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송 황후)] ||<-2> '''{{{#fff 남송의 황후[br]{{{+1 恭淑皇后 | 공숙황후}}}}}}''' || || '''[[시호|{{{#fff 시호}}}]]''' ||<(> 공숙황후(恭淑皇后) || || '''[[성씨|{{{#fff 성}}}]]''' ||<(> 한(韓) || || '''{{{#fff 출생}}}''' ||<(> 1165년 || || '''{{{#fff 사망}}}''' ||<(> 1200년 || ||<|2> '''{{{#fff 재위}}}''' ||<(> {{{#fff 남송의 황후}}} || ||<(> 1194년 ~ 1200년 || || '''{{{#fff 배우자}}}''' ||<(> [[영종(송, 13대)|영종]](寧宗) || || '''{{{#fff 부친}}}''' ||<(> 한동경(韓同卿) || [목차] [clearfix] == 개요 == 恭淑皇后 韓氏 1165년 ~ 1200년 중국 [[남송]]시대의 황후로, 13대 황제였던 [[영종(송, 13대)|영종]]의 황후였다. == 상세 == 한씨는 상주 출신으로, 한동경과 안국부인 장씨의 사이에서 1165년에 태어났다. 한씨의 집안에는 [[북송]]시대에 인종, 영종, 신종 등 3대를 섬긴 명신 한기가 있었는데, 한씨는 바로 한기의 6대손이다. 당시 남송의 재상으로는 [[태종(송)|태종]]의 8대손인 [[조여우]]와 한기의 증손인 [[한탁주]]가 있었는데, 한씨의 아버지인 한동경은 바로 한탁주의 조카였다. 즉 한탁주는 한씨의 종조부가 된다. 한씨는 언니와 함께 입궁하여 1186년에는 [[효종(송)|효종]]의 손자인 평양군왕 조확과 혼인하고, 신안군부인으로 책봉되다가 이후 광종이 즉위한 이후 숭국부인으로 책봉된다. 당시 효종의 뒤를 이은 황제 [[광종(송)|광종]]은 황후였던 [[자의황후]]에게 휘둘리며 결국 태상황이었던 아버지 효종과도 멀어지게 되고 효종 사후 할아버지의 장례를 지내자는 가왕 조확의 간청도 듣지 않는 등 조정의 신망을 잃어갔다. 당시 남송의 재상이던 조여우와 한탁주는 1194년에 광종을 퇴위시키고 그 자리에 가왕 조확을 즉위시키면서, 한씨도 조확의 즉위와 함께 황후로 책봉되었다. 한씨는 경원 6년(1200년)에 사망하였고 사후에 공숙황후로 추시되었다. 한씨의 종조부인 한탁주는 조확을 즉위시킨 이후 자신이 권력에 더 가까워졌다고 생각하여 [[영종(남송)|영종]]이 즉위한 이후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경원 연간[* 1195년~1200년]에 조여우를 탄압하고 당시 명망있는 학자인 [[주자(철학자)|주희]] 등 59명의 신료들을 탄압하는 [[경원의 당금]]을 일으켰다. 한탁주의 권세가 점차 커지자, 그의 조카이자 한씨의 아버지였던 한동경은 삼촌인 한탁주가 교만해질 것을 두려워하여 자신이 한씨의 아버지라는 것을 세상에 알리지 않고 정치에 감히 관여하지 않으려 했다. 한동경이 1199년에 죽고, 이듬해에 황후가 죽은 이후 한탁주는 자신의 영향력이 축소될 것을 우려하여 무리하게 [[개희북벌|금나라에 북벌을 감행하였지만]] 북벌의 실패로 인해 결국 한탁주는 완전히 몰락하게 된다. 공숙황후 한씨는 영종과의 사이에서 조준(趙埈)[* 1196년에 태어났으나 바로 그 해에 사망하여 연충혜왕(兗沖惠王)으로 추봉되었다.]과 조탄(趙坦)[* 1200년에 태어났으나 바로 그 해에 사망하여 빈충온왕(邠沖溫王)으로 추봉되었다.]이라는 두 아들을 낳았으나, 두 아들 모두 태어난지 얼마 안되어 요절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송사)] [[분류:송나라의 황후]][[분류:1165년 출생]][[분류:1200년 사망]][[분류:허난성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