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개금역'''}}}[br](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 ||<-3> [[파일:Busan2.svg|width=30]] || || [[장산역|{{{#!html
장산 방면}}}]][[동의대역|동의대]][br]← 1.1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html
2호선
(223)
}}}]] || [[양산역|{{{#!html
양산 방면}}}]][[냉정역|냉 정]][br]0.8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개금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Gaegeum || || [[한자]] ||<-2> 開琴 || || [[간체자]] ||<-2> 开琴 || || [[가나(문자)|가나]] ||<-2> [ruby(開琴, ruby=ケグム)]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 지하442 ([[개금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동의대역|동의대관리역]] 소속 / [[제2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부산교통공사|[[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width=150]]]]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1999년 6월 30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심도: 21.65m)[* 대합실과 승강장 사이에 일반인은 못 들어가는 기능실이 있다.]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23번.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 지하442 ([[개금동]]) 소재. == 역 정보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0912 2호선 개금역 대합실.jpg|width=100%]]}}}|| || 대합실 || 실제 역이 위치한 동명 유래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임진왜란]] 당시 백성들이 피란을 하던 중 푸른 산림과 아늑한 계곡이 있었던 이 곳에서 정착하기로 마음을 먹고 안심하면서 [[거문고]]를 켰다고 하는 설과 그리고 마을의 모양이 [[거문고]] 모양이라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부역명은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이다 [[2015년]]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운용중에 있다. 장산 방향으로 건넘선도 설치되어 있다. 부역명이 추가되면서 승강장의 역명판의 UI가 휴메트로식으로 교체되었는데, 비용절감을 위해서인지 1호선 역들과 2호선의 환승역[* [[덕천역]], [[사상역(도시철도)|사상역]], [[수영역]]]들과는 달리 날개 역명판을 화살표 모양으로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역명판에 스티커를 붙여 땜질을 하고 있다. 이는 최근 시설물 UI가 휴메트로식으로 교체된 [[율리역]], [[화명역(도시철도)|화명역]]과 [[벡스코역]]도 마찬가지다. 근데 선로쪽에 있는 역명판은 예산 때문인지 UI 교체안하고 그대로 있다. 아마도 교체하기 그런 위치에 있어서 그런듯. [[스크린도어]]의 영역 바깥에 있는 역명판도 마찬가지. 추가로 요즘은 역명판 UI를 교체하는김에 대합실의 시설물 UI도 한번에 교체하자는 추세인지 시설물의 UI도 모두 역명판 UI가 교체됨과 동시에 휴메트로식으로 교체되었다. 역시나 [[화명역(도시철도)|화명역]]이나 [[율리역]],[[벡스코역]] 처럼 최근에 UI가 교체된 역들도 마찬가지다. == 역 주변 정보 == 역 주변은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남쪽으로 900m 정도 떨어진 곳에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개금역에서 나와 국민은행 근처 정류장에서 마을버스 10번을 타면 백병원 내부까지 쉽게 진입할 수 있다.]이 있다. 다만 경사의 압박으로 인해 걸어서 올라가기가 빡쎄다. 정 안 되겠으면 [[부산 버스 부산진10]]을 이용하는게 제일 좋다. 개금육교와 붙어 있어서 백양대로 쪽으로 나가기 수월하다.[* 개금육교를 건너가는 시내버스 노선으로는 [[부산 버스 133]], [[부산 버스 138-1|138-1번]], [[부산 버스 160|160번]], [[부산 버스 167|167번]], [[부산 버스 169|169번]]이 있다. 이들 중 133번만 유일하게 다른 노선들과는 반대로(신개금LG아파트~개금사거리) 운행한다.] 이 곳과 [[동의대역]] 사이에 가야컴퓨터도매상가가 있었는데, 2015년 부터 이진젠시티 아파트 건설로 인해 2017년에 주례동 주례교차로 사거리(사상구 가야대로256)로 리모델링 후 이전 하였다.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동서대학교) 방향, [[백양대로]] 방향 버스로 환승 가능하고 마을버스 환승이 가능하지만 가야대로 양방향 버스는 개금역에 정차하는 버스가 몇 없어[* 개금삼거리 정류장이 개금동의 중심가이다 보니 워낙 이용객이 많아 정작 개금역에 정차하는 버스는 몇 없다.] 개금삼거리 정류장까지 200m 이상 걸어야하다보니 환승이 불편하다. 인근이 주택가이고 여러 대단위 아파트단지와 마을버스로 이어지다보니, 2호선 승객수 순위로는 중간 이상은 되는 역이다. 또한 강서구(개금) 예비군훈련장과 그나마 가까이 위치한 도시철도역이라 [[예비군 훈련]]을 받으러 가는 [[군복/한국군/육군|군복]] 입은 [[예비군]]들이 자주 이용하는 역이다.[* 개금예비군훈련장의 정확한 위치는 [[개림초등학교]] 뒷편이고 개금역과 거리가 1.3km 정도 떨어져 있어서 걸어가기에는 제법 먼 거리다. [[서면교차로]] 방면에서 가는 경우 롯데호텔·백화점 정류장에서 129-1번, 133번, 169-1번을 이용해서 신개금LG아파트 정류장에 하차하면 조금만 걸어올라가면 도착한다. 다만 진양교차로를 거쳐 백양대로로 빠지는 129-1번과 169-1번에 비해 133번은 개금사거리까지는 가야대로로 운행하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가장 좋은 169-1번을 이용해서 가는 편이 낫다.] 특히 기존의 서구·중구(송도) 예비군훈련장이 없어지면서 [[원도심(부산)|원도심권(서구·중구)]] 거주자들이 일괄적으로 개금 예비군훈련장으로 훈련을 받으러 가는 것으로 바뀌어서 예비군 이용객들이 많이 증가하였다.[* 전국단위 훈련신청으로 서구랑 가장 가까운 영도구·동구(태종대) 예비군훈련장이나 사하구(구평) 예비군훈련장으로 갈 수도 있지만 인원이 금방 차서 조기마감되버린다. 더군다나 지역동대에서 일괄적으로 일정을 정해주고 해당 일정 범위 내에서 날짜만 선택하는 것으로 훈련신청을 하는 것이라 예비군훈련장을 바꾸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었다.] == 일평균 이용객 == 개금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2호선|[[파일:Busan2.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16,342명 || || || 2003년 || 16,702명 || || || 2004년 || 16,081명 || || || 2005년 || 15,906명 || || || 2006년 || 14,839명 || || || 2007년 || 13,413명 || || || 2008년 || 14,123명 || || || 2009년 || 14,554명 || ||}}}}}}}}} || || 2010년 || 14,882명 || || || 2011년 || 15,942명 || || || 2012년 || 15,770명 || || || 2013년 || 16,154명 || || || 2014년 || 16,426명 || || || 2015년 || 16,206명 || || || 2016년 || 16,331명 || || || 2017년 || 16,443명 || || || 2018년 || 16,585명 || || || 2019년 || '''17,081명''' || || || 2020년 || 13,258명 || || || 2021년 || 13,621명 || || || 2022년 || 14,844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 개금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17,081명으로, 2호선 [[화명역(도시철도)|화명역]]~[[서면역]] 구간에서 [[덕천역|두]] [[사상역(도시철도)|환승역]]을 제외하면 화명역 다음으로 승하차 인원이 많은 역이다. [[부산진구]]에 있는 첫 번째 2호선 역으로서, [[개금동]] 전체를 포괄하는 곳이라 역세권의 인구가 비교적 많고, [[부산백병원]]으로 접근이 가장 용이한 것도 주변의 역들보다 이용율이 다소 높은 이유가 된다. 강서구(개금) [[예비군 관리대대|예비군훈련장]]으로 [[예비군훈련]]을 받으러 가는 [[예비군]]들의 이용률도 높다. 물론 [[주례역]], [[냉정역]], [[동의대역]]과 유의미한 차이가 날 정도는 아니지만, 주변과의 차이가 있다면 [[경부선]] 및 [[동서고가로]] 북쪽 시가지에서 역으로 넘어오기가 가장 편리한 곳이라는 점이다. 낡고 음침한 굴다리 및 좁은 육교로 넘어와야 하는 기타 역들과는 달리, 개금역은 4번 출구 바로 옆에 6차선 다리가 있어 아무 장애물 없이 수월하게 역으로 진입할 수 있다는 것이 결정적인 차이이다. 그 덕분에 [[신개금 LG아파트]] 쪽에서의 역 이용률이 제법 높다.[* 해당 아파트의 경우 단지내에서 6차선 다리로 이어주는 육교 및 엘리베이터가 있어서 이용하기도 수월한 편이다.] 개금3동, [[당감동]] 일대에서 버스를 이용하여 접근하기에 편리한 점도 이용객이 많은 이유 중 하나이다. 출퇴근 시간에 개금초등학교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도시철도로 환승하는 승객이 제법 많다. 또한 2018년 이후로는 이용객이 다소 증가하고 있다. 2018년 2월 당역 3번 출구 앞에 금강 펜테리움 더스퀘어 주상복합단지가 입주를 시작했는데, 4개동에 불과하지만 세대수도 많고 무려 39층의 높은 건물인데다 개금사거리에 붙어있는 입지여서 지하철 이용이 매우 편리하기 때문이다. ==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0914 개금역 승강장.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0914 개금역 역명판.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명판}}}'''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31002 개금역 안내도.gif|width=100%]]}}}|| || '''{{{#FFF 역 안내도}}}''' || ||<-4> [[동의대역|동의대]]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냉정역|냉정]] || || {{{#ffffff 상}}} ||<|2> [[파일:Busan2.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서면역|서면]]·[[경성대·부경대역|경성대부경대]]·[[수영역|수영]]·[[해운대역|해운대]]·[[장산역|장산]] 방면|| || {{{#ffffff 하}}} ||[[주례역|주례]]·[[사상역(도시철도)|사상]]·[[덕천역|덕천]]·[[호포역|호포]]·[[양산역|양산]] 방면|| 승강장이 상당한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곡선 승강장의 여파로 승강장과 열차 사이가 상당히 넓다. 승강장에 발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발이 빠지지 않도록 조심하라는 안내 방송도 열차와 승강장에서 나온다.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중앙역(부산)|중 앙]] || ◁ || [[서면역|서 면]] || ▷ || [[명륜역|명 륜]]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 || [[남천역|남 천]] || ◁ || {{{#c0c0c0 개 금}}} || ▷ || [[덕천역|덕 천]]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 || [[배산역|배 산]] || ◁ || [[연산역(부산)|연 산]] || ▷ || [[미남역|미 남]]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 || [[미남역|미 남]] || ◁ || [[동래역(도시철도)|동 래]] || ▷ || [[수안역|수 안]]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 || [[부전역(동해선)|부 전]] || ◁ || [[교대역(부산)|교 대]] || ▷ || [[센텀역|센 텀]] || == 연계 교통 == 과거에는 개금역에는 버스가 정차하지 않다가 2010년부터 [[부산 버스 33|33번]], [[부산 버스 61|61번]], [[부산 버스 68|68번]], [[부산 버스 77|77번]] 한정으로 정차했다. 2015년 개통된 [[부산 버스 168|168번]]도 개통 이후 개금역 정류장에 정차하기 시작했다. 이후 2022년 12월 28일 가야대로 BRT가 개통하면서 개금역을 지나는 전 노선이 개금역 정류장에 정차하기 시작했다. 다만 주례 방향 BRT는 개금역 정류장이 개금삼거리에 위치해 있어 연계가 불편해졌다. === 복지로 가로변 정류장 === * 개금역(정류장 번호: 05-113) * [[부산 버스 167]] - 동서대학교행 * 개금역(정류장 번호: 05-114) * [[부산 버스 167]] - 동아대학교병원행 === 가야대로 BRT 정류장 === * 개금역(정류장 번호: 05-730) * [[부산 버스 31]] - 모라주공행 * [[부산 버스 33]] - 만덕행 * [[부산 버스 59]] - 금곡역행 * [[부산 버스 62]] - 신라대학교행 * [[부산 버스 68]] - [[하단역]]행 * [[부산 버스 77]] - 학장동행 * [[부산 버스 108]] - 엄궁아파트단지행 * [[부산 버스 133]] - 초읍만덕터널행 * [[부산 버스 138]] - 신평행 * [[부산 버스 186]] - 서부터미널행 * [[부산 버스 1004|부산 버스 심야1004]] - 김해(구산동)행 * 개금역(정류장 번호: 05-731) * [[부산 버스 31]] - 송정행 * [[부산 버스 33]] - [[연제공용차고지]]행 * [[부산 버스 59]] - 충무동행 * [[부산 버스 62]] - 민락동행 * [[부산 버스 68]] - 용당동행 * [[부산 버스 77]] - [[장전역]]행 * [[부산 버스 108]] - 민락동행 * [[부산 버스 133]] - [[연제공용차고지]]행 * [[부산 버스 138]] - 용당동행 * [[부산 버스 186]] - 태종대행 * [[부산 버스 1004|부산 버스 심야1004]] - 충무동행 === 가야대로443번길 가로변 정류장 === * 개금역·개금초등학교(정류장 번호: 05-108) * [[부산 버스 138-1]] - 신평공단(구평)행 * [[부산 버스 160]] - 부산과학기술대학교행 * [[부산 버스 167]] - 동서대학교행 * [[부산 버스 168]] - 용당동행 * [[부산 버스 169]] - 신만덕행 * 개금역·개금초등학교(정류장 번호: 05-146) * [[부산 버스 138-1]] - 용당동행 * [[부산 버스 160]] - 동성고등학교행 * [[부산 버스 167]] - 동아대학교병원행 * [[부산 버스 168]] - 부산시민공원행 * [[부산 버스 169]] - 당감동행 === 마을버스 === * [[부산 버스 부산진9]] * [[부산 버스 부산진10]] * [[부산 버스 부산진10-1]] * [[부산 버스 사상6]] * --[[부산 버스 사상8]]-- * [[부산 버스 사상8-1]] == 사건·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 [[2013년]] [[1월 31일]], 8시 10분에 장산행 열차가 들어오는 도중에 60대 남성이 투신해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30131000174|링크]]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 목록)] [[분류:1999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 도시철도 2호선]][[분류:부산진구]][[분류:가야대로]][[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