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교된 고등교육기관)] ||<-2> {{{+1 {{{#ffffff '''건동대학교'''}}}}}} [br] {{{#ffffff '''建東大學校'''}}} [br] {{{#ffffff '''Kundong University'''}}} || ||<-2> [[파일:external/www.polinews.co.kr/focus_146311_1.jpg|width=250]] || || '''표어''' ||'''진리, 탐구, 봉사'''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분류''' ||[[사립대학]] || || '''개교''' ||[[1992년]] [[2월 11일]] '''안동공업전문대학''' || || '''폐교''' ||[[2012년]] [[8월 31일]] || || '''재단 및 법인''' ||학교법인 백암교육재단 ||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건동길 34 || ||<-2> '''캠퍼스''' || ||<-2> [include(틀:지도, 장소=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건동길 34, 너비=100%, 높이=15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신덕리 1217에 소재했던 [[대학]]교이다. 1992년 12월 학교법인 백암교육재단[* [[경북하이텍고등학교]](구 안동공업고등학교)도 운영하고 있어서, 건동대가 폐교되어도 재단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또한 강남유치원도 운영한다.]이 설립한 안동공업전문대학을 전신으로, 1998년 안동정보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6년 4년제 종합대학으로 바뀌면서 건동대학교로 개칭했다. 2011년 9월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 당시에는 [[교육과학기술부]]였다.]에서 지정하는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에 선정되는 불명예를 얻었고, 동시에 입학정원을 340명에서 182명으로 줄이라는 통보를 받았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1090802011557744002|대학 구조조정 급물살 탄다]] - 디지털 타임스, 2011년 9월 7일] 이에 따라 학교법인 측은 2012년 5월 11일 교과부에 자진 폐교 신청서를 제출, 이에 따라 동년 8월 31일에 폐교되었다. 단, 실질적으로 이듬해 2월까지 운영했다. == 설치 학과 == * 인문사회계열 * 경찰행정학과 * 사회복지학과 * 자연과학계열 * 안경광학과 * 공학계열 * 가스에너지공학과 * 신재생에너지공학과 * 예체능계열 * 경기지도학과 * 운동처방학과 * 태권도학과 폐교 당시 설치된 학과로, 경기심판학과라는 학과를 새로 설치할 예정이었으나,[* [[http://news.jumpball.co.kr/news/view/cd/02/seq/8938|건동대, 경기심판학과 신설 설명회 개최]] - 점프볼, 2011년 7월 18일] 자진 폐교로 무산되었다. == 부실대학 지정과 교과부 감사 == * 2010~2011년 학자금대출 제한 대학으로 선정되었음. * 최근 수년간 부당한 학서운영 및 재단비리로 감사원과 교과부의 감서 및 검찰 수사. * 설립자가 이사회 의결이나 허가 없이 학교 재산 12억6천만원을 처분하거나 불법 집행. * 부당한 방법으로 재학생 89명에게 학점과 학위 수여. * 2011년 9월에는 전임교원 확보율이 설립인가 기준치(61%)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34.5%[* 교수 숫자가 20명이 전부다.]에 불과해 입학정원이 기존 394명에서 158명으로 감축. ~~대학이 아니라 학원 수준~~ == 폐교 == [[2012년]] [[5월 11일]] [[교육과학기술부]]에 자진폐교 신청을 하였다.[* 자진폐교 신청의 경우는 2006년 수도침례신학교의 전례가 있는데, 일반대학에서 신청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 동안 누적된 감사 결과 등을 견디지 못 하고 학교 스스로 폐교 조치를 신청한 듯. 당연히 소속 학생들과 교직원들은 반발하고 있었는데... 일단 재단에서 폐교 신청을 덜컥 해버린 듯 싶고, 결국 [[명신대학교]]에 이어서 2012년도에 폐교되는 2번째 4년제 대학이 되었다. 폐교 결정에 따라 학생들은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시위도 벌였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결국 2012년, 재학생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이 다른 도내 대학의 관련 유사 학과들로 편입하게 되었다. 참고로 이들 중 [[경북외국어대학교]]에 편입한 사람도 있었는데, [[경북외국어대학교]]도 2013년에 폐교되어 다니던 대학교가 2번이나 사라지는 난감한 일도 있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aNR5eGQ83E|2명 중 한 명이 MBC에서 인터뷰. 1분 22초부터]] 일부 재학생은 고학년으로 건동대에서 졸업을 하게 되었다. 그로 인해 행정적으로 폐교는 8월 31일이었으나 실질적으로는 2학기까지 일부 운영되었다. 2012년 2학기를 기준으로 모든 편입이 완료 되었으며, 군 휴학한 학생은 전역 후 새로 편입한 학교로 가게 되었다. == 여담 == * 건동대 부지에는 현재 안동 [[올라 김재규공무원학원/안동캠퍼스|김재규 공무원 학원]]이 들어서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215&aid=0000055113|관련 기사]] [[https://www.youtube.com/watch?v=ZIuYFRuChms|관련 영상]] * 우스갯소리지만 [[건국대학교]]+[[동국대학교]]가 아니다. 그러나 실제 2006년에 한 학생이 건국대 수시에 지원하였다가, 알고보니 건동대였다는 것을 알고 건동대 홈페이지에 지원을 취소해달라고 올린 [[https://www.inven.co.kr/board/webzine/2097/251183|짤방이 있다]]. [[http://m1.daumcdn.net/thumb/R750x0/?fname=http%3A%2F%2Fcfile6.uf.tistory.com%2Fimage%2F2725D43C5253F8AF22DD12|#]] * 사실 이런 자진폐교는 꼼수 폐교라는 지적도 많이 받았다. 문제많은 법인이 대학을 폐교시켜도 법인 내 학교가 있다면 재산은 지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학법인과 달리 중등학교 이하는 관할 교육청의 지도를 받게 되기에 사회적인 감시망에서 벗어난다는 지적을 받는다. 대구미래대는 대학을 폐교시키고 법인내 유치원만 남아 재산을 넘겨받았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243539|#이에 따라 결국 사학법을 수정했다]]. [[분류:폐교된 대학교]][[분류:1993년 개교]][[분류:2012년 폐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