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 황실)] || [[일본어]] ||[ruby(欠史八代, ruby=けっしはちだい)] || [목차] == 개요 == [[일본서기]]에 기록된 초대 [[진무 덴노]]부터 33대 [[스이코 덴노]]까지 초기 [[천황]] 33명의 기록들 중, 2대부터 9대까지 아무 치적도 기록되지 않은 천황 8명을 통칭하는 용어. 아직도 [[일본]] 고대사를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질리도록 물고 늘어지는 [[떡밥]]이다. 명칭 자체는 '역사에서 빠진 8대'라는 뜻. 欠史八代란 표기를 한국식 한자음으로 읽으면 '흠사팔대'이다. 하지만 현대 일본에서 이지러질 결([[缺]]) 자를 대체하여 신자체로 흠([[欠]]) 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원 글자를 살려 한국에서는 '결사팔대'라고 읽는다. 2차대전 패전 이후 일본이 신자체를 정하기 이전까지는 결사팔대(缺史八代), 또는 궐사팔대(闕史八代)라고 표기하기도 하였다. 한국어로는 독음이 서로 다르지만 일본어로는 모두 똑같다. == 상세 == 결사팔대로 묶이는 천황은 다음과 같다. 2대 [[스이제이 덴노]]ㆍ3대 [[안네이 덴노]]ㆍ4대 [[이토쿠 덴노]]ㆍ5대 [[고쇼 덴노]]ㆍ6대 [[고안 덴노]]ㆍ7대 [[코레이 덴노]]ㆍ8대 [[고겐 덴노]]ㆍ9대 [[카이카 덴노]]. 일본에서도 진무 덴노는 신화 속 인물이라는 설이 주류지만, 결사팔대를 두고는 입장이 엇갈린다. 일본서기의 기술이 사실이라 간주할 경우, 결사팔대 천황들의 재위기간은 각각 다음과 같다. 2대 [[스이제이 덴노|스이제이]](綏靖): 前 581 ‒ 前 549 3대 [[안네이 덴노|안네이]](安寧): 前 549 ‒ 前 511 4대 [[이토쿠 덴노|이토쿠]](懿徳): 前 510 ‒ 前 477 5대 [[고쇼 덴노|고쇼]](孝昭): 前 475 ‒ 前 393 6대 [[고안 덴노|고안]](孝安): 前 392 ‒ 前 291 7대 [[코레이 덴노|코레이]](孝霊): 前 290 ‒ 前 214 8대 [[고겐 덴노|고겐]](孝元): 前 214 ‒ 前 158 9대 [[카이카 덴노|카이카]](開化): 前 158 ‒ 前 98 (前 자는 '기원전'이란 뜻) 이들 중 5대 고쇼 덴노부터 9대 카이카 덴노까지 5명, 그 중에서도 5대 고쇼부터 7대 코레이까지 3명은 재위기간이 '''비정상적'''으로 길다.[* 1대, 10-16대 천황도 마찬가지다.] 가장 짧은 고겐 덴노가 56년을 재위했고, 6대 고안 덴노는 '''재위기간만 100년'''이 넘는다. 이들의 재위시기를 종합하면 2대부터 9대까지 '''483년간 8명''', 특히나 5대부터 7대까지는 '''260년간 단 3명'''만 재위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게다가 이들은 전부 친아들로 계승했다고 기록되었으니 본인이 즉위하기 이전 시절까지 수명에 더해야 한다. 한 나라에 두 [[황제]]는 있을 수 없으므로, 일본서기의 서술이 사실이라면 100년 넘게 통치한 6대 고안 덴노는 수명이 137세, 그 아들 7대 코레이는 128세에 달한다. 의학이 발전하여 평균수명이 껑충 늘어난 현대에조차도 100세를 넘는 장수자들은 드물고, 특히나 110세를 넘는 경우는 더욱 드물다. 그런데 기원전 일본에서, 한 명도 아니고 부자가 둘 다 120세 넘게 장수했다고 하면 믿을 수가 없다. 그뿐 아니라 결사팔대 천황들은 기록상 모두 장수하였다. [[한국사]]의 [[단군신화]]나 [[삼국사기]]를 비롯해 그 외 대다수 [[문명]]에서도 기록이 부실한 역사 초창기 왕들은 수명이 비정상적으로 길게 기록된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만큼 장수를 누릴 정도로 [[하늘]]에게서 정통성을 부여받았다는 [[프로파간다]]의 일종이다. 결사팔대를 처음으로 주장한 츠다 소우키치(津田左右吉)는 무려 태평양 전쟁 때에 천황숭배가 절정에 달했을 때에 천황의 계보를 의심하는 이 이론을 펴서 1942년 유죄 판결을 받았다. 패전 이후 천황숭배에 대한 반작용으로 그의 이론이 주류가 되어서, 한때는 위 8명뿐 아니라 [[오진 덴노]] 이전 천황들이 전부 실존인물이긴 한지 의심하는 설도 있었다. 하지만 이후의 연구를 통해 10대 [[스진 덴노]] 이후의 천황들은 기년조정이나 세부적 비판은 있을지언정 어떤 형태로든 역사 속에 실존한 인물들이었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 == 논쟁 == === 부정론 === 원래 결사팔대 8천황은 [[중국]]의 혁명사상에 따라, 또는 천황 가문의 뿌리가 매우 오래되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탄생되었다는 것이 부정론의 기초가 된다. [[1978년]] [[사이타마현]] [[교다시]] 이나리산 고분(稲荷山古墳)에서 금착명철검(金錯銘鐵劍)[* 금착명철검은 같은 곳에서 출토된 다른 유물들과 함께 1983년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었다. 여기서 금착(金錯)이란 어떤 기물에 홈을 파서 황금으로 글씨나 그림을 그려넣음을 말한다. 그러니까 '금착명철검'이란 명칭은 '금착 기법으로 글(銘)을 새긴 철검'이란 뜻이다.]이 출토되었는데, 여기에 오호히코(意富比垝)로부터 시작되어 7대손 오와케노오미(乎獲居臣)에 이르는 8대의 계보를 새긴 명문이 있었다. 이중 시조 오호히코를 [[코겐 덴노]]의 큰아들로 일본서기에서 오히코노미코토(大彦命), 고사기에서 오히코노미코토(大毘古命)라고 기록한 인물이라고 비정하면서 논란이 생겼다. 일본서기는 오히코노미코토가 [[코겐 덴노|코겐]]의 큰아들이고 부황으로부터 장군으로 임명되었다고 기록하였다.[* 오히코노미코토를 포함하여 황족 네 명이 장군으로 임명되어 네 지역에 파견되었으므로 이들을 통칭하여 사도장군(四道将軍)이라고 한다.] 그런데 금착명철검의 명문에는 오호히코를 두고 코겐 덴노의 큰아들이니 장군이 되었다느니 하는 내용이 전혀 없다. 금착명철검을 제작한 시절에는 그런 천황의 존재가 없었다는 증거다. 또 [[스이제이 덴노]]로부터 [[카이카 덴노]]에 이르기까지 역대 천황들의 치세가 어떠했는지 내용이 전혀 없고 [[대관식]] 정도만 간략하게 기록한 이유는 이들이 역사적으로 실존하지 않은 천황들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긍정론 === 역시 1978년 출토된 금착명철검을 예시로 든다. 오호히코노미코토가 '당연히' 코겐 덴노의 아들이었기 때문에 따로 그런 내용이 새겨지지 않은 것이고 오호히코노미코토의 후세들이 8대에 걸쳐 기록된 만큼, 결사팔대는 실존했다는 증거가 이 금착명철검이라는 것이다. 또 치세의 기록이 완전히 결여된 것은 시진 덴노 이후의 천황들의 기록에서도 사례가 있으므로, 부정설의 증거로 사용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02~09대 천황의 기록이 사라졌다고 보는 설도 있다. 또 시호의 경우에도 2대ㆍ3대ㆍ5대 천황은 분명히 실명을 시호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한다. 일본식 시호 작법이 눈에 뜨이지 않음이 더더욱 그들의 실제성을 증명한다는 것이다. [[분류:천황]][[분류:일본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