에 진학한다.[* 홍쇼에서 밝힌 바로는 학교를 1년 일찍 들어갔었다고 한다.] 입학 후 당시 연출가로 이름을 날리던 [[김효경]] 교수가, 강희선에게 목소리가 성우를 하면 딱 좋겠다며 성우의 길을 제안하였고, 이후 1979년 5월, 서울예술전문학교 방송연예과 2학년 재학 중 [[TBC 성우극회]] 10기로 입사하였다.[* TBC에 합격하기 전에 동아방송 시험도 봤었는데, 그때 수험번호 바로 앞 번호가 [[장광]]이었다고 한다.(장광이 87번, 강희선이 88번)] 당시 만 18세의 나이였는데, [[주희]], [[송도영]]과 함께 최연소 성우 기록으로 남아 있다.[* 다만 주희(18세 2개월)가 강희선(만 18세 5개월)보다 약 '''3개월''' 이르다.] === [[대장암]] 투병 === 2023년 한 병원의 유튜브 채널 '간 보는 남자'에 의해 알려진 바에 따르면[[https://www.youtube.com/watch?v=PrBvVd_FOs8|#]], 강희선 성우는 2021년 '''[[대장암]] 간 전이'''를 진단받고, 뒤이어 '''[[시한부]] 2년'''을 선고받았다고 한다. 다행히 지속적인 항암치료와 여러 차례의 수술로 현재 상황은 시한부 상태는 벗어났고, 이전에 비해 양호해진 것으로 보인다. 최근 강희선 성우의 목소리에 변화가 생겼던 것[* 최근 녹음된 [[서울교통공사]]의 지하철 개정 안내방송에서 목소리가 낮아지고 톤이 다소 달라졌다는 [[철도 동호인]]들의 의견이 있었다.]이 '''항암치료로 인한 것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강희선 성우는 항암치료를 받으면서도 짱구 극장판 녹음을 무려 14시간 30분 동안 진행[* 이후 나흘 동안 누워있을 정도로 체력 부담이 컸다고 한다.]했다고 밝혀 팬들에게 큰 감동을 안겼다. 시한부 판정을 받은 상황에서도 프로그램에 대한 애착과 직업적 사명감을 가지고 헌신한 것이기에 많은 박수를 받고 있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08&aid=0000202721|#]] 2022년 간 전이 병변 17개 모두를 제거하는 수술을 받은 후 CEA 수치도 정상 수준으로 돌아온 상태이지만 1년이 지난 현재까지 몸이 붓는 등 항암 후유증이 남아있다고 한다. 이미 [[노하라 히로시|짱구 아빠]]를 연기했던 [[오세홍]] 성우가 수 년 전 구강암으로 작고한 적이 있다 보니, 투병 소식을 접한 짱구 팬덤과 성우 팬덤 모두 대부분 매우 안타까워하는 동시에 강희선 성우의 쾌유를 비는 반응이 대다수이다. == 성우 활동 == [youtube(H4eVzmbt1Zk, start=11)] 외화 전성 시대에는 '''[[샤론 스톤]]''', [[미셸 파이퍼]], [[줄리아 로버츠]]를 비롯한 당대 최고의 미녀 배우를 연기하였다. 1996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age(1996-01-01)]년이라는 세월 동안 '''지하철 안내 방송'''을 맡아 왔으며, 젊은 세대에게는 '''[[짱구는 못말려]]의 [[노하라 미사에|짱구 엄마]]''' 역으로 특히 잘 알려져 있다. 이에 예능 등 방송에도 많이 출연해 대중에게 이름이 알려진 대한민국 대표 성우로 꼽힌다. === 외화 및 애니메이션 === 외화, 애니메이션 가릴 것 없이 관능적인 성인 여성, 중후한 여자 두목을 도맡아 해 왔다. 이는 80년대에 활약한 KBS 10기 성우 [[이경자]]의 포지션을 이어받은 것으로[* 2018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에서 이경자는 대통령 표창, 강희선은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KBS 후배 성우인 [[최덕희]], [[정미숙]], [[이선]]이 전성기 시절 애니메이션의 히로인 역할을 나눠 가졌다면, 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외화에서의''' 히로인은 강희선이 대부분 맡았다고 봐도 무방하다. 출연작 문서에 나와 있듯 이 시기 샤론 스톤, 줄리아 로버츠, 미셸 파이퍼, [[우마 서먼]], [[팜케 얀센]] 등 장신의 미녀 주인공 역을 사실상 독점하였다. 강희선을 본격적으로 스타덤에 오르게 한 [[원초적 본능]] 시리즈의 캐서린 트라멜 역, [[짱구는 못말려]]의 [[노하라 미사에|봉미선]]과 [[보오|맹구]][* 둘을 동시에 담당하고 있는데, 변별력이 워낙 커서 성우 팬들조차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가히 완벽한 중복 캐스팅.], [[길티기어]]의 [[이노(길티기어)|이노]][* 강희선의 악역 연기 스타일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 악역을 연기할 때에는 길티기어의 원판 성우인 [[이노우에 키쿠코]]와 톤이 비슷하다.] 등이 대표적인 더빙 커리어로 꼽힌다. 또한 샤론 스톤과 그와 비슷한 이미지의 농염한 미녀가 등장하는 CF의 더빙에도 다수 참여하였다. 대표적인 두 커리어인 샤론 스톤과 짱구 엄마의 캐릭터 이미지가 크게 상이하다보니, 이 두 배역을 같은 성우가 더빙했다는 것[* 그래서인지 짱구는 못말려 서유기 편의 금각, 은각형제가 나오는 에피소드에서 봉미선 여사에게 온갖 말을 걸어도 답변하지 않다가, 우리말로 "어머, 거기 샤론 스톤 뺨치게 섹시한 누님~" 이 말에 얼른 답변하다가 호리병에 들어가는 장면이 연출되기도 했다. 그밖에도 한국어판 한정으로 짱구가 엄마에게 샤론 스톤을 언급하기도 한다.]에 충격을 받는 사람도 많다. 대부분 성인 여주인공을 맡았지만, 커리어에 소녀 역할이 아예 없지는 않다. [[기동전함 나데시코|기동전함 나데카]]의 [[스바루 료코|칼라]]나, [[빨간 머리 앤]]에서의 제인 역이 대표적 예시. 이후 1999년, SBS에서 기동전함 나데카의 후속작으로 방영된 [[짱구는 못말려]]에서 봉미선, 맹구 역할을 맡게 되면서 커리어에 대표작을 추가,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초창기 SBS 더빙판에서의 봉미선 연기를 들어보면, 전반적으로 농염한 여인다운 느낌이 제법 묻어 나온다. 하지만 짱구는 못말려가 장수 프로그램이 되고 그녀가 봉미선의 성우를 계속 전담하면서, 2005년 방영된 6기를 기점으로 미녀 톤에서 탈피해 억척스럽고 오두방정스러운 아줌마 톤을 완벽히 소화해 내기 시작한다. SBS판에서 짱구 엄마 역으로 캐스팅된 이후 투니버스판, 대원판에 이르기까지 '''단 한 차례도 교체 없이 현재까지 맡고 있는 유일한 성우'''로, 어느덧 '''24년차'''가 되었다.[* 짱구 역을 맡은 박영남의 경우 2012년 12기 때 건강 문제로 인해 [[정선혜(성우)|정선혜]]가 잠시 담당했으며(현재는 복귀하였다.), 짱구 아빠 역을 맡은 오세홍 또한 건강 문제로 극장판 22기부터 김환진이 맡았다. 2015년 5월에 [[오세홍]]이 별세하여 완전히 [[김환진]]이 전담했다. 다만, [[보오|맹구]] 역은 SBS판 방영 후 계속해서 담당했으나, 극장판은 21기(2014년) [[박고운]], 22~24기 [[송하림]]이 담당했다. 그러다가 극장판 25기에 투니버스의 모회사인 [[CJ ENM]]이 수입한 25기 극장판 [[습격!! 외계인 덩덩이]]부터는 다시 맹구역을 담당한다. 한편, 짱아와 흰둥이를 제외한 짱구 가족과 맹구를 제외하고는 SBS에서 투니버스로 옮기면서 성우진들이 전면 교체되었다. 투니버스에서 예전에 했던 ARS 퀴즈 프로그램에서 [[김선혜]]가 맡은 적이 있지만 이때 짱구의 성우는 [[정선혜(성우)|정선혜]] 정도라고 해도 비공식에 가까우므로 예외.] 이렇듯 성우로서 아주 화려한 이력을 가지고 있지만, 연기 스펙트럼이 한정적이라는 점과 때로 감정선이 미약하다는 점이 지적받기도 한다. 강희선은 주로 섹시한 히로인 배역만 맡다가 짱구 엄마 이후로 아줌마 연기도 소화할 수 있도록 바뀌었는데, 이도 20년이란 세월이 걸렸다. 다만 "그녀의 실력이 정말로 뒤처졌다면 [[노하라 미사에|봉미선]]과 같은 주요 캐릭터를 [age(1999-01-01)]년 간 쭉 담당해 오고, 외화 전성시대에 주인공 자리를 수없이 담당하는 것이 가능했을 것인가"라는 반론이 있다. 강희선은 1979년 TBC(동양방송) 성우 공채, '''300:1'''[* 여자 1,500명 지원, 5명 선발.]의 살인적인 경쟁률을 뚫고 최연소로 합격하였다.[* 1978년 DBS(동아방송) 성우 시험에도 최종 4차까지 진출했다.] 강희선은 주로 외화 전성시대에 히로인을 담당하는 성우였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에서의 활동이 크게 두드러지지 않을 뿐이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외화 시대에서 애니메이션 시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역할을 맡고, 안내방송계에서도 25년이 넘는 경력을 쌓아오면서 2023년 현재까지도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다는 점이 대단한 것이다. 애초에 강희선이 활동하기 시작한 1979년에 소년 연기를 소화할 수 있는 여성 성우는 많지 않았다.[* 김순원(KBS 1961), 박영남(TBC 1966), 안정현, 우문희(MBC 1968), 최수민(TBC 1969), 손정아(DBS 1970), 이영주(TBC 1971), 김순선(MBC 1976), 안경진(DBS 1977), 김정애, 한인숙(KBS 1977), 임은정(TBC 1979) 정도로 추려진다.] 강희선은 누가 들어도 알아차리기 쉬운, 변별력이 높은 음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정화]] 등과 같이 목소리의 변화 폭이 넓은 광역계 성우는 아니지만, '''본인 스타일의 배역을 훌륭히 소화해 내는 포지션의 성우'''라고 종합할 수 있다. 데뷔 이래로 거의 변하지 않는 안정적인 음성을 보여 왔으나, 2022년 경부터 약간의 컨디션 난조가 관찰되었다.[* 2022년에 방영한 짱구는 못말려 22기에서 봉미선의 톤이 다소 낮아졌으며 2023년 7월 1일 개통한 [[수도권 전철 서해선]] 환승 안내방송에서는 낮아진 톤과 더불어 약간의 떨림이 들린다. [[https://youtu.be/0pThw95nHus|#]] 이후 7월 10일에 새로 녹음한 [[https://youtu.be/fJpDdV_T6oc|주안역, 서울역 안내방송]]에서도 관찰된다.] 만 62세라는 여성 성우로서는 상당히 고령인 나이 [* 여성 성우들은 50대까지도 음성을 잘 유지하다가 60대에 돌입한 이후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매우 흔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시로 [[코야마 마미]], [[하야시 타마오]] 등이 있다. 또 천하의 [[박영남]] 성우조차 2008년, 60대 초반이었던 당시 짱구는 못말려 8기 녹음에 큰 어려움을 겪었던 것을 생각해 본다면 크게 이상한 일은 아니다.], 목에 상당한 무리가 가는 지하철 안내방송과 [[노하라 미사에]] 연기를 오랜 기간 동안 맡아 왔기 때문일 것이라는 등 다양한 추측이 있었다. 그러나 후에 이는 2021년에 발발한 '''대장암'''의 항암치료로 인한 것이었음이 사실상 정론이 되었다. '''2년 시한부''' 판정을 받았을 정도로 심각한 병세였으나, 점차 회복해 2023년 8월 17일에 방영 시작한 짱구는 못말려 23기에서 높은 톤으로 화를 내는 연기까지 소화해내는 저력을 보였다. === 지하철 안내방송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1XqGXtT-Qw, start=33)]}}}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p69xrasD-A, start=253)]}}}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pT8HN-_nv0, start=362)]}}}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BLota0nGBU, start=1285)]}}} || || [[1997년]][* 1999년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오기이다. 후의 안내방송과는 달리 딱딱한 어투로 연기하는데, 이후 98년 녹음본부터 보다 부드러운 억양으로 녹음된다. 강희선 성우의 지하철 안내방송 녹음파일 중 가장 오래된 버전.] 서울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 [br] 2호선 [[홍대입구역]] 종착 방송 || [[2004년]] 부산교통공사 [br] 1호선 [[부산역]] 방송 || [[2010년]][* 2018년부터는 TTS로 송출된다.] 코레일 [br] 1호선 [[신도림역]] 방송 || [[2018년]]~ 서울교통공사 [br] 5호선 [[광화문역]] 방송 ||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7호선)'''[* 인천2호선 종착역인 검단오류역과 운연역에서, 각각 운연행, 검단오류행 진입시 강희선성우의 '지금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가 송출된다. 인천2호선에서 강희선성우를 들을수 있는 유일한 역이다.], '''[[부산교통공사]]의 차내 안내방송'''[* 영어 성우는 [[제니퍼 클라이드]]이다.] >"이번 역은 시청, 시청역입니다. 내리실 문은 왼쪽입니다. 천안, 인천, 소요산 방면으로 가실 고객께서는 이번 역에서 1호선으로 갈아타시기 바랍니다."[* 서울교통공사 1~4호선 예시. 2호선 [[시청역(서울)|시청역]]의 방면 위주 환승 안내방송] >"이번 역은 8호선 열차로 갈아타실 수 있는 천호, 풍납토성역입니다. 내리실 문은 오른쪽입니다. 내리실 분은 원활한 승하차를 위해 미리 준비해주시기 바랍니다."[* 서울교통공사 5~8호선 예시. 5호선 [[천호역]]의 비방면 환승 안내방송] >"이번 역은 서면, 서면역입니다. 내리실 문은 오른쪽입니다. 양산이나 해운대 방면으로 가실 고객께서는 이번 역에서 2호선으로 갈아타시기 바랍니다."[* 부산교통공사 1~4호선 예시. 1호선 [[서면역]]의 방면 위주 환승 안내방송] >-'''[[부산교통공사]]의 열차 진입 안내방송 및 하차 후 환승 안내방송''' >"지금 양산, 양산행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승객이 모두 내린 후 타시고 문이 닫힐 때에는 무리하게 타지 마시기 바랍니다."[* 부산교통공사 1~4호선 예시. 2호선 진입 안내방송. 영어 성우는 [[제니퍼 클라이드]]이다.] >"1호선 열차를 이용하실 고객은 개찰구로 나가지 마시고, 승강장과 이어진 환승 계단, 에스컬레이터와 엘레베이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부산교통공사 1호선, 2호선 서면역 하차 시 방송] > >-'''[[한국철도공사]]의 [[동해선 광역전철]] 열차 진입 안내방송'''[* 부전행에서만 송출. 남창/태화강행은 [[TTS]]로 송출] >"지금 부전, 부전행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타는 곳 안쪽으로 한 걸음 물러서주시기 바랍니다.[* 영어 성우는 [[제니퍼 클라이드]]이다.][* 그 외의 일부 한국철도공사 관할 광역철도역에서 막차 안내방송, 행선지 미입력 열차 접근 등 자주 사용되지 않는 문안이 여전히 강희선 성우의 방송으로 송출되는 경우가 잦다.] > >-'''[[대전교통공사]], [[광주교통공사]]의 차내 광고 안내방송''' >"귀금속 예물 전문 기업 월포스 귀금속의 새로운 이름, 지앤트 쥬얼리로 가실 분과 전통과 신용의 상징 귀금속 예물 전문점, 보옥당으로 가실 분은 2번 출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대전교통공사 1호선 예시. [[대전역(도시철도)|대전역]] 광고. 역명 안내 성우는 [[이윤정(성우)|이윤정]]이다.] 국내 성우들 중 유일하게 '''20년 이상''' 서울교통공사([age(1996-01-01)]년 연속)와 부산교통공사([age(1999-06-30)]년 연속)에서 안내방송을 담당하고 있는 성우이다. 이 화려한 경력 덕에 '''지하철 안내방송의 여제'''라고 불린다. [[서울교통공사]] 관할의 서울 지하철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4호선의 차내 안내방송과 열차 진입 안내방송, [[대전 도시철도 1호선]]과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차내 광고 방송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서도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광역전철(즉 1, 3, 4호선 일부 열차와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등)의 차내 안내방송과 진입 안내방송을 담당했으나, 2019년부터는 TTS로 교체되었다. 다만 일부 안내방송은 여전히 이분의 안내방송이 나온다.[* 현재 확인된 바로는 [[동해선 광역전철]]의 부전행 열차 진입 안내방송(남창행/태화강행의 경우는 TTS), 1호선 열차 진입 안내방송(장항선 및 경부선 일부역 한정, 그 외에는 TTS), 일부역 통과열차 안내방송.]교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문서의 한국철도공사 항목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현재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덕소행 열차가 [[https://youtu.be/hpjfEzKgJWY|양정역에 도착할 때 들을 수 있으며,]]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일부열차 안내방송에서도 [[https://youtu.be/VEsYvsAdiHY|들을 수 있다.]] 부산교통공사에서는 진입 안내 방송을 2007년부터 담당했으나, 2016년 1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박형욱 성우로 교체되었다. 다만 박형욱 성우 버전에 대한 비난과 강희선 성우 버전으로의 회귀 요구가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에 여러 차례 올라왔고, 결국 2019년 12월에 부산교통공사에서 실시한 시민 투표 후 다시 강희선 성우가 진입 안내방송을 담당하게 되었다. 서울교통공사 1~4호선 안내방송은 1996년 1월 1일부터 무려 '''[age(1996-01-01)]년'''째 맡고 있고, 2018년 4월부터는 5~8호선도 담당하고 있다.[* 시종착 안내방송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2018년 5월쯤 녹음을 완료했고 동년 12월부터 5, 8호선 전체 구간, 2019년 1월에 6, 7호선 전체 구간 방송으로 확대되었다.] 보통 1년이면 방송을 교체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매우 이례적인 사례이다. 이유는 강희선 성우가 담당하기 전까지 빗발치던 민원이 이 성우가 담당하고 크게 줄었기 때문이라 한다. 그 목소리가 [age(1996-01-01)]년 내내 유지되고 더 커지고 정확해져서 이어폰과 헤드폰을 뚫을 기세[* 차음성 강력한 커널형을 끼고 있어도 노래를 끈 상태면 희미하게나마 들린다!]로 정차역 안내방송이 들릴 정도. 정확한 발음과 발성으로 지하철을 타는 어르신의 귀에도 목적지 안내가 정확히 들려야 하는 안내방송의 목적을 생각해본다면 1~2년도 아닌 자그마치 [age(1996-01-01)]년이나 했다는 것은 어느 성우도 기록하지 못한 레전설을 썼다고 봐도 될 수준. 부산교통공사 안내방송 역시 올해로 '''[age(1999-06-30)]년'''째 담당하고 있다. 강희선 성우는 성우들 중 국내 최대의 도시철도 차내 안내방송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전국 38개의 노선 중[*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포함 및 수도권 전철 1, 3, 4호선 공동 운영 분리 계산. 분리 계산하지 않을 경우 35개의 노선이다.] 12개의 노선으로 약 32%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한때는 무려 50%가 넘는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었다. 가장 많았던 때는 2018년 4월의 '''56.8%'''! 당시 서울 지하철 5~8호선 시종착 안내방송이 강희선 성우로 개정되었으며 코레일에서 안내방송이 TTS로 교체되지 않았던 때라서 역대 최대 점유율을 보유했다. 물론 그 후 약 2년 안에 코레일의 거의 모든 노선이 TTS로 교체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숫자다. 만약의 이야기이지만 한국철도공사에서 안내방송을 TTS로 교체하지 않았다면 서해선까지 포함해 전체 22개 노선 담당과 58%의 점유율을 보유할 수도 있었다. 강희선 성우가 비디오머그에 출연하여 코레일 TTS에 대해 문제점을 비판하기도 했다. 또한 한 라디오 방송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코레일에서 녹음 요청이 오면 즉시 이메일로 신속하게 전달했다'며 소요 시간 관련 코레일의 변명만큼은 이해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include(틀:도시철도 및 광역전철 차내 안내방송 점유율)]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 어록 == >자기가 아픈 것은 둘째치고 (짱구 아빠 역을 못 한다는 것에) 더 힘들어하셨어요. >(짱구 아빠 더빙을) 해야 하는데 못 했고 자기 배역에 대한 애착이 컸었거든요. >그 누구도 대신할 수 없을 거예요. > >'''짱구 아빠, 그동안 고생했어. 하늘에서도 우리 가족 지켜봐 줘. 사랑해, 짱구 아빠.''' >---- >ㅡ [[SBS]] [[한밤의 TV연예]]. [[노하라 미사에|짱구 엄마]]의 목소리로 전한 [[노하라 히로시|짱구 아빠]] 성우 [[오세홍]] 추모사[[https://www.youtube.com/watch?v=9qG5NCgCNTI|#]] >감사합니다. 늘 곁에서 넘치는 사랑을 주시는 저희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쳐다만 봐도 든든한 우리 오빠들, 친언니 같은 우리 친올케. 또 언제나 자랑스럽고 저를 가슴 벅차게 하는 우리 아들 은석이. 항상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하나뿐인 인생을 살면서 제가 대한민국의 성우라는 것은 저에게 그 삶의 정말 원동력이었습니다. 때문에 삶에서 많은 고난과 역경이 있었지만 성우라서 견딜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성우를 사랑해 주시는 모든 팬분들, 여러분들이. 그 사랑이 대한민국 성우의 존재 이유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성우를 꿈꾸는 성우 지망생 여러분들, 큰 꿈을 갖고 도전해 보십시오. 여러분이 바로 대한민국의 큰 미래입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뭐, [[샤론 스톤]]이나 뭐, [[미셸 파이퍼]]... [[노하라 미사에|아, 여기 19세 미만이 안 계시죠?]] 지하철 뭐, 이런 거 녹음하면서 특히 외화 더빙에서 대중적으로 제가 알려졌다면 알려졌는데, 요즘 우리말 제작이 사라져서 조금 아쉽습니다. 지금 국민청원 중에 있는데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협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2018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국무총리 표창 수상 소감 >[[짱구는 못말려]]의 더빙을 할 때 있었던 일이에요. "네가 엄마 협박했잖아" 라는 대사가 있었는데 엄마가 자식한테 할 수 있는 말이 아니라고 생각했어요. 제작진한테 제 의견을 얘기했고 모두가 공감해서 대사를 수정했던 적이 있습니다. 주어진 대사지만 제 입을 통해서 하는 말이기 떄문에 저한테도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잘못됐다고 생각하는 일에 당당하게 말을 할 수 있다면 다른 일도 당당할 수 있잖아요. '''더 당당하고 자신있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네요.''' >---- >- 2021년 5월 3일 MBC [[잠깐만(라디오)|잠깐만]] 中 >최근에 [[노하라 미사에|짱구엄마]]로써 극 중 짱구엄마와 동갑인 93년생 친구들과 얘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어요.[* 현재는 삭제된 [[Pixid]]의 영상] 그 대화를 통해서 저는 요즘 젊은 세대들이 얼마나 고민하고 힘든지를 알게됐습니다. 요즘 애들은 뭘 모른다는 제 생각이 정말 큰 오해였다는 걸 알았죠. "나는 너를 이해한다" 라고 말하기 전에 내 잣대로만, 그러니까 '''내 눈높이에서 타인을 평가하고 있는건 아닌지 한번만 더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 >- 2021년 5월 4일 MBC [[잠깐만(라디오)|잠깐만]] 中 >짱구는 못말려의 [[노하라 신노스케|짱구]]는 사실 엄청난 [[문제아]]죠. 요즘도 "짱구가 너무 말을 안 듣는다" 라는 컴플레인이 들어올 정도라고 합니다. 엄마를 놀리고, 장난기 많고, 소란스럽고, 그치만 이건 아이이기에 당연한거고 짱구엄마 봉미선에겐 그런 짱구가 아주 귀중한 아들이죠. 오늘은 [[어린이날]]입니다. 비록 짱구처럼 말썽을 좀 부리더라도 '''세상의 모든 아이들은 소중하게 사랑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 >- 2021년 5월 5일 MBC [[잠깐만(라디오)|잠깐만]] 中 >30년 가까이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지하철 안내방송]]을 해왔어요. 근데 최근 몇개의 역들은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s-3.2.1|Ai로 안내방송이 나오더라고요.]][* 2018부터 [[코레일]]은 강희선 성우 대신 TTS를 사용해 안내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했다.] 지나면서 Ai의 목소리를 듣는데 조금은 슬펐습니다. "이번 역은 [[디지털미디어시티역]]입니다" 이 한마디를 녹음할 때도 단순한 서비스가 아니라 '''[[친절]]과 [[감사]]의 [[마음]]을 담았습니다.''' Ai의 목소리가 편리하고 효용성이 있을지는 몰라도 '''따뜻한 [[감정]]을 담아 서로를 [[위로]]할 수 있는 건 오직 [[사람]]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 >- 2021년 5월 6일 MBC [[잠깐만(라디오)|잠깐만]] 中 >성인 여자, 어린 남자, 다양한 목소리를 연기하지만 유독 어린 여자 아이 역할[* [[빨간머리 앤]]의 제인 등]은 잘 하지 못해요. '난 왜 그 역할을 소화하지 못 할까?' 이러면서 고민하거나 또 그 부분을 극복하려고 하진 않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잘하고 못하는 게 있고, 그건 제가 못하는 것 중 하나일 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사람이 모든 일을 다 잘할 순 없잖아요. '''안 되는 걸 괴로워하기보다는 안 된다고 인정하고 내가 더 잘 하는 것에 시간을 쏟는 것이 어떨까요?''' >---- >- 2021년 5월 7일 MBC [[잠깐만(라디오)|잠깐만]] 中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을 더빙할 때 일인데요. 짱구엄마가 납치되고 없어진 상황에서 짱구는 열심히 엄마를 찾으러 다녔고, 결국은 찾아냈죠. 그리고 짱구가 얘기합니다. "엄마가 너무 좋다" 극 중이지만 감동받아서 더빙 중에도 눈물을 흘렸어요. 오늘은 [[어버이날]]입니다. '''[[부모님]]께 마음을 드러내세요. '[[사랑]]한다고, 보고싶다고'.''' 내가 표현하는 만큼 부모님의 마음이 따뜻해집니다. >---- >- 2021년 5월 8일 MBC [[잠깐만(라디오)|잠깐만]] 中 >진로를 고민하는 조카한테 '''네가 좋아하는 것 말고 잘하는 일을 하라'''고 조언해 준적이 있어요. 한창 다양한 꿈을 펼칠 수 있는 20대 때, 좋아한다는 이유만으로 한 가지 일에만 매달리는 건 내가 더 잘할 수 있는 일을 놓칠 수도 있거든요. 좋아하는 일 하나에 매몰되기보다 더 많이 경험하고 그 중에 내가 더 잘 하는 걸 찾는 것, 그게 내 미래의 영역을 넓히는 일일 수도 있습니다. >---- >- 2021년 5월 8일 MBC [[잠깐만(라디오)|잠깐만]] 中 == 수상 내역 == * 2002년 [[에린 브로코비치]]의 [[줄리아 로버츠]] 연기로 KBS 성우연기대상 최우수외화연기상을 수상하였다. [[https://www.bntnews.co.kr/article/view/bnt201107050249|해당 기사]] * 2005년 KBS 성우연기대상 대상을 수상하였다. [[http://www.isportskorea.com/entertainment/broadcast/?mode=view&no=20051210203623209&field_date=0&field=&keyword=|해당 기사]] * 2006년 제18회 한국방송프로듀서상 성우 부문을 수상하였다. * 2016년 KBS 성우 연기대상에서 후배 성우 [[남유정(성우)|남유정]]과 함께 공로상을 수상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10z3_Md8M0|해당 영상]] * 2018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4BigWykFLLQ|해당 영상]] == 여담 == * [[짱구는 못말려]]의 짱구네 가족 담당 성우 중에서 최연소자였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최연장자 성우는 캐릭터로 따지면 가장 어렸던 [[박영남]]이다. 나중에 [[노하라 히마와리|짱아]]가 태어나므로 과거형이다.] 그러다가 [[노하라 히마와리|짱아]]가 태어나면서 짱아 담당 성우인 [[여민정]][* 물론 SBS판에서 짱아 역을 맡은 성우인 [[최향윤]]과 [[소연(성우)|소연]](각각 1968/1973년생이다.)도 강희선보다 나이가 적다.]이 가장 나이가 적은 1975년생으로 막내격이 되었다. 강희선은 [[노하라 신노스케|짱구]] 담당 성우인 [[박영남]]보다 자그마치 14살 어리다. 박영남은 1946년생, [[노하라 히로시|짱구 아빠]] 담당 성우인 [[오세홍]]은 1951년생, 오세홍의 뒤를 이어 짱구 아빠를 연기하는 [[김환진]]은 1952년생이다.[* 여담으로 짱구네 가족 역을 맡은 일본 성우는 [[나라하시 미키|짱구 엄마(1960년생으로 한국 성우와 동갑이다.)]], [[코오로기 사토미|짱아(1962년생)]], [[모리카와 토시유키|짱구 아빠(1967년생)]], [[코바야시 유미코|짱구(1979년생)]] 순서이다.] 참고로 유일하게 일본판 성우와 나이가 같은 성우이기도 하다. [[나라하시 미키|일본판 성우]]도 강희선도 1960년생. 그러나 짱구 엄마는 1967년생이다. * 박영남, 오세홍과 마찬가지로 [[노하라 미사에|짱구 엄마]]뿐만 아니라 짱구는 못말려라는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애착이 강하다. 소리도 많이 지르고, 더빙할 때 세세하게 한다며 "25분짜리 1편 녹음에 1시간 이상 걸린 적도 있었다"고 한다. 심지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2&aid=0003033471|봉미선과 닮았다는 말도 들었다고 한다]]. 평소 목소리도 봉미선과 비슷한 톤이라고 언급했다. * 박영남 성우가 건강 문제로 짱구 배역에서 일시적으로 하차했을 때 정선혜가 잠시 짱구를 대역했지만 워낙 박영남 버전의 짱구가 연기나 싱크로율은 물론 수십 년을 연기한 친숙함까지 압도적이다보니 실력 있는 성우임에도 평이 좋지 않았다. 그럼에도 투니버스는 정선혜로 밀고 가려고 했으나, 강희선이 PD에게 항의해 다시 박영남이 돌아올 수 있었다. 또한, 당시 박영남 성우는 이 소식을 듣고 오랫동안 담당해 왔던 짱구 역할을 포기하려 했으나, 강희선이 박영남을 계속해서 설득했다고 한다. * 짱구 아빠 성우 [[오세홍]]이 별세하였을 때 출연 중이던 방송 등지에서 추모사를 남기기도 하였으며, [[SBS]] [[한밤의 TV연예]]에서 짱구 엄마의 목소리로 울먹이며 못 다한 말을 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9qG5NCgCNTI|#]] * 여성인데도 육성이 0옥타브대까지 내려가는데, 짱구는 못말려 11기 '유리는 아가씨가 되고 싶어요!' 에피소드에서 '''0옥타브 라(A2)'''까지 내리는 연기를 보였다(맹구의 귀신 연기 파트). 0옥타브면 남성 가수도 내기 힘든 소리다. 그러니까 성악 남성성부 [[베이스(음악)#s-1|베이스]]들이 낼 수 있는 음역대이다! * 대중에게는 샤론 스톤의 이미지가 깊게 각인되었지만 정작 본인은 "샤론 스톤은 나와 성격이 너무 달라서 연기하기 많이 어렵다. 더구나 몸짓이나 눈빛이 너무 고혹적이다.", "샤론 스톤은 진정한 연기자가 아니라 에로 배우라 생각한다."며 손사래를 친다. 오히려 미셸 파이퍼가 훌륭한 연기자라 생각해서 KBS 성우이지만 다른 방송국에 녹음하러 갈 정도로 애착을 가지고 있었는데 모 방송국에서 어떤 성우가 "내가 미셸 파이퍼 할래!"라 말하고 나서 진짜로 그 배역을 빼앗긴 적이 있어서 피디에게 다시는 그 방송국 영화부에 일하러 가지 않을 것이라 말하고 차안에서 너무 화나고 속상해서 펑펑 울 정도로 애착을 가졌던 배우였다고 한다.[* 출처: 디시뉴스 인터뷰] * [[홍시호의 홍SHOW]]에서 밝히기를, 어린 남자 아이 역할도 더빙이 가능한 그녀가 지금까지도 제일 자신 없는 역할이 다름 아닌 어린 여자 아이 역[* 대략 미취학 아동이라 생각하면 된다.]이라 한다. 프리가 딱 되고서 처음으로 맡은 작품이 [[빨강머리 앤/애니메이션|빨강머리 앤]]이었고, 이때 [[제인]]을 맡았으나 꽤 애를 먹었다고 한다. 본인 왈 순수한 아이의 톤보다는 '사연 있는 아역'의 톤이 나왔다고.. 그 후 어린 여아 역을 담당하는 일은 없었다.[* 드물게 짱구에서 나온 봉미선의 어린 시절이나 극장판에서 어린 아이 모습으로 변했을 때 어린 여자아이 톤을 연기하긴 했었다. 그 외에도 단역으로 나오는 여아도 연기한 적이 있다.] 물론 다른 역할들이 유명해서 대비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 존경하는 성우는 [[양지운]]으로, 데뷔 시절부터 여자 양지운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고 밝힌 바가 있다. [[이정구]]와 함께 호흡이 제일 잘맞는 성우로 말하기도 했다. * 본인의 연기 지론은 "연기는 목소리에 화장을 하는 것." 그만큼 캐릭터에 대한 몰입을 연기에서 중시한다. 섹시한 역할에 맞추어 섹시한 의상을 입거나, 빨간 매니큐어를 칠하고 녹음에 임하는 등 최대한 자신을 캐릭터 속에 녹아들도록 준비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ly5qXO0o0rQ&t=26s|인터뷰 영상]] * KBS1의 프로그램 [[역사저널 그날]]의 게스트로 2014년 5월 18일 방영분에 출연하기도 했다. 더빙 특집이었던 [[무한걸스]]에 일일교사역으로 출연해 여섯 멤버들의 목소리 연기를 지도해주었고, (무한걸스 시즌1 61회, 2008-12-12) [[SBS]] 러브 FM 주말 프로그램이었던 [[DJ 처리와 함께 아자아자]]에도 이 분의 목소리가 등장했다. * 2014년 10월 [[EBS]] 프로그램인 "만나고 싶습니다"에 출연했는데, 남편과는 1996년부터 별거했다고 한다. 2015년에 출연한 모 방송에 따르면 이혼한 지 11년이 되었다고 한다. * [[홍시호의 홍SHOW|홍쇼]]에서 [[유해무]] 성우를 '해무 형'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보아 그와 많이 친한 듯하다. * 15기 성우들 중 유일하게 [[원피스(애니메이션)|원피스]]에 출연하지 못하였다. * '맛있다'를 [마딛따]로 발음하는 파이다. * 2021년 4월, 유튜브 채널인 [[Pixid]]에서 2021년 기준 29살인 93년생과 동갑인 짱구 엄마가 직접 대화를 나누는 컨텐츠를 진행하였다. 이로 인해 강희선이 목소리 출연하였고, 마지막에는 대화를 나누다 울음이 터진 93년생을 위로하는 장면으로 직접 출연하게 된다. 참고로 이 영상은 유튜브 인기순위 2위를 기록하였다. [[https://youtu.be/GRaDvskwwWA|해당 영상]][* 하지만 내부 사정으로 인해 영상이 비공개 상태이다.] * 2021년 12월, [[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에서 전설의 프리큐어인 [[큐어 오아시스]] 역으로 출연하게 되었다. == [[강희선/출연작|주요 출연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희선/출연작)] == 관련 문서 == * [[성우/한국]] * [[KBS 성우극회]]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강희선/출연작, version=50)] [[분류:한국 여성 성우]][[분류:1960년 출생]][[분류:1979년 데뷔]][[분류:진주 강씨]][[분류:중경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예술대학교 출신]][[분류:인터넷 밈/성우/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