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개국공신]] [목차] == 개요 == {{{+1 [[開]][[國]][[功]][[臣]]}}} 나라를 건국하는데 [[공신|큰 공헌을 세운]] [[신하]]. == 목록 == === 한국 === * [[고구려]] * 국조: [[동명성왕]] * [[오이(고구려)]] * [[마리(고구려)]] * [[협보]](또는 협부) * [[백제]] * 국조: [[온조왕]] * 10명의 대신들: 백제의 옛 이름인 십제는 개국공신이 10명이었던 것에서 비롯한다. 이들 중에는 정식으로 사서에 기록되지 않은 인물도 일부 있다. * 마려 * 오간 * 전섭 * 조성 * 을음 * 해루 * 흘우 * 곽충 * 범창 * 한세기 * [[신라]] [include(틀:신라 6성)] * 국조: [[혁거세 거서간]] * [[알평|이알평]]: 알천양산촌장. [[이(성씨)|이씨]]의 시조. * [[소벌도리|최소벌도리]]: 돌산고허촌장. [[최(성씨)|최씨]]의 [[시조]]. * [[지백호|정지백호]]: 취산진지촌장. [[정(성씨)|정씨]]의 시조. * [[구례마|손구례마]]: 무산대수촌장. [[손(성씨)|손씨]]의 시조. * [[지타(신라)|배지타]]: 금산가리촌장. [[배(성씨)|배씨]]의 시조. * [[호진|설호진]]: 명활산고야촌장. [[설(성씨)|설씨]]의 시조. * [[고려]] * 국조: [[태조(고려)]] [include(틀:고려 삼한공신)] 자세한 정보는 [[공신]] 문서 참조. * [[조선]] * 국조: [[태조(조선)]] [include(틀:조선 개국공신)] * 회군공신: [[위화도 회군]]에서 동참한 공신. === 중국 === * [[한나라]] * 국조: [[고제(전한)|한태조 유방]] * [[고조공신후자연표]] [Include(틀:한삼걸)] * [[촉한]] * 국조: [[유비|소열제 유비]] * [[오호대장군]] [Include(틀:촉서 관장마황조전)] * [[양(육조)|양]][* 자치통감에서 명시한 16명의 공신들이다.] [include(틀:양(남조)의 개국공신)] * [[몽골 제국]] * 국조: [[칭기즈 칸]] * [[사준사구]] [Include(틀:사준사구)] * [[명나라]] * 국조: 명태조 [[홍무제]] [include(틀:명나라의 개국공신)] == 여담 == 어떠한 집단이나 행사, 방송 등 세우거나 키우는데 크게 공헌한 사람을 개국공신이라 칭하기도 한다. 보통의 경우 원래 뜻처럼 기업을 세우는데 기여하거나, 크게 키우는데 일조하면 개국공신으로 인정해준다. 그리고 다 망해가던 기업을 살린 경우에도 개국공신이라 부른다. 그리고 시청률도 조금밖에 안나오던 TV 프로그램을 연기력 등으로 소화해내어 시청률을 올리는데에 기여한 사람이나, 방송국 개국 시절에 방영한 인기 있는 프로그램을 개국공신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개국공신이라고 불린다. [[토사구팽]]의 희생양이 되기 쉽다. 개국군주도 물론 능력과 야심 모두 대단하지만 그 곁에서 도운 개국공신들 역시도 개국군주 못지 않게 능력과 야심이 대단하며 개국군주가 찬탈이나 정복을 통해 나라를 세웠다면 '''개국공신들 역시도 못하리란 법이 없어서''' 일단 나라를 세우면 개국군주와 개국공신은 적이 되기 쉽다. 개국군주는 그래도 자신의 권위나 의리로 공신들을 통제하고 숙청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신 그 뒤를 이은 아들은 아버지만한 권위와 의리로 통제할 수 없기에 공신들을 숙청하는 일도 있었다. == 관련 문서 == * [[토사구팽]][* 아이러니하게도 정치적 문제를 통해 제거하는 일도 자주 당하기도 하는 계층이기도 하기 때문.] * [[배주석병권]] * [[파트리키]]: [[로마 왕국]]을 개국한 [[로물루스]]가 임명한 [[원로원]] 의원 100명의 후손이라고 기록되었지만 현대 학계에서는 부정한다. 실제로는 로마가 성장하면서 합병된 부족이나 소국들의 지도자였다는 것이 현대의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