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width=20]] {{{#842f59 '''경인교육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교육대학)]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고등교육기관)] [include(틀:인천광역시의 대학)] [include(틀:경기도의 대학)] [include(틀:안양시의 대학)] [include(틀:동아시아 교원양성 국제컨소시엄)] }}} || ---- ||<-3> {{{+1 {{{#ffffff '''경인교육대학교'''}}}}}} [br] {{{#f7941d '''京仁敎育大學校'''}}} [br] {{{#f7941d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3>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width=250]] || ||<-2> '''교훈''' ||'''큰 힘, 큰 사랑, 큰 빛''' || ||<|5> '''상징''' || '''동물''' ||단정학 || || '''교목''' ||[[소나무]] || || '''교화''' ||[[개나리]] || || '''교색'''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42f59,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Red Wine)][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737172,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Gray)][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7941d,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Orange Yellow)][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0000,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Black)] || || '''슬로건''' ||'''세상을 움직이는 따뜻한 힘''' || ||<-2> '''국가''' ||[include(틀:국기,국명=대한민국)] || ||<-2> '''분류''' ||[[교육대학]] || ||<-2> '''개교''' ||[[1946년]] [[5월 23일]] 경기도립개성사범학교 || ||<-2> '''총장''' ||제8대 김창원 || ||<|2> '''주소''' || '''인천캠퍼스'''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로(인천)|계산로]] 62[* [[계산동(계양구)|계산동]] 857-87, [[효성동]] 1-89, [[작전동]] 765-78] || || '''경기캠퍼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로 155[* [[석수동]] 6-8, 6-26, 6-27] || ||<|2> '''재학생''' || '''학부생''' ||'''인천''' 1,319명^^(2022년 4월 1일)^^[br]'''경기''' 1,337명^^(2022년 4월 1일)^^ || || '''대학원생''' ||'''석사''' 1,419명^^(2022년 4월 1일)^^[br]'''박사''' 59명^^(2022년 4월 1일)^^|| ||<|2> '''교직원''' || '''교원''' ||200명^^(2022년 4월 1일)^^ || || '''직원''' ||180명^^(2022년 4월 1일)^^ || ||<-2>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A등급'''^^(2021년)^^ || ||<-2> '''링크''' ||[[https://www.ginue.ac.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www.facebook.com/ginue1|[[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inue_edu, 크기=24)] [[https://www.youtube.com/channel/UCr7un9mncJ8HmHyRFQ-1Ff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3> {{{#!wiki style="margin-bottom: -11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9px; margin-top: -5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 너비=100%)]}}} || ||<-3> '''인천캠퍼스''' || ||<-3> {{{#!wiki style="margin-bottom: -11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9px; margin-top: -5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로 155, 너비=100%)]}}} || ||<-3> '''경기캠퍼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qAKfqYajJ0I)] 경인교육대학교(경인교대)는 [[대한민국]]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2개의 [[이원화 캠퍼스]]로 구성된 [[교육대학]]이다.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계양구)|계산동]]에 인천캠퍼스를 두고 있으며,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경기캠퍼스를 두고 있다. == 역사 == 1946년 개성사범학교로 시작하였으나 [[6.25 전쟁]]으로 인해 [[개성시|개성]] 수복이 불가해지자 1952년 국립기관인 인천사범학교가 설립된다. 1962년 인천교육대학이 되었다가 1982년 4년제 승격을 거쳐 1993년 인천교육대학교가 되었다. [[경기도청]]과의 합작으로 2003년 경인교육대학교로 이름을 바꾸고 2005년 [[안양시]]에 경기캠퍼스를 만들어 학교 조직이 확대되었다. 총장실, 대학본부 및 [[부설학교]]인 [[경인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는 인천 쪽에 두고 있다. [[교육대학]] 중 복수캠퍼스 체제를 갖춘 곳은 전국에서 경인교육대학교가 유일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대한민국 교육부, version=453, paragraph=8.1)] === 연혁 === ==== 1940년 ~ 1970년 ==== * 1946.05.23 : 경기도립 개성사범학교 설립인가 * 1946.05.23 : 초대 교장 이헌구 선생(경기도 학무과장 겸무)취임 * 1946.07.01 : 제2대 교장 양만영 선생 취임 * 1946.09.23 : 속성과 제1회 수료식(97명) * 1947.04.16 : 속성과 제2회 수료식(103명) * 1947.07.01 : 강습과 제1회 수료식(103명) * 1947.09.01 : 제3대 교장 박두하 선생 취임 * 1948.06.16 : 본과 제1회 졸업식(92명) * 1948,07.05 : 강습과 제2회 수료식(39명) * 1948.08.01 : 제4대 교장 조낙연 선생 취임 * 1951.09.01 : 부산시 괴정동에서 춘천시범학교와 공동으로 연합 사범학교로 개교 * 1952.03.25 : 제4회 졸업식(총26명) * 1952.06.28 : 국립 인천사범학교로 교명변경 및 위치 변경 인가 * 1953.03.16 : 제1회 졸업식(사범과 72명, 연수과 105명) * 1953.12.25 : 인천시에서 숭의동 203번지에 교지 7,280평 기증받아 6개 교실 준공 * 1954.03.05 : UNKRA 원조 과학기구 인수 * 1954.03.16 : 제2회 졸업식(사범과 118명, 연수과 70명) * 1955.02.17 : 제5대 교장 최봉칙 선생 취임 * 1955.03.16 : 제3회 졸업식(사범과 153명, 연수과 75명) * 1956.03.16 : 제4회 졸업식(사범과 168명, 연수과 152명) * 1956.05.10 : 본관 건축, 기성회 조직 * 1956.10.19 : 문교부지정 연구발표회 및 공개수업 * 1957.03.16 : 제5회 졸업식(사범과 181명, 연수과 197명) * 1957.04.10 : 인천사범학교 부속국민학교 개교 * 1960.01.25 : 부속국민학교 신축건물 준공 * 1960.03.16 : 제6회 졸업식(263명) * 1961.02.23 : 국립학교 설치령 중 개정에 의거 현행 사범학교 제도를 폐지하고, 2년제 교육대학제도 창설 결정 - 병설 중학교 제1학년 모집 중단 * 1961.03.16 : 제9회 졸업식(239명) * 1961.04.20 : 제5대 교장 신인철선생 취임 * 1961.08.29 : 제6대 교장 송재형 선생 취임 * 1962.03.01 : 초대 학장 한상봉 선생 취임 * 1962.03.26 : 인천교육대학 개교식 * 1963.03.01 : 부설 초등교육연수원 개원 * 1963.10.13 : 제2대 학장 림한영 박사 취임 * 1964.09.04 : 대강당 준공 * 1965.06.01 : 제3대 학장 조기환 선생 취임 * 1966.09.01 : 제4대 학장 손영경 선생 취임 * 1968.03.01 : 대학 부설 임시 초등교원 양성소 개설 * 1968.04.15 : 제5대 학장 정해수 선생 취임 * 1968.06.04 : 본 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개설 * 1969.07.01 : 제6대 학장 정해수 선생 연임 * 1969.12.30 : 도서관 신축건물 준공 * 1970.02.10 : 제7회 졸업식(399명) * 1970.09.25 : 전국 대학문화예술제(대통령상 수상) ==== 1971년 ~ 1990년 ==== * 1971.02.10 : 제8회 졸업식(570명) * 1972.02.10 : 제9회 졸업식(569명) * 1972.11.01 : 대학부설 기전문화연구소 개설 * 1973.02.10 : 제10회 졸업식(581명) * 1973.07.03 : 제7대 학장 김판영 선생 취임 * 1973.12.29 : 학생 정원을 900명(30학급)으로 증원 * 1974.01.01 : 대학부설 과학교육연구소 개설 * 1974.02.11 : 제11회 졸업식(585명) * 1974.12.10 : 신관 신축 건물 완공 * 1975.02.20 : 제12회 졸업식(576명) * 1975.04.14 : 학생회관 개관 * 1976.02.10 : 제13회 졸업식(447명) * 1979.02.10 : 제14회 졸업식(284명) * 1979.03.09 : 대학부설 시청각교육센터 설치 * 1980.02.11 : 제17회 졸업식(308명) * 1980.06.02 : 학생정원 1,360명으로 증원 * 1980.08.05 : 제9대 학장 김상준 선생 취임 * 1981.02.17 : 제18회 졸업식(577명) * 1981.02.24 : 제9대 학장 남억우 선생 취임 * 1981.06.20 : 체육관 증축건물 완공 * 1982.02.10 : 제19회 졸업식(590명) * 1982.03.10 : 4년제 대학으로 승격, 초대 학장 남억우 선생 취임 * 1982.03.10 : 교육대학 신입생 760명 입학 * 1983.02.10 : 2년제 교육대학 제20회 졸업식(758명) * 1985.08.02 : 야간·계절학급 신설 * 1986.03.01 : 4년제 2대 학장 남억우 선생 연임 * 1986.03.31 : 대학 상징물 교색(청색), 교목(소나무), 교조(학)제정 * 1986.06.28 : 대학캠퍼스 신축공사 기공식 거행(계산동 캠퍼스) * 1987.02.18 : 1986학년도 학위 수여식(주간 522명, 야간 208명)-(교육학사 730명) * 1988.02.19 : 1987학년도 학위수여식(주간 460명, 야간·계절 328명-교육학사 799명) * 1988.08.31 : 1987학년도 후기 학위 수여식(교육학사 208명) * 1989.02.22 : 1988학년도 학위 수여식(교육학사 546명) * 1989.03.22 : 제3대 학장 이일철 교수 취임 * 1989.09.09 : 1988학년도 후기 학위 수여식(교육학사 115명) * 1990.07.30 : 계산동 캠퍼스로 이전 * 1990.09.27 : 음악관 개관 * 1990.12.05 : 계산동 캠퍼스 인천교육대학 현판식 ==== 1991년 ~ 2010년 ==== * 1991.03.01 : 입학정원 480명으로 변경 인가 * 1992.02.21 : 학생정원 1,760명으로 증원 * 1992.02.25 : 1991학년도 학위 수여식(교육학사 478명) * 1993.03.01 : 인천교육대학교로 교명 변경 * 1993.04.01 : 초대 총장 정동화 박사 취임 * 1994.10.26 : 계양생활관 개관 * 1995.05.31 : 체육관 준공 * 1995.08.16 :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개원 * 1996.03,02 :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개원 * 1996.10.21 : 교육개혁 우수대학교로 선정 * 1997.03.31 : 제2대 총장 최희선 박사 취임 * 1997.04.10 : 과학관 준공 * 1998.10.01 : 교육부 교육개혁 평가 우수대학 선정 * 1998.10.02 : 중앙일보 전국대학평가 전국 1위 선정 * 1999.08.22 : 전자도서관 및 교단선진화실 설치 * 2000.11.15 : 전국교대·교대교육대학원평가 최우수대학 선정 * 2001.03.31 : 제3대 총장 김재복 박사 취임 * 2002.09.28 : 중앙일보 교육대학평가 전국 1위 선정 * 2003.03.01 : 인천교육대학교에서 경인교육대학교로 교명 변경 * 2003.12.23 : 경기캠퍼스 기공식 * 2004.05.18 : 부설 교육대학 원격 교육·연수지원센터 개원 * 2004.09.17 : 수도권 특성화 우수대학 선정 * 2005.03.01 : 경기캠퍼스 개교 * 2005.03.31 : 제4대 총장 허숙 박사 취임 * 2005.06.22 : 대학 특성화 지원사업 선정 * 2005.07.21 : 교육인적자원부 대학 특성화 지원사업 우수대학 선정 * 2006.03.26 : 개교 60주년 * 2006.07.21 : 수도권 대학 특성화 우수대학 지원사업 선정 * 2007.02.08 : 교육인적자원부 교원양성기관 평가 최우수교육대학, 최우수 교육대학원 선정 * 2007.07.23 : 수도권 대학 특성화 우수대학 지원사업 선정 * 2007.10.30 : 교사교육센터 준공 * 2008.05.10 : 5년연속 수도권대학 특성화사업 우수대학 선정 * 2008.08.25 : 국립대학교 교원성과 실적평가 최우수 대학 선정 * 2009.03.31 : 제5대 총장 정동권 박사 취임 * 2009.04.20 :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 지원 대학 선정 * 2009.06.25 : 안양시와 상호협력 협정체결 * 2009.08.21 : 2008학년도 후기 졸업자(18명)/석사(82명) * 2009.09.07 : 성안초등학교간 다문화가정 학생 멘토링 협정체결 * 2009.10.26 : 카비테한글학교간 재외동포 자녀 멘토링 협정체결 * 2009.12.12 : 제1회 휴먼대상 보건복지부장관상 수상(멘토링 우수기관 선정) * 2009.12.12 : 경인교육대학교와 인하대학교간 학술교류 협정체결 * 2010.02.18 : 2009학년도 전기 졸업자(964명)/석사(132명) * 2010.04.30 : 강화교육청간 상호교류협정체결 * 2010.08.25 : 2009학년도 후기 졸업자(22명)/석사(100명) * 2010.09.30 : 글로벌 인재육성을 위한 협정체결 * 2010.10.05 : 경인교육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간 교육 및 연구교류 협정체결 * 2010.11.23 : 제2회 방과후학교 대상 특별상 수상(비영리법인 우수기관 선정) ==== 2011년 ~ 현재 ==== * 2011.02.06 : 저탄소 그린캠퍼스 우수대학 선정 * 2011.02.23 : 2010학년도 전기 졸업자(888명)/석사(237명) * 2011.03.31 : 다문화가족 통역도우미 양성 협정체결 * 2011.04.07 : 경인교육대학교와 경기도가평교육지원청간 수업 컨설팅 교육협력 협정체결 * 2011.08.26 : 2010학년도 후기 졸업자(22명)/석사(77명) * 2011.10.06 : 경인교육대학교와 한양대학교간의 교류협력 협정체결 * 2012.02.15 : 2011학년도 전기 졸업자(806명)/석사(159명)/명예졸업 (22명) * 2012.04.12 :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 지원 대학 선정 * 2012.07.02 : 다문화, 탈북학생 멘토링 거점대학 선정 * 2012.07.04 : 글로벌 교원양성 거점대학(Global Teachers' University) 지원사업 대상 대학 선정 * 2012.08.06 : 경기캠퍼스 재산(부지, 건물) 확보 * 2012.09.28 : 인천 서부 교육국제화 특구(고등교육 분야) 선정 * 2012.11.15 : 교육전문대학원 설치 승인(박사과정) * 2013.02.15 : 2012학년도 전기 졸업자(788명) / 석사 (163명) / 명예졸업 (5명) * 2013.04.17 : 제6대 총장 이재희 박사 취임 * 2013.04.29 : 인천계양경찰서와 상호발전협정체결 * 2013.06.11 : 대학 입학사정관 역량강화 지원사업 선정 * 2013.07.09 : 교육역량강화사업 선정 * 2013.10.21 : 국제학술대회 공동개최 협약체결 * 2014.02.14 : 2013학년도 전기 졸업자(734명)/석사(165명) * 2014.03.10 : 경기도교육청과 계약학과(석사과정) 설치운영 업무 협약 체결 * 2014.05.10 : 경기도교육청과 계약학과(석사과정) 설치운영 업무 협약 체결 * 2014.06.17 : 2014년 고교교육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 2014.08.11 : 2014한국장학재단 지식나눔 우수대학 선정 * 2014.08.20 :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 및 1988서울올림픽대회 기념 국제학술대회 개최 * 2014.08.22 : 2013학년도 후기 졸업자(22명)/석사(160명) * 2014.11.14 : 안양시-안양과천교육지원청과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위한 협정 체결 * 2015.02.13 : 2014학년도 전기 졸업자(673명) / 석사(228명) * 2015.02.27 : 인천시-인천시교육청과 지역교육발전을 위한 협정 체결 * 2015.03.03 : 2015년 글로벌 교원양성거점대학 지원사업 수행(4차년도) * 2015.03.04 : 교육부와 세계교육포럼 성공적 개최를 위한 협정 체결 * 2015.03.24 : 경기캠퍼스 10주년 기념 행사 * 2015.07.22 : 2015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 2015.11.20 : 2015년 국립대학혁신지원사업 선정 * 2016.03.01 : 2016년도 글로벌교원양성거점대학 지원사업 5년 연속 선정 * 2016.03.16 : 인천광역시교육청과의 상호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 2016.03.16 : 안양시 인문도시조성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 2016.03.22 : 교육부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A등급' 선정 * 2016.03.26 : 개교 70주년 * 2016.06.10 : 2016년도 고교교육정상화기여대학 지원사업 3년 연속 선정 * 2016.06.23 : 2016년도 대학도서관 평가 교육부장관상 수상 * 2016.08.04 : 2016년도 국립대학 혁신지원사업 2년 연속 선정 * 2016.09.05 : 2016년도 대학 특성화사업(CK) 신규 선정 * 2017.01.18 : 경인교육대학교 국제교류센터 법무부 장관 표창 수상 * 2017.02.10 : 2016학년도 전기 졸업자(633명)/석사(385명) * 2017.04.17 : 제7대 총장 고대혁 박사 취임 * 2017.05.02 : 2017년도 국립대학 혁신지원사업 3년 연속 선정 * 2017.06.09 : 글로벌교원양성거점대학(GTU) 지원사업 6년 연속 선정 * 2017.06.14 : 한국다문화교육연구원 ‘제10주년 세계인의 날’ 대통령 표창 * 2017.06.30 : 2017년 전국대학도서관 평가 우수기관 표창 * 2017.08.28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등재후보지 선정 * 2017.08.31 : 2016년도 후기 졸업생(11명)/박사(4명), 석사(186명) * 2018.05.14 : 교원양성대학 소프트웨어 교육강화지원사업(SWEET) 선정 * 2018.05.17 :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5년 연속 선정 * 2018.05.24 : 글로벌 교원양성 거점대학(GTU) 지원사업 7년 연속 선정 * 2018.08.06 : 2017년 국립대학 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결과 최고등급 (우수) * 2018.08.06 : 2018년 국립대학 육성사업 사업계획 평가 최고등급 (A) * 2018.12,29 : 교육부 4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A등급' 선정 * 2019.03.01 : 국립대학육성사업 2년 연속 선정 * 2019.03.01 : 대학혁신지원사업 선정 * 2019.04.12 : 글로벌 교원양성 거점대학(GTU) 지원사업 8년 연속 선정 * 2019.04.30 : 교원양성대학 소프트웨어 교육강화지원사업(SWEET) 2년 연속 선정 * 2019.05.07 :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8년 연속 선정 * 2019.10.31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등재지 선정 * 2019.10.31 :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기전문화연구’ 등재후보지 선정 * 2019.12.31 : 2019년도 대학연구활동실태조사 교원 1인당 논문게재실적 전국 1위 * 2020.03.01 : 글로벌 교원양성 거점대학(GTU) 지원사업 9년 연속 선정 * 2020.03.01 : 대학 혁신지원사업 2년 연속 선정 * 2020.03.01 : 국립대학 육성사업 3년 연속 선정 * 2020.03.01 : 교원양성대학 시민교육 역량강화사업 2년 연속 선정 * 2020.05.26 : 중앙일보 <대한민국 창조경영 2020> 혁신브랜드 부문 수상 * 2020.05.29 :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9년 연속 선정 * 2020.06.19 : 교원양성대학 소프트웨어 교육강화지원사업(SWEET) 3년 연속 선정 * 2020.07.16 : 교육부 교육기부 진로체험 인증기관 2회 연속 선정 * 2020.10.27 : 2020년 전국 공공기관 기록관리 평가 최우수 기관 선정 * 2021.01.26 : 공간혁신사업 선정 * 2021.02.25 : 중앙일보 <대한민국 창조경영 2021> 혁신브랜드 부문 2년 연속 수상 * 2021.03.01 : 글로벌 교원양성 거점대학(GTU) 지원사업 10년 연속 선정 * 2021.03.01 : 교원양성대학 시민교육 역량강화사업 3년 연속 선정 * 2021.03.01 : 대학 혁신지원사업 3년 연속 선정 * 2021.03.01 : 국립대학 육성사업 4년 연속 선정 * 2021.05.01 : 교원양성대학 미래교육센터설치사업 선정 * 2021.05.10 :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10년 연속 선정 * 2021.05.10 : 제8대 총장 김창원 박사 취임 * 2021.07.01 :「세계시민교육 아카데미」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ESD) 공식 프로젝트 인증 * 2021.10.06 : 인천캠퍼스 평생교육원 준공 * 2021.11.15 :「기전문화연구」,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승격 * 2022.02.17 : '2021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최우수(A등급) 대학 선정 * 2022.02.17 : 교육전문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일반대학의 온라인 학위과정 승인 * 2022.03.01 : 글로벌 교원양성 거점대학(GTU) 지원사업 11년 연속 선정 * 2022.03.01 : 교원양성대학 시민교육 역량강화사업 4년 연속 선정 * 2022.03.01 : 국립대학육성사업 5년 연속 선정 * 2022.03.01 : 대학혁신지원사업 2주기 선정 * 2022.03.17 : 중앙일보 <대한민국 창조경영 2022> 혁신브랜드 부문 3년 연속 수상 * 2022.06.10 :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11년 연속 선정 * 2022.09.15 : 에듀테크 R&D 운영센터 구축 및 지원 사업 선정 == 상징 == [[파일:경인교대 심볼마크.png]] 심볼마크는 경인교육대학교의 이미지 형성계획(University Identity Program)의 기본요소로 학교 이미지를 대내외에 표출하는 모든 시각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이 되는 대표적 상징물이다. '''“글로벌한 초등교육의 중심에 우뚝 선 경인교육대학교”'''를 기본 컨셉으로 개발된 UI는 경기도와 인천을 포괄함으로써 대한민국 초등교원 양성의 중심에 우뚝 선 경인교대의 위치를 단순한 대학 건물의 이미지가 아닌 안정적인 라인을 이용하여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우측의 태양 또한 새롭게 떠오르는 경인교육대학교의 이미지와 교원들의 꿈을 나타내었다. == 헌장 == == 교통 및 접근성 == === 인천캠퍼스 === ||<-6>
'''[[수도권 전철|{{{#000000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경우''' || ||<-6> '''[[경인교대입구역|{{{#000000 경인교대입구역}}}]]''' || ||<-2> [[계양역|{{{#!html
계양 방면}}}]][[박촌역|박촌]], [[계산역|계산]] ||<-2> [[수도권 전철 1호선|{{{#!html
인천 1호선
(I115)
}}}]] ||<-2> [[송도달빛축제공원역|{{{#!html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작전역|작전]], [[부평구청역|부평구청]], [[인천시청역|인천시청]] || 캠퍼스 동측 300m에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경인교대입구역]] 바로 있어 접근성이 상당히 우수하다. 4번출구로 나가 [[계산로(인천)|계산로]]를 따라 5분 정도 걸으면 서쪽으로 걸으면 정문에 닿는다. 역에서 학교까지 걸어가기 귀찮을 땐 5번 출구로 나가 경인교대역입구 정류장에서 [[인천 버스 인천e음71|인천e음71번]]을 타거나, 교대입구에서 인천e음71번, [[인천 버스 584|584]], [[인천 버스 584-1|584-1번]]으로 환승해 한두정거장만 이동한 후 경인교대.부평향교 정류장에서 하차하는 방법도 있다. 어차피 환승할인 덕분에 버스를 한번 더 탄다 해도 웬만하면 추가요금이 붙지 않고 공짜로 탈 수 있기 때문. === 경기캠퍼스 === ||<-6>
'''[[수도권 전철|{{{#000000 광역철도}}}]]를 이용하는 경우''' || ||<-6> '''[[관악역|{{{#000000 관악{{{-5 (안양예술공원)}}}역}}}]]''' || ||<-2> [[광운대역|{{{#!html
광운대 방면}}}]][[서울역|서울]], [[구로역|구로]][* [[경인선]] 계통([[온수역]], [[부평역]])에서 오는 경우 구로역에서 [[경부선]]으로 환승하여 관악역으로 오면 된다.], [[가산디지털단지역|가산디지털단지]], [[석수역|석수]] ||<-2> [[수도권 전철 1호선|{{{#!html
1호선
(P146)
}}}]] ||<-2> [[서동탄역|{{{#!html서동탄}}}]][[신창역|{{{#!html·신창}}}]]{{{#!html 방면}}}[br][[안양역|안양]], [[금정역|금정]], [[수원역|수원]] || 인천캠퍼스 코 앞에 도시철도역이 있는 것과 달리 경기캠퍼스는 철도를 이용한 접근성이 상당히 뒤처진다. 그나마 가장 가까운 정류장이라면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관악역]]인데, 관약역에서 2km 떨어져있어, 2번 출구로 나가서 한마음선원.관악역 이안아파트 방면 관악역 정류장에서 [[안양 버스 6-2|6-2번]], [[안양 버스 20|20번]] 버스로 환승해 경인교육대후문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안양 버스 6-2|6-2번]] 버스는 경인교육대 종점에서 하차는 이점이 있긴 하나, 경인교육대후문, 안양해솔학교 정류장을 찍어 다시 남쪽으로 내려가 삼막IC에서 좌회전해서 돌아가는 약간의 굴곡 코스를 가지고 있어 경인교육대후문 정류장에서 하차하는 것이 낫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 이곳 경기캠퍼스는 고지대에 위치해 관악역에서 출발하면 거의 업힐 코스인 오르막이여서 힘들지만, 삼막지하차도에서 우회전부터는 내리막이여서 체력적 부담은 운에 달려있다. [[서울특별시]]에서 접근할 경우 [[서울 경전철 신림선|신림선]]의 [[서울대벤처타운역]]에서 [[서울 버스 152|152번]], [[서울 버스 6515|6515번]] 버스로 갈아타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대신 관악역에 비해 버스 이용시간이 10분정도 더 소요되는 것은 감안해야한다. == 학부 == 원래 인천캠퍼스와 경기캠퍼스는 모집도 따로 했고 동아리도 달라서 서로 만날 일이 없었으나, 학령인구 감소로 정원이 줄어들자 이를 통합하여 2011학년도 신입생 모집 이후부터는 1-2학년은 인천캠퍼스에서, 3-4학년은 경기캠퍼스에서 수업받고 있다. 교대 특성상 모두 [[초등교육과]]이고, 후술할 편제는 세부전공이라고 보면 편하다. *윤리교육과 *국어교육과 *사회과교육과 *수학교육과 *과학교육과 *체육교육과 *음악교육과 *미술교육과 *생활과학교육과 *컴퓨터교육과 *교육학과 *특수(통합)교육학과 *유아교육과 *영어교육과 == 대학원 == === 석사 === *교육행정·교육사회 *교육방법 *특수교육 *학교상담 *유아교육 *윤리·인성교육 *국어교육 *사회과교육 *수학교육 *과학교육 *체육교육 *음악교육 *미술교육 *생활과학교육 *컴퓨터교육 *영어교육 *한국어교육 *수학영재교육 *과학영재교육 *다문화교육 *박물관 및 미술관교육 *융합교육 *정치·시민교육 *진로교육상담 *유아교육기관경영 *인공지능융합교육 *AI교육 *디지털미디어교육 *에듀테크협동교육 *독서·토론·논술교육 *글로벌교사교육 === 박사 === *교육행정·교육사회 *교육방법 *국어교육 *사회과교육 *수학교육 *과학교육 *음악교육 *미술교육 *영어교육 *체육교육 *컴퓨터교육 *윤리·인성교육 *학교상담·특수교육 == 출신 인물 == * [[김민아]] * [[김선신]] * [[김창수(1943)]] * [[달지]] == 국립대학 통폐합 떡밥 == *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와 가까워서 2011년 통폐합 떡밥이 돌았으나, 국립대학법인 문제 등 여러가지 요소로 인해 무산되었다.[* 경인교대가 서울대 사범대와의 통합안과 국립한경대·한국재활복지대·한국철도대와의 통합안을 검토하고 있음이 알려지며 불거졌다. 경인교대는 서울대와의 통합 논의를 검토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대학 경쟁력의 제고와 대학 발전을 목적으로 이번 논의를 진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http://www.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39|사범대-경인교대 통합 논란]]] * [[한경대학교]]와의 통폐합 떡밥도 2006년,[* 경기도가 한경대(안성) 경인교대(인천) 재활복지대(평택) 등 3개 국립대학을 하나로 통합시켜 명불허전의 종합 국립대학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이를 위해 [[김문수]] 지사는 1일 한경대와 경인교대 총장과 만찬회동을 갖고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져 지지부진한 종합 국립대학 추진이 탄력을 받게될 전망이다.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95514|3개국립대 통합 재점화]]] 2011년[* 서울대 법인화가 확정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법인체제의 서울대와 통합하려면 경인교대도 법인화해야 하는데다, 통합하더라도 득보다 실이 많을 것이라는 경인교대 내부 여론이 형성됐기 때문이다. 경인교대는 대신 지난 6월 말 한경대 측이 제시한 경인교대-한경대 통합안을 검토하면서 한경대 쪽에 무게를 두기 시작했다. [[http://www.unn.co.kr/Quick/QuickIndex.asp?n4_Page=60&idx=92865&searchStr=%%&rfv=3|경인교대-한경대 통합 장밋빛?]]], 2013년[* 이재희 경인교대 총장후보자도 본지와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초등교사 양성 대학으로서 다른 교육 기능을 접목시키는 체제개편을 통해 지역거점국립대로 확대발전하는 것이 최대 과제”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지금까지 전국 교대 가운데 경인교대가 갖는 의미나 위치를 고려할 때 제주대가 제주교대를 흡수한 것과 같은 형태의 통합은 안 된다는 것이 이재희 총장 후보자의 입장이다.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19902|경인교대-한경대 통합설 다시 '모락모락']]] 등 꾸준히 나오고 있다. 현재 교육부가 국립대들의 [[대학 통폐합]]을 유도하고 있고, 2021년 경상대와 경남과기대의 통폐합, 2023년 한경대와 한국복지대의 통폐합 등 이루어 지는 것을 보아 또 다시 떡밥이 나올 수도 있다. == 관련 문서 == * [[경인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분류:경인교육대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