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네팔의 용병, rd1=구르카)] [[파일:external/h10.abload.de/15ooo.jpg|width=600]] [* 고르카 3를 입은 특수부대원의 모습. 위 사진의 헬멧은 Psh-77 헬멧으로, 1970년대에 사용되었던 Altyn 헬멧의 원형이다. 두 헬멧은 바이저의 형태에 차이가 있다. 착용한 군장은 파르티잔 하네스.]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opyXV5xJIU)]}}} || || 고르카 위장 효과 테스트 영상.[* 형상으로 봐서 BARS사의 Gorka-3으로 추정됨.] || 색깔과 재질이 다른 2가지 원단을 섞어서 만든 구소련/러시아제 산악 [[전투복]]. 방수, 방풍성능이 좋고 곳곳에 맞춤 고무밴드가 있어서 활동성이 좋고 튼튼하다. 여러 러시아의 민간 군장 메이커에서 이 계통의 전투복을 발매하였으며, 소련-아프간 전쟁 부터 지금까지 공수군, 스페츠나츠, 산악부대원등 특수부대가 사용한다. 러시아군 외에도 동구권의 사냥꾼과 낚시꾼도 일부 애용한다. 또한 구소련권 이슬람계 반군들도 은근 많이 입는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1737038|#]] == 기원 == 소련-아프간 전쟁 당시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 1970년대 초반 소련 특수부대의 요청에 의해 만들어졌다. [[알파 그룹]] 창설 이후 소련 군부는 특수부대 요원들의 훈련과 신형 무기, 장비를 원하고 있었는데, 피복의 경우 모든 지형에서 완만하게 특화된 전투복을 원했다. 그 결과 1975년부터 [[GRU]], 알파 그룹, 그리고 일부 KGB 산하 국경수비대 인원에게 마부타 (Мабута) 전투복을 지급했다. 마부타 지급 이후 산악지형에 더 알맞은 전투복이 필요했고 그 결과 고르카의 원형이라고 볼 수 있는 Kondor 제 Gorka-1이 1981년부터 사용되었다. 일부 웹사이트에서는 2차대전 당시 독일군 산악부대가 입었던 M40, M42 스목을 참고해서 고르카를 제작했다고 한다.[* 특히 M42 스목 어깨부분에 나뭇가지나 수풀을 꽃을수 있는 밴드가 있는데 이러한 특징은 현재까지 러시아산 전투복에 부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SSO Partizan과 6Sh122).] 그 외에도 시베리아 소수민족이 입는 겉옷 말리차 (Малица)도 고르카 디자인에 영향을 줬다고 한다.[* 다만 아노락 형태인 말리차랑 달리, 고르카는 기존 전투복처럼 단추를 사용했다. 이유는 부상당했을때 아노락같은 상의를 벗기거나 자르는 대신 단추로 옷을 푸는게 더 효과적이기 때문.] 섬유기술이 많이 발달한 현재 성능은 유지하면서 통풍성은 높이고 무게가 줄어든 고르카가 나와있다. 경제난과 방산비리로 러시아군은 [[라트니크]] 개발 이후에도 전면 대체에 실패, [[우크라이나 전쟁]] 일선에서 자주 목격되고 있다. == 종류 == 종류로는 단추형/아노락 형상, 포켓의 수와 위치가 다른 Gorka-1,2,3,4, 그리고 위장무늬가 들어간 Gorka-E가 있다.' * 하계용: 가장 흔한 고르카. 기본적인 방수, 방풍성능이 있다. * 춘추용: 보온성능을 추가한 형태. 주로 봄과 가을에 입는다. * 동계용: 혹한기에 활동하기 위해 보온성능이 추가된 형태.[* 다만 성능이 더 좋은 동계피복이 많아서 실제로 입는 사람은 드물다.] == 메이커 == * [[https://bars-voenmag.ru/|BARS]] * [[https://sso-mil.ru/|SSO/SPOSN]] * [[https://anatactical.ru/|ANA]] * [[https://www.splav.ru/|SPLAV]] * [[https://grey-shop.ru/Suit-Gorka?search=Gorka|HUNTSMAN]]에서도 고르카를 제조하며, GREY SHOP에서 판매한다. == 매체에서의 등장 == 어느 게임이든 [[러시아군]]이 등장하면 단골로 등장하는 전투복으로 심하게는 제식 전투복 수준으로 고르카만 입고 나오는 경우도 있다. 보통 [[스메르시]] 군장과 [[https://grey-shop.ru/armor/Bodyarmor/Defender-2-replica|Defender-2 방탄복]]과 같이 입고 나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모던 워페어 2부터 러시아군의 기본 복장으로 등장하며, 리부트 이후에도 러시아군의 기본 복장으로 등장한다. 모던 워페어 이외의 작품으로는 어드밴스트 워페어에서 등장하는데 무려 [[북한군]]의 기본 전투복으로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 [[GTA V]]: [[심판의 날 습격]] 추가 업데이트로 Gorka-4 의상이 추가되었다. * [[배틀필드 시리즈]]: 현대전을 배경으로한 3부터 일부 병과가 고르카를 착용하고 4부터는 모든 병과가 고르카를 착용한다. * [[배틀필드 3]] * [[배틀필드 4]] * [[Escape from Tarkov]] : SSO사 Gorka 제품이 등장하며 BARS사의 고르카-4도 [[리저브(타르코프)|리저브]] 지역에서 등장하는 보스인 글루하의 부하 스캐브가 입고 다닌다. * [[레인보우 식스 시즈]]: [[레인보우 식스 시즈/오퍼레이터/Spetsnaz|스페츠나츠]] 소속 오퍼레이터들이 입고 나온다. * [[바이오하자드 RE:3]] : [[U.B.C.S.]] 소속 인물 [[미하일 빅토르]]가 카키색 고르카 바지를 입는다. * [[DayZ]] : 순찰복이란 이름으로 등장한다. * [[명일방주]] : [[우르수스]] 제국군, 특히 패트리어트의 유격대 유닛들의 복장이 고르카+스메르시와 닮았다. 러시아를 모티브로 한 국가라서 그렇다. == 여담 == 물이 정말 잘 빠진다. 따뜻한 물에 조금 담가뒀다 빼는 것만으로 색이 바로바로 변할 정도다. 제조사가 권장하는 세탁 방식은 비누도 세제도 필요없이 찬 물에 헹구는 것으로, 락스는 당연하고 비누와 세제 사용도 추천하지 않는다고 한다. 제조사 권장 세탁방식에 따라 찬 물에 헹구는 것만으로도 색이 빠진다. 전반적으로 모든 제품에서 세탁할 때마다 물이 빠져 점점 더 옅은 녹색-회색으로 변하는데 원래의 목적과는 다르게 시가지, 암석 지대, 설원에서 사용하는 데에 조금 더 적합하게 변한다. 사제 고르카는 물빠짐이 덜하다는 듯. [[분류:러시아군/장비]][[분류:군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