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루과이 의회의 원내 구성)] ||<-2> [[파일:광역전선(우루과이) 로고.png|width=200]] || ||<-2> {{{#fff '''Frente Amplio'''}}} || || {{{#fff '''약칭'''}}} ||PA|| || {{{#fff '''한글명칭'''}}} ||광역전선|| || {{{#fff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143A83;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남색}}}}}} || || {{{#fff '''창당일'''}}} ||[[1971년]] [[2월 5일]] || || {{{#fff '''이념'''}}} ||[[민주사회주의]][br] [[사회민주주의]][br][[21세기 사회주의]][br][[마르크스주의]][br][[반제국주의]][br][[진보주의]][br][[기독교 좌파]][br]개발주의 || || {{{#fff '''정치적 스펙트럼'''}}} ||[[좌파|좌익]]|| || {{{#fff '''주소'''}}} ||Colonia 1367, [[몬테비데오]] || || {{{#fff '''대표'''}}} ||리처드 에를리히[br]마리아 호세 로드리게스 || || {{{#fff '''청년 조직'''}}} ||청년 광역전선 || || {{{#fff '''상원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3A83 calc(13*100%/30), #fff 0%)" {{{#000 '''13석 / 30석'''}}}}}} || || {{{#fff '''하원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3A83 calc(42*100%/99), #fff 0%)" {{{#000 '''42석 / 99석'''}}}}}} || || {{{#fff '''기관지'''}}} ||보세스 델 프렌테 || || {{{#fff '''국제 조직'''}}} ||[include(틀:상파울루 포럼)] || || {{{#fff '''웹사이트'''}}} ||[[https://www.frenteamplio.uy/|[[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pages/Frente-Amplio-oficial/292074670808351|[[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frente_amplio, 크기=25)][br][[https://www.instagram.com/frente_ampli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user/frenteamplio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a.me/59899338732|[[파일:WhatsApp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루과이]]의 좌파 정당으로 정당 연합체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PIT-CNT 노동조합과 협력 주택 운동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 상세 == 1971년에 [[우루과이 사회당]], [[우루과이 공산당]], 대중참여운동 등 12개의 좌파 정당들이 모여서 연합체로 설립한 것이다. 1973년에 군사 쿠데타로 인한 불법 정당이 되었다가 1984년에 민주화가 되면서 다시 합법 정당으로 회복하게 되었다. 이 때, 극좌 무장단체였던 [[https://es.wikipedia.org/wiki/Movimiento_de_Liberaci%C3%B3n_Nacional-Tupamaros|투파마로스]][* 광역전선 창당가지는 데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가 무력을 포기선언하면서 광역전선에 입당하게 된 것이다. 제3당에 머물면서 지지 세력을 조금씩 확장하다가 1999년 대선에서 첫 결선 진출을 하면서 배출할 뻔 것이었다. 당시 우루과이 경제가 안좋다보니 이 틈에 타서 2004년 대선에서 3번째로 출마했던 타바레 바스케스가 결선진출 없이 당선되면서 첫 집권을 가질 수 있었다. 2009년 대선에서는 대중참여운동 출신이던 [[호세 무히카]]가 나섰고, 당선됨에 따라 집권을 이어가게 된다. 이 시기에 호세 무히카의 청렴한 이미지 덕분에 우루과이 이미지에 도움 줄 뻔더러 대마초 합법화를 이끌게 만들었다. 2014년 대선에서 타바레 바스케스가 재선 출마를 가지기로 하면서 3연속 정권을 이어갔다. 2019년 대선에서 전 몬테비데오 시장 다니엘 마르티네스가 대선에 나섰고 여론조사에서도 지지율이 높게 나왔지만, 국민당의 루이스 알베르토 라카예 포우와의 결선 대결에서 야권의 단일화 효과로 인해 1% 차이로 패배하게 된다. [[분류:상파울로 포럼 소속]][[분류:우루과이의 정당]][[분류:민주사회주의 정당]][[분류:사회민주주의 정당]][[분류:진보주의 정당]][[분류:1971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