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soundist.co.kr/%EA%B3%84%EC%9D%B8%EC%84%A0_1.png]] [목차] == 개요 == [[애니메이션]] [[더빙]] 연출 PD, [[투니버스]] 출신으로 현재는 [[CIC 미디어]] 소속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으며 투니버스 4기 성우들이 전속인 00년대 시절부터 연출을 한 경력 20년 이상의 피디이기도 하다. 적어도 평타 이상은 칠만큼 매우 안정적인 결과물을 보여주는게 특징으로, 이유는 바로 '''꼼꼼하고 디테일있는 연출.'''[* 이는 게스트 성우에서 나타나는데 포켓몬 XY에선 벨몽드 교수라는 단역을 [[손원일(성우)|손원일]]로 캐스팅한데다 괴도 조커에선 제이슨이라는 단역 캐릭터를 악역 전문인 '''[[강구한]]'''으로 캐스팅 하였다.] 실제로 [[신길주]] PD의 발연출로 한동안 6기들이 전속 시절때 까일 당시에 방영한 [[무인행성 서바이브]]는 거의 유일하게 연기력 논란에 대한 의견들이 하나도 없었을 정도. 다만 [[침략! 오징어 소녀]]에서는 원판이 심야애니인 걸 굳이 연령대를 너무 낮춰서 왜색이나 수위 문제로 잦은 가위질을 하게 만든 점이나 캐릭터 이름을 너무 직역한다는 게 단점으로 꼽힌다. 또한 [[신동식]], [[신길주]] PD와 함께 은근히 [[이용신]]을 밀어준 경향이 있었으나 다행히도 딱히 비판받은 배역은 없었던 편. 투니버스 시절 [[포켓몬스터 AG]]의 담당 PD를 잠깐 맡았을 때 포켓몬 시리즈 중 가장 중복이 적었던 작품라는 기록을 세웠는데, 이후 [[최옥주]] PD가 XY 1기까지 맡았던 포켓몬 담당 PD 자리를 이어받게 되었다. == 저주받은 [[PD(방송)|PD]] == 한편으로는 '''저주받은 PD'''이기도 한데, 연출 실력 문제는 절대 아니고 맡은 작품들마다 하나같이 [[투니버스]]의 고질적 문제인 극악 편성으로 인해 피해를 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작품들은 대부분 '''[[퀴니]]''' 작품들(★). * [[건방진 천사]] (★) - 2006년 퀴니에서 방영해 그럭저럭 인기를 끌었으나 폐국 이후 얼마 안 가 시간대가 바뀌고 편성도 줄어버렸다. * [[꿈의 크레용 왕국]] 2기 - 1기는 [[석종서]] PD 덕에 선광고나 엔딩 크레딧까지 여러모로 연출 [[버프]]를 받았으나, 2기를 맡게 되자 막판엔 본방이 [[암흑 시간대|금요일 아침]]으로 옮겨졌다. 게다가 1기 때처럼 재방도 없었던지라. * [[포켓몬스터 AG]] 3기[* 4기([[배틀프런티어]] 편)는 [[대원방송]] 방영. 참고로 이쪽은 포켓몬스터 시리즈 전임 PD였던 [[최옥주]]와 [[심상보]]가 연출을 맡았다.] - [[포켓몬스터 XY(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XY]] 이전 시리즈 중에서는 그나마 [[중복 캐스팅]]이 적었고 성우진도 나름 화려했으나, 본 방송 한 번이 전부였다.[* 이후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포켓몬스터 시리즈]]의 방영권은 [[포켓몬코리아]]가 설립되어 DP 2기부터 그쪽으로 넘어가게 된다.] * [[7인의 나나]] (★) - 퀴니 시절에는 종종 재방송 편성도 했으나, 투니버스로 넘어오면서 '''본방 한 번''' 때리고 그걸로 끝. *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 - 퀴니 폐국 직전에 수입해 방송한, 퀴니의 마지막 자체 더빙 애니. 첫방 전에는 변신씬을 대놓고 광고로 내보낼 정도로 푸시를 해줘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았으나, 채널이 폐지되자마자 방영권이 만료되어 '''아예 투니버스에 들어오지 못했다.''' * [[엘르멘탈 제라드]] (★) - 위 나노하와 비슷한 케이스로, 퀴니 폐국 이후 방영권이 만료되었다. * [[슈퍼갤즈]] (★) - 퀴니 시절에 자주 편성되었지만 투니버스로 넘어온 이후 2007년 3월에 Part 1(1~26화)을 재방 없이 본방만 방영. Part 2(27~52화)는 1년이 지난 2008년 7월에 방영되었는데 분명 첫 방영인데도 불구하고 얼마 안 가 금방 잘린 후 그대로 끝났다. 오히려 2011년 7월부터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에서 방영되었을 땐 퀴니만큼 꽤 밀어주었다. * [[피치걸]] - 성우진은 꽤나 호화였지만 심야 시간대였고, 같은 시기 방영한 [[오란고교 사교클럽]]이 워낙 화제여서 묻혀버렸다. * [[꼬마마법사 레미 시리즈|꼬마마법사 레미]] [[꼬마마법사 레미 비밀편|비밀편]] - 무려 엔딩까지 그대로 번안하여 방영했으나, 하필이면 방영 시간대가 좋지 않았다. 이는 재방송 때도 마찬가지. 또한 맡은 작품들마다 후속작이 동결되는 경우도 많은데, 그나마 [[메탈 베이블레이드]]와 [[침략! 오징어 소녀]]처럼 끝까지 방영된 사례도 있긴 하지만 둘 다 국내 더빙팬들에게도 현지화 부분은 까이고 있다. 특히 오징어소녀는 아무리 저연령층을 대상으로 한데다가 친근감을 위해서라지만 '''두날개''', '두루미', '한잠수', ' '''수나미' ''' 같은 이름은 심히 괴랄한 작명 센스라는 평에다 다른 편성작 대비 과한 가위질도 있었고, 2기의 최종화 에피소드가 심한 [[왜색]]으로 인해 '''통편집'''되는 바람에 미묘하다. * [[못말리는 타잔]] - 애니메이션의 선정성 때문인지 30화까지만 방영한데다 새벽 편성만 담당하다 조용히 사라졌다. * [[무인행성 서바이브]] - 2004년 10월에 계약해놓고 3년 동안 소식조차 없다가 2007년 여름 판권만료 직전에 방영된 것도 모자라 전체 52화 중에 26화까지만, 그것도 재방없이 일요일 밤 자정에 편성되었다. 참고로 당시 투니버스에서는 '곧 2기(27~52화)가 방영될 예정이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라는 자막을 내보냈으나 그 결과는 [[함흥차사]]. * [[란마 1/2]] 2기 - 비디오판의 일부 에피소드+후속 에피소드로 구성했으나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김환진]], [[성선녀]]를 제외하고 캐스팅이 대부분 바뀌었다. 안 그래도 비디오판이 초호화 성우진으로 유명한 작품인데다, [[서혜정]], [[정미숙]], [[강구한]]처럼 현재에도 활동 중인 성우들도 교체해서 란마팬과 성우팬들에게 호응도 별로 안 좋았고 시청률도 안 좋아서 결국 [[함흥차사]](2). * [[츠바사 크로니클]] - 1기 방영 당시 화려한 게스트와 성우들의 열연으로 좋은 반응을 얻었으나 2010년 8월 방영한 극장판은 자막 방영. TV판 2기도 [[함흥차사]](3). 이로 인해 [[투니버스]] PD들 중 가장 취급이 안좋다. 본인 역량에서 나온 무리수도 있지만 특히 편성부 및 판권 담당자 버프를 '''안 좋은 쪽으로''' 심하게 받은 PD. 그나마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여러 방송사에서 재방을 많이 하므로 또 PD를 바꾸지 않는다면 취급이 좋을 것 같다. 다만, [[CJ E&M 성우극회]]와 [[대원방송 성우극회]] 출신과 인기 성우에 과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캐스팅 폭이 좁다는 비판이 있긴 하지만[* 이런 경우는 특히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500화 이상의 초장편 애니]]에서 한계가 드러나기 십상이다.], 그 지상파였던 SBS도 게스트 성우에 인색했고 프로웍스, 영상 네트워크가 외주를 맡던 시절엔 그야말로 성우진도 연출도 엄청난 비판이 있었단걸 생각하면 최소한의 성의는 있는 편이다. 최근에는 EBS 성우인 [[김수영(성우)|김수영]], [[천지선]]과 [[대교방송 성우극회|대교]] 출신인 [[가빈]] 등 캐스팅 폭이 조금 넓어진 모습을 보이긴 했다. == 연출작 == === [[CJ E&M]](구 [[온미디어]]) === ==== [[투니버스]] ==== * [[꼬마마법사 레미 시리즈|꼬마마법사 레미]] 비밀편[* 투니버스에서 자체 더빙하기 시작한 4기와 3기 극장판은 [[신길주]] PD 연출, 2기 극장판은 [[석종서]] PD 연출.] * [[꿈의 크레용 왕국]] (2기)[* 1기는 [[석종서|돌PD]] 연출작.] * 단순명랑 아메바 스퀴시 [* 탐험 드리랜드 이후 오랜만에 투니버스 자체 더빙작.] * [[떴다! 방울이]] * [[란마 1/2]] (2기) * [[serial experiments lain|레인]] * [[마법천사 루비]] OVA * 말짱 꽝돌이 * [[메탈 베이블레이드]] (1기)[* 2기는 [[심정희]] PD, 3기인 4D는 [[유선주]] PD가 담당.] * 멜티렌서 * [[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한장치의 마천루|1]]~[[눈동자 속의 암살자|4]]기) * [[못말리는 타잔]] * [[무인행성 서바이브]] * [[무적 철가방]] * [[슈가슈가룬]] * [[스낵 월드]] * [[여신님! 작다는 건 편리해]] * 원더베빌 * [[원피스(만화)|원피스]] 극장판 7[* 나몰라 패밀리가 출연했던 극장 개봉판과는 달리 [[투니버스]]에서 자체 더빙한 방영판.], 8~9기 * [[위스컬 삐요]] * [[조이드]] * 쥬베이짱 시베리아 야규의 역습 * 출동! 메가트레인 * [[츠바사 크로니클]] * [[침략! 오징어 소녀]] (1~2기) * [[쾌걸 근육맨 2세]] * [[탐험 드리랜드]] * [[포켓몬스터 AG]] (3기) * [[피치걸]] ==== [[퀴니]] ==== * [[7인의 나나]] * [[건방진 천사]] *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퀴니]]에서 방영했던 작품들 중 유일하게 [[투니버스]]에서 미방영된 작품이다. 게다가 1쿨 분량인 1기만 방영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시리즈#s-3.1|항목]] 참조.] * [[슈퍼갤즈]] * [[엘르멘탈 제라드/애니메이션|엘르멘탈 제라드]] * [[울트라 매니악]] === 극장판 === * [[메탈 베이블레이드]] 극장판 작열의 침략자 솔블레이즈 * [[포켓몬스터 DP]] 극장판 [[아르세우스 초극의 시공으로]] * [[포켓몬스터(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극장판 [[물의 도시의 수호신 라티아스와 라티오스]](재더빙판)[* VOD 서비스로 실시했다.] * [[포켓몬스터 AG]] 극장판 [[포켓몬 레인저와 바다의 왕자 마나피]](재더빙판) * [[포켓몬스터(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극장판 [[세레비, 시간을 초월한 만남]](재더빙판) * [[뮤츠의 역습 EVOLUTION]] * [[정글의 아이, 코코]] === [[니켈로디언 코리아]] === * [[마다가스카의 펭귄]] * 로봇과 몬스터 * [[코라의 전설]] * [[쿵푸팬더]] 전설의 마스터 === [[디즈니채널]] 코리아 === * [[꾸러기 닌자 토리]] 뉴 에피소드[* [[심정희]] PD와 공동 연출.] * [[오싹 비명 캠프]] === [[카툰네트워크]] === * [[괴도 조커]] * [[닥터 슬럼프]] 극장판 * 펭귄 마을은 언제나 맑음 * 응짜! 사랑을 담아 펭귄마을 올림 * [[듀얼 레전드]] * 마다가스카 리틀 와일드 * 머시머시와 숲 속 친구들 * [[토리코(TVA)|토리코]] 1기(1화~48화)[* [[심정희]] PD와 공동 연출. 이후 2기(49화~120화)는 [[유선주]] PD, 3기(121화~)는 [[최방옥]] PD가 각각 맡았다.] === [[KBS]] === * [[반짝반짝 달님이]] 1기[* 2기는 [[이원희(PD)|이원희 PD]].] * [[쥬로링 동물탐정]] * [[터닝메카드 W]] === [[포켓몬코리아]] === * [[포켓몬스터 XY(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XY]] (25화~)[* 이전에는 [[최옥주]] PD가 맡았다.] * [[포켓몬스터 XY&Z]] * [[포켓몬스터 XY -최강 메가진화-]] * [[포켓몬스터 썬&문(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썬&문]] * [[포켓몬스터W]] * [[포켓몬스터(2023년 애니메이션)]] [[분류:대한민국의 프로듀서]][[분류:희귀성씨인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