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같은 함급명의 항공순양함, rd1=고틀란드급 항공순양함)] [include(틀:현대전/스웨덴 함선)] [[파일:saab-gotland-class-submarine.jpg]] [[파일:Gotland.png]] [목차] == 개요 == [youtube(2AekfOHyXFI)] [[스웨덴]]의 코쿰스사가 만든 세계 최초로 '''실용화된'''[* 이게 성공하기 전까지 많은 나라들이 여러 시행착오를 겪었고, 특히 소련의 AIP는 실용화 직전까지 갔으나 수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입힌채 실패하고 말았다. "한국형 잠수함 KSX" (정의승 저) 참고.] [[AIP|공기불요추진장치(AIP)]]인 [[스털링 기관]]을 장착한 재래식 [[잠수함]]이다. 이 스털링 AIP는 일본의 [[소류급]]에 채택되기도 했으며,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라이센스 생산되었다. == 제원 == ||<-5><:> '''{{{+1 {{{#fecc00 고틀란트급 잠수함}}} }}} [br] {{{#fecc00 Gotland-klass u-båt}}}''' || ||<|2> '''배수량'''[* 일반 함선의 만재배수량에 해당하는 것은 수상 배수량이다. 수중 배수량은 밸러스트 탱크를 채워 잠수했을 때 이야기인데, 어차피 그 무게는 사람이나 화물이나 장비를 싣는(=적재하는) 데 쓸 수 없기 때문. 만약 그 무게를 뭘 싣는 데 써버리면 잠수함은 누가 꺼내주지 않으면 물 위로 고개를 못 내민다. ] || '''수상''' ||1,494톤 || || '''수중''' ||1,599톤 || |||| '''길이''' ||60.4m || |||| '''직경''' ||6.2m || |||| '''홀수''' ||5.6m || ||<|3> '''최고속도''' || '''수상''' ||11노트 || || '''수중''' ||20노트 || || '''수중 (AIP)''' ||5노트 || || '''잠항심도''' || '''작전심도''' ||150m || |||| '''승무원''' ||총원 24~32명 [br]장교 18~22명[* 이상할 정도로 장교 탑승 비율이 매우 높다.] || ||<|4> '''엔진''' || '''추진''' ||디젤-전기 / 전기 (AIP) || || '''디젤 엔진''' ||MTU Diesel-electric 1300마력 × 2 || || '''전기 모터''' ||지멘스 1800마력 모터 x1 || || '''AIP''' ||코쿰스 v4-275R 스털링 AIP 75kW × 2 || |||| '''소나''' ||CSU 90-2 소나 || ||<|2> '''무장''' || '''기뢰''' ||외부 장착형 기뢰 48발 탑재 || || '''[[어뢰]]''' ||533mm 어뢰 발사관 x4[br]400mm 어뢰 발사관 × 2 || == 상세 == 스웨덴 왕립 [[스웨덴 해군]]에서 3척을 운용하고 있으며, [[206급 잠수함|206]]/[[209급 잠수함]]으로 시장을 선점하고 [[212급 잠수함|212]]/[[214급 잠수함]]으로 승부를 본 [[독일]]의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HDW]]에 밀려서 수출 실적은 제로이다. 때문에 적자에 시달리게 된 코쿰스사는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는 HDW에 매각된다.[* 모든 기술은 HDW로 넘어갔고 [[말뫼]]시에 있던 조선소는 이리저리 팔려다니다가 2002년을 마지막으로 폐쇄됐다. 이때 조선소에 있던 초대형 크레인 일명 코쿰스 크레인을 현대중공업이 단돈 1달러에 인수해서 울산으로 가져왔다. 이 크레인의 철거와 운송 과정을 스웨덴 방송에서 "장송곡"과 함께 방송하면서 중세부터 번성했던 스웨덴 조선산업의 몰락을 기렸는데 이 사건을 소위 '''말뫼의 눈물'''이라고 한다. 그 이후 말뫼시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집중투자하여 현재는 과거 조선업 [[스타크 산업|전성기를 능가하는 번영]]을 구가하는데, 이것을 '''말뫼의 부활'''이라고 한다.] 2차 잠수함 획득 사업인 [[손원일급 잠수함|KSS-II]]에 입찰신청을 했으나, 열심히 제안서 서류작업 하는 도중에 회사가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HDW]]에 매각되는 바람에 [[리타이어]] 해버린 일화가 있다. 만약 회사가 매각되지 않고 입찰에 참여했다면 [[214급 잠수함]]과 치열하게 경쟁했을 것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함 자체의 성능은 수준급.[* 무장이 214급에 비해 떨어진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고틀란드급 잠수함의 어뢰 발사관 중 일부가 533mm 어뢰와 잠대함 미사일의 내장이 불가능하다고는 해도 533mm 어뢰 발사관에서는 스웨덴에서 개발한 열기관 어뢰 탑재가 가능하며, 이는 현재 한국해군 214급에 여전히 탑재되는 SUT 어뢰보다 더욱 긴 사정거리와 빠른 속력을 기록한다. 어차피 한국이 독일제 DM2A4 어뢰를 도입할 계획이 아니었다면 214급 잠수함의 무장 수준이 스웨덴제 고틀란드급 잠수함의 그것보다 결코 나은 수준은 아니라는 이야기이다. 또한 어차피 한국에 제안된 고틀란드급 잠수함은 일부 재설계를 필요로 했으며, 이 과정에서 500mm에 미치지 못하는 어뢰 발사관을 533mm 발사관으로 모두 교체하여 설계 적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고틀란드급 잠수함을 한국 해군이 현지에서 평가했을 때에도 고틀란드급 잠수함의 무장 수준이 한국 해군의 요구 수준에 미달한다는 보고는 당연히 전무했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MS_Gotland_with_USS_Ronald_Reagan.jpg|width=100%]]|| |||| {{{#white 임대 생활 도중 [[니미츠급 항공모함|{{{#white 니미츠급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CVN-76) 과 함께}}}[*출처 [[http://en.wikipedia.org/wiki/Gotland_class_submarine|Wikipedia]]] || 1990년대 미 해군은 각종 훈련에서 한국의 [[장보고급]]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정숙성 높은 디젤 잠수함에 애를 먹으면서 대응전술의 필요성을 절감했는데, 훈련 상대 중 가장 인상적이었던 스웨덴 해군에게 HSwMS Gotland[* 스웨덴 군함도 영국 군함처럼 함명에 [[HMS]]가 붙는다. 이 경우는 스웨덴어로 HMS인 HSwMS는 '''Hans Majestäts Skepp'''의 머릿글자를 딴 것이다.]를 승무원들과 세트로 2005년 말부터 2007년까지 2년간 임대했다. 원래 1년 임대였는데 미군이 1년 추가연장을 부탁했다고 한다. 세계 최초로 여성 승조원이 탑승하게 된 잠수함이다. 이놈의 할아버지뻘 되는 잠수함을 대형화한 것이 '''그 악명높은 호주의 [[콜린스급]]'''으로 그야말로 [[호부견자]]났다.(...) 다만 콜린스급의 경우에는 코쿰스사와 합작하기 위한 회사인 호주의 ASC(호주 조선회사)가 코쿰스사의 조언을 무시하거나(!) 무리한 요구를 관철시키려한 탓에 열받은 코쿰스가 아예 손을 놔버린 경우이므로 '''사실상 호주 독자개발'''이라고 봐야한다.(...) ~~이럴꺼면 합작회사 왜 만들었냐~~ 게다가 고틀란드급의 트레이드 마크인 스털링 기관도 쓰지 못했다. 호주도 해양국가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자국 [[조선업]]을 키워주려 애쓰고 있는데, ASC가 그 기대를 무산시킨 게 이 잠수함 사업만이 아니다. [[호바트급]] 참조. 오죽하면 호주 관료가 ASC는 카누도 제대로 못 만든다고 일갈했을까. == 성능 개량 == 2010년대에 고틀란드급 잠수함 2척은 개장 작업에 들어가서 다시 재진수되는 대대적인 성능 개량을 진행하였다. 성능 개량으로 20개 이상의 체계 개량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개량 작업으로 관리/센서/통신 체계 개량, 사프란 사의 신형 마스트에 포함되는 [[스털링]] AIP, 콩스베르그의 SA9510S 소나 및 Exelis의 ES-3701 전자전 체계 탑재 등이 진행되었다. 선체 또한 함을 절단하고 중간에 2m 구간의 신규 섹션을 추가하여서 연장되었다. [[스웨덴]]은 2015년부터 [[사브]] 코쿰스사와 대대적인 개량 계약을 체결하였다. 1번함 고틀란드는 개량 사업 후, [[https://www.navalnews.com/naval-news/2020/05/a19-submarine-hswms-gotland-back-in-swedish-navy-service-following-upgrade/|2020년]]에 재인도하였다. 2번함 업란드 또한 [[https://www.navalnews.com/naval-news/2019/06/second-gotland-class-submarine-hms-uppland-relaunched-following-mlu-by-saab/|2019년 6월]]에 재진수되어서 2020년 12월에 해군에 인도되었다. 마지막 3번함도 2022년 3월 18일, 성능 개량 계약이 체결되었다. 총 계약 금액은 11억 [[스웨덴 크로나|SEK]]라고 하며, 이로서 3척의 고틀란드급 잠수함이 전부 해당 성능 개량을 받게 되었다.[[https://www.saab.com/newsroom/press-releases/2022/saab-signs-contract-for-mid-life-upgrade-of-the-third-gotland-class-submarine|#]] 고틀란드급에 적용된 신규 체계 및 기능은 향후 A26 블레킹에급 잠수함에도 적용될 예정이라고 한다. == 동형함 목록 == ||<-8><:> '''{{{#fecc00 스웨덴 왕립해군}}}''' || ||<:>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상태''' || ||<:> 1 ||HSwMS[* [[스웨덴어]]로는 HMS (Hans Majestäts Skepp)] 고틀란드 (Gotland) ||<:> 1992년 10월 10일 ||<:> 1995년 2월 2일 ||<:> 1996년 4월 ||<|3> 현역 || ||<:> 2 ||HSwMS 업란드 (Uppland) ||<:> 1994년 10월 21일 ||<:> 1996년 2월 9일 ||<:> 1997년 10월 || ||<:> 3 ||HSwMS 할란드 (Halland) ||<:> 1994년 10월 21일 ||<:> 1996년 9월 27일 ||<:> 1997년 7월 || == 관련 외부 링크 == [[http://ko.wikipedia.org/wiki/%EA%B3%A0%ED%8B%80%EB%9E%80%EB%93%9C%EA%B8%89_%EC%9E%A0%EC%88%98%ED%95%A8|(한국어 위키백과)고틀란드급 잠수함]] [[http://en.wikipedia.org/wiki/Gotland-class_submarine|(영어 위키백과)Gotland-class submarine]] [[http://en.wikipedia.org/wiki/Swedish_Navy|(영어 위키백과)Swedish Navy - 스웨덴 해군 정보]] == 관련 문서 == * [[스털링 기관]] * [[해상 병기/현대전]]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미국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 둘러보기)] [[분류:잠수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스웨덴군/군함]][[분류:미군/군함]][[분류:1996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