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갤런(gallon)은 [[야드파운드법|영미 단위계]]에서 쓰이는 [[부피]]를 재는 [[단위]]이다. 크게 영국 갤런(imperial gallon)과 미국 갤런(US gallon)[* 후술할 미국 건량 갤런에 대비하여 미국 액량 갤런(US liquid gallon)으로도 불린다.]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 외에도 미국 건량 갤런(US dry gallon)이 있다. 이 단위를 흔히 볼 수 있는 곳은 바로 항공업계와 [[미국]] [[주유소]]이다. 항공기에 들어가는 기름 양을 계산할 때 갤런 단위를 쓰며(이는 비행시뮬 게임을 해보면 알 수 있다.) 미국 주유소에서는 ‘갤런당 몇 달러’ 하는 식으로 기름값을 계산한다. 또한, 미국에서는 자동차 연비를 계산할 때도 [[MPG]](mile per gallon, mi/gal)을 사용하는데, 1갤런으로 갈 수 있는 마일 수를 의미한다. [[국제단위계]]가 쓰이는 한국에서도 의외로 간접적으로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단위이다. 18.9L들이 생수통이 그 주인공으로, 미국 갤런으로 환산하면 딱 5갤런이 된다. == 정의 == || '''단위''' || '''정의''' || '''리터 환산'''[* 아래 값은 근사치가 아닌 정확한 값이다. 단위를 영국 갤런처럼 리터로 정의했거나, [[인치]] 기반으로 정의했더라도 인치가 센티미터 단위로 정확하게 2.54cm로 정의되었기 때문이다.] || '''기원''' || || 영국 갤런 |||| 4.54609 리터||1824년 제정 당시에 쓰이던 정의[* [[화씨온도|화씨]] 68도(섭씨 약 20도)에서 물 10 파운드(약 4.54 kg)의 부피]를 미터 단위로 환산하여 재정의함. || || 미국 갤런 || 231 세제곱인치|| 3.785 411 784 리터||1706년 [[앤 여왕]] 시절에 정한 원통 기반 정의[* 지름 7 인치, 높이 6 인치인 원통의 부피가 기준. 원통의 부피를 계산하려면 [[원주율]]을 도입해야 하는데, 이때에는 22/7로 근사하게 계산했음.]를 계산하기 쉬운 직육면체 기반(3×7×11인치)으로 전환하여 재정의함.|| || 미국 건량 갤런 || 268.8025 세제곱인치|| 4.404 883 770 86 리터||지름 18.5인치, 높이 1 인치인 원통의 부피에서 기원하여 후에 정확히 268.8025 세제곱인치로 정의함. || [[분류:도량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