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개구장이는 개구'쟁'이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이, rd1='-장이'와 '-쟁이'의 구별, other2=원래의 뜻, rd2=개구쟁이)] ||<-2> [[파일:attachment/gaegurajangi.jpg]] || || 정식명칭 || 주식회사 개구장이 || || 영문명칭 || GAEGUJANGI Co.,Ltd. || || 설립년도 || [[2001년]] [[8월 1일]] || || 폐업년도 || [[2006년]] [[12월 31일]] || || 업종명 || 시각 디자인업 || || 상장유무 || 비상장기업 ||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리 549-7 || || 홈페이지 || [[https://www.ggtoy.co.kr]][* 와피스 표절 사건 후, 네티즌들에게 해킹 등의 사이버 테러를 당했기 때문에 지금은 접속이 불가능하다.] || || 현재상태 || 폐업 || [목차] == 개요 == [[2001년]] 8월에 설립되었던 [[대한민국]]의 장난감 완구 회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0141086|당시 기사]]에 따르면 자본금 2억원,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랑구]] [[상봉동]] 92-2다. 망우로 328에서 캐릭터 개발·라이선싱 업종으로 법인을 신설하였다. 허름한 진짜 본사와는 달리 상봉역 근처의 건물[* 이름은 시네마시티다. 이름답게 이 건물에는 과거 중랑구 유일의 영화관이었던 상봉시네마가 있었다. 2000년대까지는 성업했으나 중랑역 인근에 메가박스 상봉점이 들어서며 2010년 폐업했고, 사무실과 상점이 들어섰다.]을 본사로 신고해 두었다. 아마 완구 판매와 캐릭터 개발의 부서가 달랐던 듯하다. [[https://www.nicebizinfo.com/ep/EP0100M002GE.nice?kiscode=418863|폐업 당시 본사 소재지]]는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 489였는데 중간에 옮긴 것으로 보여진다. 웃고 있는 어린이의 얼굴이 로고인[* '''이게 이 회사의 유일한 오리지널 창작물이다.''' 과거에는 이 로고마저도 표절시비가 일었으나, 어린이의 얼굴은 표절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정황상 [[http://www.yes24.com/Product/Goods/2178075|개구장이 행진곡]]이라는 어린이 성경 동화에 책 표지에 있는 캐릭터와 명칭을 가져오거나 언급된 표절시비가 이 책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장난감]] 제작회사이지만 그 외에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도 제작했는데 [[불쏘시개]]수준이다. [[http://blog.naver.com/hyperscan/120020450584|#]] 또한 수입판매도 병행한 듯 한데, 실제로 이들이 유통한 상품 중 '[[전광초특급 히카리안|출동 메가트레인]]'이라는 이름으로 방영되고 있던 일본산 아동용 애니의 완구가 있었다. [[http://blog.naver.com/cyi151056/220595429961|#]] 박스에는 [[TV도쿄]], 아믹, 당시 토미였던 [[타카라토미]]를 비롯한 원저작권자가 일본어로 표기되었는데, 통상 정식 라이센스판이라면 저작권자가 영어로 표기되어야 하므로 명백한 복제품이다. 사실, 이 주식회사의 운영진은 문화산업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 예시로 대표가 인터뷰에서 자신들의 결백을 호소하며 [[젤라비]]가 [[텔레토비]]의 표절이라고 주장했다. [[비지우 브링케두]]처럼, 제작사로도 최악이고 배급사로도 멀쩡한 회사가 아니다. == 비판 == === 표절 행각 === 사실 인지도 없는 소규모 매장 및 완구 수입업체에 불과했으나 2003 캐릭터 페어에서 [[원피스(만화)|원피스]]를 [[표절]]한 [[와피스]]를 내놓으면서 악명을 얻게 되었다. 마침 [[KBS 2TV]]에서 <원피스> 애니 더빙판이 방영되고 있던 터라 더 이목을 끌었다. 본사 건물은 [[http://bbs.ruliweb.com/xbox/board/300046/read/4574494?orderby=readcount|의외로 소규모였다.]][* 다음 로드뷰 2010년 1월자에는 어떤 업체의 창고로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후 2010년 말부터 2011년 말까지는 빈 건물로 존재했는데, [[http://map.naver.com/?query=%EA%B2%BD%EA%B8%B0%EB%8F%84+%EB%82%A8%EC%96%91%EC%A3%BC%EC%8B%9C+%EC%A7%84%EC%A0%91%EC%9D%8D+%EB%82%B4%EA%B3%A1%EB%A6%AC+549-7|2012년 말 도로 확장 공사로 없어져버렸다.]] 딱 아파트 앞 문구점 정도의 크기였는데, 실제로 아파트 상가에 있거나 그런 건 아니고 단독 건물이 있긴 했으나 그 규모가 너무도 작아 어떤 곳에서 원피스 표절을 벌였나 하고 눈에 불을 켜고 찾아다니던 사람들을 허탈하게 만들었을 정도였다. 건물의 위치 또한 도심과는 거리가 먼 다소 외진 곳이었는데,[* 회사의 소재지였던 진접읍 내곡리는 2001년~2003년 당시엔 그렇게 많이 발전된 지역은 아니었는데, 회사가 있었던 곳은 그 내곡리에서도 제일 멀리 떨어진 곳이었다. 2023년 시점으로는 이곳 주변에 [[왕숙신도시]]가 들어설 예정이다.] 커뮤니티에 누군가가 개구장이 본사 건물을 찍어서 업로드하자 그 글을 본 모든 사람들이 "저런 영세업체가 무슨 배짱으로 표절을 했을까?"라고 어이없어하는 반응이 대다수였다. 또 개구장이에서 일하던 사람들도 극소수인데 아무래도 소규모라서 그런지 사장인 지성원과 직원을 포함한 단 '''3명'''에 불과하다. 소규모 매장치곤 의외로 홈페이지도 운영하고 있었으나[* 사이트 사용이 만료되었는지 홈페이지는 폐쇄된 상태다.] 본격적인 쇼핑몰로 운영되기보다는 카탈로그 수준에 불과하였다. 게다가 직원 수도 사장을 포함해서 딸랑 세 명밖에 되지 않을 중소형 문구 판매 업체 수준에 불과한 규모였는데 뭘 믿고 표절이 아니라면서 [[대원씨아이]], [[슈에이샤]]를 상대로 뻔뻔하게 나섰는지는 알 수 없다. "비슷한 만화를 보고 영감을 얻어 3년 동안 구상한 작품이다", "디지몬과 포켓몬 등 비슷한 내용의 작품들이 있다고 해서 문제삼는 이가 없지 않느냐"는 식의 말이 안되는 변명은 물론 [[대원씨아이]]를 일본 만화와 애니를 옹호하는 [[매국노]] 및 [[친일파]]라고 비방하기까지 했는데 [[표절]]과 [[저작권]] 침해를 벌였음에도 [[철면피]]스러운 자세를 보였다. 포켓몬스터의 [[이미테이션 게임]]인 '[[파워몬스터]]'를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퍼졌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해당 게임을 만든 곳은 'ID' 즉, '아이디 소프트웨어'라고 불리는 정체불명의 회사다. [[이드 소프트웨어]]와는 당연히 관계 없다. === 폐업 === 결국 개구장이의 이런 행태에 더 이상 참다 못한 [[원피스(만화)|원피스]]의 한국 저작권자 [[대원씨아이]]에게 피소되었으며 당시의 저작권 침해의 문제점 및 인식의 부재와 일본 문화에 대한 거부감과 부정적인 사회 분위기 면을 앞세워 놀랍게도 1~2심에서 승소했으나 이후 대법원에서 최종 패소하였다. 그렇게 원피스 덕후들과 개구장이의 행태에 분노한 [[네티즌]]들이 당시 [[아햏햏]] 문화를 꽃 피우던 [[디시인사이드]]와 [[웃대]] 등의 특정 사이트들을 끌어들여 무차별적 총 연합 사이버 테러 공격을 했고 결국 홈페이지도 [[http://cfile5.uf.tistory.com/image/205EB2104A45980F0567C4|해킹을 당하면서]][* 이는 개구장이 홈페이지의 보안이 매우 취약하기에 가능했다.] [[2006년]] [[12월 31일]]에 폐업하며 홈페이지도 모두 [[흑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이후의 근황이 전혀 없는 것을 빗대어 3명의 관계자가 [[임펠 다운|임펠 다운]]에 끌려갔다는 등의 잡다한 비꼼을 당하며 한국 문화계의 완벽한 흑역사로 남게 되었다. == 여담 == 당시 네티즌들 사이에서 불리던 별명은 '개[[구라|구'''라''']]장이'였는데, 이 회사를 까려는 목적으로 만들었던 [[Dr.Gothick]]의 [[https://www.youtube.com/watch?v=IvH4v-aILcg|플래시 애니메이션]][* 유튜브 아카이브다. 참고로 이 영상은 [[돌카스]]의 노래 "재미난 시디 굽기"의 가사 "필립스 공씨디 칠백메가 용량 다채우기"의 가사의 모티브가 된 대사가 등장한다.]과 한 웹툰이 사전 협의 없이 우연하게 같은 멸칭을 사용하면서 인터넷상에 널리 퍼진 것이 이유였다. 홈페이지는 인터넷 장난감 쇼핑몰 형식으로 되어 있었는데, 장난감보다 [[RC카]]나 [[미니카]] 등 전동차 계열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왔다. 2000년대 들어 얼마 남지 않았던 [[미니카]] 국산화 업체 중 하나였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Vv3ySY1I2tU|부품 규격화가 전혀 되지 않고 필수 부품들이 몇 개 빠지는 등 상품성이 전혀 없는 물건]]이었다.[* 해당 동영상에 나오는 미니카는 1-WAY WHEEL 시스템을 도입한 최고급품이었는데도 저 지경이며, 인터넷상에 떠도는 후기들을 보면 '''멀쩡한 물품이 단 하나도 없는, 불량률 100%를 자랑하는 것으로 악명높다.'''] 장난감 품질도 무척 떨어졌다. 그 시절에도 존재했던 중국산 불량 카피 제품과 비슷하거나 더 떨어지는 수준. 거의 제품 자체가 불량품 수준이었다. 플라스틱 재질도 안좋아서 내구성도 무척 약했고 한 두 번 작동하면 파손이 일어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분류:2001년 기업]][[분류:2006년 해체]][[분류:한국의 없어진 기업]][[분류:장난감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