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시에 천체 목록)] ||<-5><:> [[메시에 천체 목록|{{{#FFFFFF '''메시에 천체'''}}}]] || || ||<:> {{{#000000 {{{+1 '''M1'''}}}[br]'''게 성운'''[br]황소자리의 초신성 잔해 }}} ||<:> {{{+1 →}}} ||<:> [[메시에 2|{{{+1 '''M2'''}}}]][br]물병자리의 구상성단 ||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1951|{{{+1 '''NGC 1951'''}}}]][br]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1 ←}}} ||<:> {{{#000000 {{{+1 ''' NGC 1952'''}}}[br]황소자리의 초신성잔해 }}} ||<:> {{{+1 →}}} ||<:> [[NGC 1953|{{{+1 '''NGC 1953'''}}}]][br]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3><:> {{{#FFFFFF '''M1'''[br]{{{+3 '''게 성운'''}}}[br]Crab Nebula}}}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Crab_Nebula.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5h 34m 31.97s || || {{{#FFFFFF 적위}}} || +22° 00' 52.1" || || {{{#FFFFFF 별자리}}} || [[황소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II형 [[초신성 잔해]] || ||<-2> {{{#FFFFFF '''거리'''}}} || 2,000(±50) [[파섹]][br]6,500(±1,600) [[광년]] || ||<-2> {{{#FFFFFF '''반지름'''}}} || 5.5(±1.5) 광년 || ||<-2> {{{#FFFFFF '''질량'''}}} || 5''M'',,☉,,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FFFFFF '''겉보기 등급'''}}} || 8.4 || ||<-2> {{{#FFFFFF '''절대 등급'''}}} || −3.1(±0.5) || ||<-2> {{{#FFFFFF '''극대 광도'''}}} || -6 || ||<-3> {{{#FFFFFF '''명칭'''}}} || ||<-3> [[메시에 천체 목록|M]]1, [[NGC]] 1952, [[초신성|SN]] 1054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carb_nebula-herchal(ESA).jpg|width=100%]]}}}|| || [[ESA]]의 허셜 우주망원경의 사진과 [[허블 우주 망원경]]의 사진을 합성한 사진[* 허블 망원경이 가시광선 영역에서 산소와 황 이온을 검출하는 세 가지 다른 필터를 통해 얻은 사진은 푸른색 부분이고, 성운의 먼지 방출은 허셜 망원경의 [[원적외선]] 검출을 통해 얻었으며 붉은 색 부분이 그것이다.] || {{{+1 Messier 1 / NGC 1952}}} '''게 성운'''은 [[황소자리]] 방향에 있는 [[초신성]] 잔해이자 중심부에 위치한 [[중성자별|펄서]]의 영향을 받는 성운이다. [[한자어]]로는 [[蟹]](게 해)를 써서 해성운([[蟹]][[星]][[雲]])이라고 한다. 1731년 존 베비스가 처음으로 발견하였으며, 오해하기 쉽지만 [[게자리]]에 있는 성운이 아니다. 게자리에는 [[프레세페 성단|M44 프레세페 성단]]이 있다. [[메시에 천체 목록]]의 1번을 차지하고 있지만, 관측 시 찾기 어려울 만큼 어둡다. 지구 관측 기준으로 불과 1천 년 전 만들어진 성운이며, 이는 천문학적으로 극히 최근에 형성된 천체에 해당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4&v=_KCCKl9SB90|2008-2017년간의 게 성운 사진. 현재도 퍼지고 있는 중이다.]] M1이라는 상징성 때문에 게 성운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인류 역사에서 초신성 폭발이 기록에 직접 남은 사례 중 비교적 유명한만큼, 천문학, 물리학 등 이과 뿐 아니라, 문과의 역사학계에서도 연구에 동참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논문도 잊을 만하면 한 번씩 나온다. == 역사 == 1731년 영국의 물리학자인 존 베비스(1695~1771)가 처음 발견하였고 그의 책인 'Uranographia Britannica'에 그에 대한 내용을 실었다. 1758년 8월 28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독자적으로 발견하였다. 혜성 탐사를 주로 하던 샤를 메시에가 [[핼리 혜성]][* [[에드먼드 핼리]]가 핼리 혜성이 돌아올 것이라고 처음 예측한 해이다.]을 찾던 중 다른 혜성[* C/1758 K1 De la Nux. De la Nux가 1758년 5월 26일에 발견하였다.]을 찾았고 이 혜성을 추적하다가 [[황소자리]]에서 게 성운을 발견하였다. 처음에는 혜성인 줄 알았으나 움직이지 않는것을 알게된 후 혜성과 착각할 만한 천체들을 기록한 것이 [[메시에 천체 목록]]의 기원이다. 메시에 목록에는 1758년 9월 12일에 기록되었다. 발견 초기의 게 성운을 관측한 [[샤를 메시에]]와 요하네스 엘레르트 보데는 별이 없는 성운으로 생각했으나 [[윌리엄 허셜]]은 더 큰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 내부에 별이 존재하는 성운으로 밝혀졌다. [[파일:external/messier.seds.org/m1rosse.jpg]] 1844년 제3대 로스 백작 윌리엄 파슨스가 스케치한 M1 게 성운 게 성운이란 이름은 영국 천문학자인 제3대 로스 백작 윌리엄 파슨스(William Parsons, 3rd Earl of Rosse, 1800 ~ 1867)가 1844년 게 성운을 관측한 뒤에 스케치하며 지은 것이 유래다. 당시로서는 꽤 큰 무려 36인치의 망원경으로 관측하였다 한다. 참고로 이름이 왜 (게와 별로 닮지 않았음에도) 게 성운이냐 하면, 서양권에서는 가운데의 모체에서 여러 갈래로 뻗어나가는 것이 게의 등딱지와 거기에 붙은 다리처럼 생겼다고 보는 관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념이 제대로 이식된 것이 바로 영어로 '암'을 의미하는 '[[캔서|cancer]]'인데 이것은 원래 [[게자리]]를 일컫던 말이다. 암의 종양이 여기저기 가지치기하듯 뻗어나가는 것이 게 등딱지와 비슷하다고 여겨졌기 때문. 이 항목 상단부 사진을 보고도 감이 잘 안 온다면 [[https://youtu.be/oJ9qJFQ0EE8|#영상]]을 보자. 바깥쪽으로 가지가 뻗어나가는 성운의 모습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19세기 말부터 게 성운에 대한 초 분광 관측법이 시행되어 게 성운의 가스 성분 등이 밝혀졌다. M1의 첫 사진은 1892년에 20인치 망원경으로 찍었다. 게 성운에서 발산하는 빛의 스펙트럼에 대한 자세한 조사는 1913년 부터 1915년까지 미국 천문학자인 베스토 슬라이퍼( Vesto M. Slipher,1875~1969)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는 스펙트럼 방출선이 분할되어 보이는 것을 찾았다. [[도플러 효과]]로 알려진 이 현상으로 게 성운의 일부는 우리쪽으로 접근하며(청색 편이) 나머지는 우리에게서 멀어지는 것(적색 편이)을 찾아내었다.[* 이러한 스펙트럼의 편이를 이용해 알아낸 시선 방향 팽창 속도와 오랜 간격을 두고 촬영한 사진을 비교해 구한 각팽창 속도를 비교하면 이 성운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행성상 성운도 이러한 방법으로 거리를 구한다.] 1919년 미국 천문학자인 로스코 프랭크 샌포드(Roscoe Frank Sanford, 1883 – 1958)는 이러한 스펙트럼의 원인을 두 가지 찾아냈다. 첫 번째는 게 성운의 밝은 필라멘트의 복잡한 구조에서 나오는 [[수소]] 방출선을 포함하는 붉은 방출 선 스펙트럼이 원인이다. 두 번째는 강한 푸른 빛의 확산 배경을 가진 연속 스펙트럼 때문이다. 헤버 커티스(Heber D. Curtis,1872~1942)는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천체를 임시 [[행성상 성운]]으로 분류했지만 1933년 논파된다. 1921년 로웰 천문대의 램플랜드는 42인치 반사 망원경으로 얻은 성운의 사진을 비교할 때, 중심 별 주변의 좁은 구역에서 주목할만한 성운의 개별 구성 요소의 밝기 변화와 움직임, 극적인 변화를 찾아낸다. 같은 해, 윌슨 산 천문대의 J.C.던컨은 11.5년 간격의 게 성운 사진을 분석한 결과 게 성운은 1년에 약 0.2'' 확장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을 역추적한 결과 게 성운의 확장은 900년 전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했다. 역시 같은 해, 크누트 룬드마르크는 이 성운이 1054년의 초신성 폭발 위치와 가까운 것을 지적했다.[* 중국 사서인 <[[송사]]>에는 SN 1054의 위치를 '천관(天關, 황소자리 제타)에서 수척 떨어진 곳'이라 기록하고 있는데 게성운은 황소자리 제타 근처에 있다.][* 1054년의 초신성 폭발 기록이 서구권에 처음 소개된 것은 에두아르 비오가 [[문헌통고]]를 번역한 1843년의 일이다.] 1953년, 소련 천문학자인 이오시프 시크로브스키(Iosif Shklovsky,1916~1985)는 중앙의 푸른 영역은 싱크로트론 복사[* 강한 자기장 안에서 상대론적 속도로 움직이는 전자가 자기장에 의해 진행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가속도를 받는 가속운동을 하면서 방출되는 복사, 편광파가 전자의 진행방향 쪽으로 집중되어 방출된다.] 가 일어나는 곳이라고 주장했다. 3년 후인 1956년, 그의 주장은 관측으로 확인되었다. 1960년대에는 성운의 중심에 있는 중성자별의 강력한 자기장이 그 원인이라는 것도 밝혀졌다. == 특징 == === 생성 === [[기원전 2천년기 이전|기원전 5500년경]], 지금의 게 성운 자리에 있었던 [[항성]]이 [[초신성|거대한 폭발]]을 일으켰다. 이 폭발로 인해 발생한 엄청난 섬광은 6500광년을 이동하여, [[1054년]] [[7월 4일]][* 이 날짜는 [[송사]] 56권 천문지에 기록된 날짜를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한 것이다.] [[지구]]에 도달하였다. 이것이 바로 '''초신성 1054(SN 1054)'''이다. 이 섬광은 무려 최대 밝기가 저녁의 [[금성]]과 맞먹는 '''-6등성'''이었기 때문에 많은 나라들이 이를 관측하고 기록으로 남겼다. 기록이 남아있는 국가는 [[중국]] [[송나라]] 그리고 [[아랍]]이 주를 이룬다.[* 당시 [[한국]]은 [[고려시대]]였는데, [[고려]]는 천문현상을 기록하던 나라임에도 그해의 기록이 전부 없다고 한다. 이때는 [[고려]] [[문종(고려)|문종]] 때였다. 그렇기에 고려도 이 초신성을 기록했지만, [[몽골 제국]]의 [[여몽전쟁|침공]]으로 소실되었다는 의견이 많다. 실제로 [[고려사]]나 [[고려사절요]]의 경우 특정 해의 기록이 특히 부실한 곳이 많은데, 바로 [[몽골 제국]]의 침공으로 이들 역사서의 기초가 된 사료를 보존해 뒀던 고려의 서고가 불탔기 때문이다. 사료가 부실해져서 [[조선시대]]에 고려사, 고려사절요를 찍을 때 내용이 부족해진 것.] 이 중 아랍의 기록을 살펴보면, 이 섬광은 23일동안 낮에도 보일 정도로 밝았으며, 653일간 밤하늘에서 보였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그때 터진 별에서 생성된 각종 물질들이 퍼져나가 지금과 같은 성운의 형태에 이르렀다. 여담인데 당시 [[송나라]]에서는 이게 재앙을 예고한다고 민심이 요동쳤고 이방인에 대한 불안감이 터졌다. 그리고 송나라에 거주하던 [[카이펑 유대인]]들이 그 징조로 오해받아 상당수가 학살당하거나 구타당하는 일로 이어졌다. === 일반적인 특징 === 게 성운은 약 11광년의 범위에 걸쳐져 있으며 지금도 약 1,500km/s의 속도로 초신성의 폭발 잔해를 밖으로 분출하고 있다. 성운 중심에서 뿜어내는 싱크로트론 방사선은 우주의 다른 폭발 과정과 유사하다. 비슷한 예로는 불규칙 은하인 [[시가 은하|M82]]의 활성화된 핵과 거대 타원 은하 [[처녀자리A 은하|M87]]에서 뿜어져 나오는 독특한 제트가 있다. 게 성운 중심에 있는 [[중성자별|펄서]]는 16.5등급의 [[겉보기등급]]을 가졌으나 [[절대등급]]은 약 4.5이다. 이는 우리 [[태양]]의 절대등급과 비슷하다. 지름은 28~30 km 정도이며, 1초에 약 30번 자전하면서 전자기파를 방출한다. 인류 역사에서 초신성 폭발과 연관된 최초의 천체이다. 이 [[중성자별]]은 표면에서 거의 모든 영역의 전자기 스펙트럼 영역으로 펄스를 방출하기 때문에 자전 주기가 잘 알려져 있다. 게 성운은 어둡고 맑은 조건의 하늘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맨눈으로는 관측할 수 없고 최소한 7x50이나 10x50의 쌍안경으로 아주 희미한 빛조각으로 보인다. 좀 더 확대해서 보면 타원형의 흐릿한 성운기를 볼 수 있다. 4인치 정도의 망원경으로는 숙련자에 한해 성운 내부의 얼룩 등을 볼 수 있다. 최상의 조건에서 16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는 성운 내부의 필라멘트와 더 미세한 구조를 관측할 수 있다. 게 성운은 [[황도]]에서 불과 1.5° 떨어져 있어 달에 의한 [[엄폐]]현상과 [[태양계]] [[행성]]과의 [[합]]이 자주 발생한다. === 최후의 수수께끼 === 게 성운에 대해 아직 밝혀지지 않은 미스터리 중 하나는 게 성운의 질량에 관한 것이다. 게 성운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태양질량의 8~ 11배에 해당하는 별이 터져야 하는데[* 태양질량의 8배보다 작은 별은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수 없고 12배 이상인 별은 게 성운보다 더 다양한 화학적 조성의 성운을 형성한다.] 게 성운을 이루는 가스의 질량은 태양질량의 2~3배, 최대치가 5배이며 중심에 있는 펄서는 태양질량의 1.4~2배로 다 합쳐도 태양질량 8배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별이 죽기 직전 상당량의 질량을 항성풍으로 날려보냈다는 주장이 있지만 그렇다면 껍질구조가 있어야 하는데 발견되지 않아 논란이 있다.[* 죽기 직전이 아니라도 상당한 양의 질량을 항성풍으로 날릴 별은 [[볼프–레이에별]]이 있다.] == 위치 및 찾는 방법 == [[파일:external/www.universetoday.com/Taurus-580x576.gif]] 게 성운은 [[황소자리]] 알파(α)인 [[알데바란]]의 동북동쪽에 있는 3등급인 황소의 오른쪽 뿔에 해당하는 [[황소자리]] 제타(ζ)에서 북쪽으로 1°, 서쪽으로 1° 떨어진 곳에 있다. == 다른 메시에 천체 == [include(틀:메시에 천체 목록)] == 관련 문서 == * [[천문학 관련 정보]] * [[초신성 잔해]] [[분류:성운]][[분류:초신성]][[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