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Georgi Pachedzhiev.jpg|width=100%]] || || 이름 ||게오르기 파체지에프[br](Γеорги Пачеджиев / Georgi Pachedzhiev) || || 생년월일 ||[[1916년]] [[3월 1일]] || || 사망년월일 ||[[2005년]] [[4월 12일]] (향년 89세) || || 국적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8]] [[불가리아]] || || 출신지 ||[[불가리아 왕국]] [[소피아(도시)|소피아]] || || 포지션 ||포워드 || || 신체조건 ||불명 || || 소속팀 ||스포르트 클루브 소피아 (1932-1937)[br]OSK AS-23 (1937-1944)[br]차브다르 CDV (1944-1947)[br][[PFC 레프스키 소피아]] (1947-1950)[br][[PFC 슬라비아 소피아]] (1950-1953) || || 국가대표 ||9경기 2골 (1935-1950) || || 감독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불가리아 대표팀]] (1955)[br][[PFC 레프스키 소피아]] (1955-1960)[br][[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불가리아 대표팀]] (1961-1962)[br][[AC 오모니아]] (1965-1966)[br][[OFC 포모리에]] (1966-1967)[br][[FC 체르노모레츠 부르가스]] (1967-1968)[br][[AC 오모니아]] (1968-1970) || [목차] [clearfix] == 개요 == [[불가리아]]의 전 축구 감독 == 생애[* 출처: 위키피디아, 11v11 ] == === 선수 생활 === ==== 클럽 ==== 파체지에프는 불가리아의 여러 클럽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1935년에 처음으로 스포르트 클루브 소피아에서 [[파르바 리가|불가리아 주 축구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1947년에 [[PFC 레프스키 소피아]]의 선수가 된 파체지에프는 1950년까지 세차례 [[더블#s-7|더블]]을 커리어에 추가했다. 1950년부터 파체지에프는 [[PFC 슬라비아 소피아]]에서 선수 생활을 하다가 1953년에 부상으로 은퇴를 선언했다. ====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 파체지에프는 1935년 10월 20일, 2대4로 패했던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과의 경기에서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불가리아 대표팀]]의 일원으로 공식 경기에 데뷔했다. 그리고 그는 1937년 11월 7일, 홈에서 있었던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지역예선#s-2.7|1938년 월드컵 지역예선전]]에서 첫 골을 기록했고 그 골 덕분에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와 1대1로 비겼다. 하지만 다음 체코슬로바키아 원정에서 불가리아는 0대6으로 대패해 월드컵 진출에 실패했다. 파체지에프의 마지막 대표팀 경기는 1950년 11월 12일의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전이었고 불가리아는 1대1로 비겼다. === 감독 === 파체지에프는 1954년, [[모스크바]]의 축구 코칭 스쿨을 졸업했고 1955년에 잠시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불가리아 대표팀]]의 감독을 맡았다. 그의 본격적인 감독 커리어는 1955년에 [[PFC 레프스키 소피아]]의 감독이 되고 난 후였고 5년간 많은 젊은 선수들을 기용해가며 [[불가리아컵|소비에트 육군컵]] 3회 우승을 차지했다. 파체지에프는 1960년 레프스키 감독직에서 물러난 후 1년이 지난 1961년에 불가리아 대표팀 감독으로 복귀해 [[1962 FIFA 월드컵 칠레/지역예선#s-2.1.2|1962년 월드컵 지역 예선]]을 치렀다. 당시 같은 조엔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와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핀란드]]가 있었는데 불가리아는 [[밀라노]]에서 단판 플레이오프까지 치른 끝에 프랑스를 1대0으로 꺾고 칠레행 티켓을 거머쥐었다. 즉, 파체지에프는 불가리아 역사상 최초로 [[FIFA 월드컵]] 본선 경기를 지휘한 감독이 된다. 하지만 불가리아는 [[1962 FIFA 월드컵 칠레/조별 리그 3조&4조|본선 조별 리그]]에서 1무 2패 최하위로 탈락했다. 이후 파체지에프는 불가리아와 [[키프로스]]에서 감독직을 맡았다. == 수상 == === 선수 === ==== 클럽 ==== * [[파르바 리가|불가리아 주 축구 챔피언십 / 공화국 챔피언십 / A 그룹]] 우승 4회: 1935(스포르트 클루브 소피아), 1947, 1948-49, 1950([[PFC 레프스키 소피아]]) * [[불가리아컵|차르컵 / 소비에트 육군컵]] 우승 3회: 1941(OSK AC-23), 1947, 1948-49, 1950(PFC 레프스키 소피아) * A Group 준우승 1회: 1948(PFC 레프스키 소피아) ==== 개인 ==== * [[파르바 리가|불가리아 주 축구 챔피언십]] 득점왕 1회: 1938-39(OSK AC-23) === 감독 === * [[프로타트리마 A 카티고리아스]] 우승 1회: 1965-66([[AC 오모니아]]) * [[불가리아컵|소비에트 육군컵]] 우승 3회: 1956, 1957, 1958-59([[PFC 레프스키 소피아]]) * A 그룹 준우승 3회: 1956, 1958, 1959-60(PFC 레프스키 소피아) * 프로타트리마 A 카티고리아스 준우승 1회: 1968-69(AC 오모니아) * 키프로스컵 준우승 1회: 1968-69(AC 오모니아) [각주] [[분류:1916년 출생]][[분류:2005년 사망]][[분류:1932년 데뷔]][[분류:1953년 은퇴]][[분류:소피아 출신 인물]][[분류:불가리아의 축구선수]][[분류:공격수]][[분류:PFC 레프스키 소피아/은퇴, 이적]][[분류:PFC 슬라비아 소피아/은퇴, 이적]][[분류:불가리아의 축구감독]][[분류:PFC 레프스키 소피아/역대 감독]][[분류:AC 오모니아/역대 감독]][[분류: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1962 FIFA 월드컵 칠레 참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