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경부동탄터널'''}}}[br]{{{-2 '''京釜東灘터널[br]Gyeongbu Dongtan Tunnel'''}}}}}} || || [[구서IC|{{{#!html부산 방면}}}]][br][[동탄JC]][br]← - km || [[경부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svg|height=23]]{{{#!html
경부선}}}]]'''{{{#fff {{{+1 터널}}}}}}''' || [[양재IC|{{{#!html서울 방면}}}]][br][[기흥동탄IC]][br] -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경부동탄터널,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연장'''}}} || || [[경부고속도로|{{{#fff 경부선}}}]] ||<-2> 1,200m || ||<-3> {{{#fff '''관리기관'''}}} || || [[경부고속도로|{{{#fff 경부선}}}]] ||<-2> [[한국도로공사|[[파일:한국도로공사 CI.svg|width=120]]]] || ||<-3> {{{#fff '''완공'''}}} || || [[경부고속도로|{{{#fff 경부선}}}]] ||<-2> {{{#00f [서울 방향]}}} [[2023년]] [[3월 24일]][br]{{{#00f [부산 방향]}}} [[2024년]] [[3월]]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부고속도로]]에서 [[경기도]] [[화성시]]와 [[용인시]]를 연결하는 편도 5차로(왕복 10차로, 가변차로 포함) 광폭[[터널]]이다. == 역사 == 경부고속도로는 화성시 동탄의 평지를 지상 노반으로 지나가는데, 주위에 [[동탄2신도시]]가 조성되면서 신도시 사이를 경부고속도로가 지나가는 모습이 됐고 같은 신도시 안에서도 서로 오가기 불편했다. 이에 신도시 조성 당시부터 경부고속도로를 지하화해 서로 간 왕래를 원활히 하고 지상부를 활용하려는 계획이 있었고, 동탄2신도시 사업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사비를 대는 조건으로 경부동탄터널이 만들어지게 됐다. 2017년부터 공사를 시작해 2023년 3월 24일 오전 5시부터 서울 방향이 임시 통행을 시작했으며, 부산 방향은 2024년 3월에 개통할 예정이다. == 특징 == [youtube(mE4SWJzG2YA)] [[동탄JC]]부터 [[기흥동탄IC]] 4.7km 구간을 직선화하고 그 중 1,200m가 [[동탄역]] 위에 지하터널로 건설됐으며, 완공 이후에는 공원과 도로가 새롭게 조성된다. 왕복 10차로로 건설된 덕분에 폭이 54m에 달한다. 터널에 화재가 나 연기가 발생했을 경우 유독가스와 연기를 집중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연댐퍼, 제트팬을 설치했고, 방재 1등급 기준의 물 분무 설비는 5m 간격으로 설치했다. 터널 내벽에는 1,350˚C의 고온도 견딜 수 있도록 구조물을 보호하는 내화 보드를 적용했으며, 위에 졸음방지용 조명을 설치했다. 터널 내 제한속도가 110km/h 가 아닌 ''' 80km/h'''다. 아직 공사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임시개통 상태여서 그런 듯하다. == 여담 == * 이 터널이 개통되면서 [[경부고속도로]]의 최북단 터널로 기록됐다. 종전 경부고속도로의 최북단 터널은 [[대전IC]]와 [[비룡JC]] 사이에 있는 대전터널(1999년 [[회덕JC]] ~ [[비룡JC]] 간 6차로 확장 전에는 길치터널)이었으며, 대전IC 이북으로는 터널이 아예 없었다.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에 [[동탄터널(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동탄터널]]이 있다. 해당 문서 참조. [[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터널]][[분류:경부고속도로]][[분류:나무위키 도로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