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2 광주선}}}''' [br] 光州線 | Gwangju Line}}} || ||<-2> [[파일:광주선.png|width=100%]][* [[광주송정역]]은 명목상 기점이다.] ||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br],,[[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 '''노선번호''' || 30704 || || '''노선명''' || 경전선 광주선 (慶全線 光州線) || || '''종류''' || 지선철도, 일반철도 || || '''영업거리''' || 11.9㎞ || || '''궤간''' || 1435㎜ || || '''역수''' || 3 || || '''기점''' || [[동송정신호장|(경전선 광주선분기)]] || || '''종점''' || [[광주역]] || || '''급전방식''' ||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 '''신호장비''' || [[열차자동정지장치|ATS-S1]] || || '''선로 수''' || [[단선(철도)|1]] || || '''선로최고속도''' || {{{-1 '''광주송정~극락강'''}}}[br]100km/h[br]{{{-1 '''극락강~광주'''}}}[br]130km/h || || '''개업일''' || [[1922년]] [[7월 1일]] || || '''운영노선''' || [[ITX-새마을]] (광주~용산)[br][[무궁화호]][* 광주↔용산 #1421 ~ #1426[br]광주↔목포 #1981, #1982, #1474[br]광주↔서대전 #1461 ~ #1464][br][[통근열차(한국의 열차등급)|통근열차]] (광주~광주송정) || [목차] [clearfix] == 개관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광주)|송정동]]에 있는 [[광주송정역]]에서 [[광주광역시]] [[북구(광주)|북구]] [[중흥동(광주)|중흥동]]에 있는 [[광주역]]까지 운행하는 총 연장 11.9km의 짤막한 지선철도 노선이다. [[경전선]]의 지선으로 분류되지만[* 동송정신호장 근처에서 경전선과 분기되며, 과거 이곳이 [[경전선]] 본선 구간이었기 때문이다.], 경전선이 [[호남선]]에서 분기하여 광주선에 입선하기까지의 거리도 짧으며, 광주선에 입선하는 열차들 중 [[경전선]] 열차는 없고 전부 [[호남선]] 계통 열차이므로 실질적으로는 [[호남선]]의 지선 역할이라고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광주역]]의 위치가 광주 원도심 내부에 있고 [[북구(광주)|북구]], [[동구(광주)|동구]] 쪽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아직 존치되고 있는 철도다. 덕분에 단선인 광주선에 [[KTX]] 열차가 들어가는 진기한 풍경이 연출되기도 했다. == 역사 == === 전남선 시절 === 남조선철도회사의 사설 철도로 시작하여 조선철도회사 소속이 되었다가 [[조선총독부]] 철도국에 매입된, 송정리(현 [[송정동(광주)|송정동]] 지역)-[[광주역]]-[[담양군]]을 연결하는 36km의 철도였다. 이 철도의 정식 명칭은 '''[[전남선]]'''으로, 담양 이후 [[순창군]]을 지나 [[금지역]] 근처에서 현재의 [[전라선]] 선로를 따라 [[순천역|순천]]까지 갔다가 다시 현재의 [[경전선]] 선로를 따라가면서 [[진주역|진주]]를 거쳐 [[마산역|마산]]에 이르는 철도로 계획되어 있었다. 송정리-담양 구간은 일제 시대에 영업했고, 담양-금지 구간은 공사를 진행하였다. [[광주역]]에서 [[담양군|담양]] 사이에는 [[광주광역시|광주]] [[망월동(광주광역시 북구)|망월동]] 및 [[담양군]] [[담양군/행정#s-2.3|고서면]] 원강리 일원의 장산역, [[담양군|담양]] 봉황면(현 [[담양군/행정#s-1.2|봉산면]] 일대) 제월리의 마향역, [[담양군/행정#s-1.1|담양읍]] 백동리의 삼거리역, 담양역이 있었다. 1944년 2월까지 여객취급을 하였다.[* 김정호,광주산책(하),159쪽,광주문화재단,2015] 이때 [[남원시|남원]], [[거창군|거창]] 등지에서는 광주선을 남원역에서 지금의 [[대구광역시]]까지 연장해서 [[경부선]]과 직결하는 '구남철도'의 부설 운동이 일어났다. 공사가 진행되다가 [[태평양 전쟁]]으로 공사가 중지되었다. 영업 중이던 광주-담양 구간도 [[불요불급선|레일 재활용]]을 위해 1944년에 철거되어 사라졌다.[* 이때 광주선이 폐선된 이유가 "레일을 녹여 금속자원을 유용하기 위해" 라고 알려진 바 있으나 [[https://cafe.naver.com/korailslr/83524|사실과 다르다.]] 주요간선 개량이나 군수공장 인입선 부설을 위한 레일을 조달하기 위해 폐선된 것이다.] 이 당시의 광주선은 [[폐선]]된 지 70년이 다 되어 가는 현재에도 거의 전 구간에 걸쳐 흔적이 남아 있다. 상당수는 선형 그대로 도로로 전용되어 그 흔적을 느낄 수 있다. 계림오거리에서 동북쪽과 동남쪽으로 뻗어나가는 도로가 깔끔한 곡선형인데 이것이 바로 각각 [[대인동]] 구.광주역에서 광주선과 [[경전선]]이 분기했던 흔적이며, 위성 지도로 보면 1순환로 바깥의 군왕로까지 축선이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중흥동(광주)|중흥동]] 현.[[광주역]] 동쪽으로도 군왕로 쪽으로 분기되는 축선이 보인다. [[중흥동(광주)|중흥동]]에 역이 지어질 때는 이미 광주선이 폐선된 상태인데도 분기선을 마련한 것을 보아, 재개통까지 염두에 둔 듯하다.] 이뿐만 아니라 철교 교각에 터널, 심지어는 역 승강장 경계석까지 거의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곳이 많다. 심지어는 터널을 부수고 도로를 확장했는데, 도로 한쪽의 옹벽이 철도 터널의 벽으로 그대로 남아 있는 사례도 있다. 특히 실제 운행이 되었던 광주-담양 사이의 구간은 역 승강장이 한 역만 빼고 남아 있을 정도로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박정희]] 대통령 집권 직후 [[금지역]]까지 다시 철도를 건설하기로 확정되어 착공에 들어갔고, [[전라선]] [[남원역]]에서 다시 [[김천역|김천]] - [[삼천포역|삼천포]] 간에 착공된 김삼선의 [[함양군|함양]]까지 철도를 건설하여 광주와 [[진주역|진주]], 광주와 김천을 연결할 계획이었으나 계획이 바뀌어 취소되었다. 아래 그림의 초록색선로가 [[광주역]] 신역사에서 분기하려던 노반 흔적이다. 초록색 선로가 있는 부지에는 과거에는 노반의 흔적을 유지한 채 단독주택들이 줄지어 세워져 있었으나, 현재는 재개발되어 [[계림 아이파크 SK뷰]] 아파트가 들어서있다. 당시로서는 지방 인구 비율도 많았고 타당성이 있었을 것이기 때문에 아쉬운 부분. [[광주역]]까지 남은 현재도 [[남원역]]을 지나 [[대구광역시]]까지 [[달빛내륙철도|연장하려는 계획]]이 장기 구상에 있기는 한데, 이 때 광주선을 활용할 지 별도의 노선이 될 지는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 [[파일:광주 도심철도 이설전.png]] 현재는 초록색 구간이 위치한 쪽에 [[계림 아이파크 SK뷰]]가 들어서면서 흔적이 사라졌다. === 경전선 시절 === 1956년에는 현재의 서부경전선에 해당하는 [[광주송정역]] ~ [[순천역]] 구간을 '경전서부선'에서 '광주선'으로 개명하였다. 참고로 같은 날 [[삼랑진역]] ~ [[진주역]] 구간도 '경전남부선'에서 '진주선'으로 개명되었는데, 1968년에 [[순천역]] ~ [[진주역]] 구간이 개통하여 두 구간이 서로 직결됨에 따라 두 명칭은 없어지고 [[삼랑진역|삼랑진]]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구간을 통틀어 '[[경전선]]'이라는 이름이 새로 부여되었다. 도시가 발전하면서 경전선 구간은 도심지로 발전하였고 소음과 진동 민원이 끊이지 않았고, 도시 발전에도 지장을 줘 1995년부터 경전선 이설 공사를 시작하였고 [[동송정신호장|동송정]]~[[서광주역|서광주]]~[[효천역|효천]] 구간 11km를 신설하였다. 2000년 8월 10일 서광주역 개통 이후 [[광주역|광주]]~[[남광주역|남광주]]~[[효천역|효천]] 구간 10.8 km를 철거하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0038234?sid=102|광주시 도심철도 이설사업 완료]]] [[경전선]] 이설을 계기로 구.경전선의 광주역 잔여 구간이 광주선으로 바뀌었다. 경전선은 11.7 km가 단축되었고 광주선은 11.9 km짜리 짧은 길이의 경전선의 지선이 되었다. === 현재 === 2004년 [[KTX]] 개통 당시, [[광주역]]이 기종점역이 되면서 그럭저럭 살아남았다. 목포 착발 KTX는 [[광주송정역|송정리역]]에 정차하였는데, 승하차 승객수는 비슷하였다. [[극락강역]]에서 20량짜리 [[KTX-1]]끼리 교행하는 장면도 감상할 수 있었다. 2015년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광주역 착발 KTX 운행이 중단되면서, 일반열차만 운행하게 되었다. 이후 광주역과 광주선을 철거하고 재개발하자는 주장과, 광주선 존치 및 KTX 재운행 요구가 상반되는 상황. [[광주송정역]]이 있는 [[광산구]] 측에서는 광주선으로 인한 도시 단절과 유지비용을 들어 폐지를 주장하고 있는 반면, [[광주역]]이 존재하는 [[북구(광주)|북구]] 및 [[광주역]]이 가까운 원도심, 그리고 [[남구(광주)|남구]] 지역에서는 [[광주역]] [[KTX]] 재운행을 주장하고 있다. [[북구(광주)|북구]], [[남구(광주)|남구]], [[동구(광주)|동구]] 입장에서는 [[광주송정역]]이 지나치게 남서쪽에 위치에 있어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 [[서울특별시|서울]]로 비유하자면 잘 타고 다니던 [[서울역]]과 [[용산역]] 착발 [[KTX]]가 폐지되고 '''[[영등포역]] 착발 [[KTX]]''' 이용이 강제되는 것이다. 다음 기사들은 상반된 주장들을 보여주고 있다. [[광주역]]/광주선 철거 의견이 우세한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461078000575324004|광주일보 설문조사]]와 [[광주역]] KTX 재운행 의견이 우세한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28/0200000000AKR20160328169900054.HTML|철도노조 호남지방본부 설문조사]] 참고. == 셔틀열차 운행 == [[파일:external/search.pstatic.net/?src=http%3A%2F%2Fimgnews.naver.com%2Fimage%2F001%2F2016%2F12%2F19%2FPYH2016121921160005400_P2_99_20161219143715.jpg]] [[파일:external/news.korail.com/main_117784317748053cb45dc49.jpg]] [[http://www.gwangju.go.kr/BD_0000000027/boardView.do?seq=290906&infoReturn=&menuId=gwangju0303010000&searchCate=&searchType=&searchText=&pageIndex=1&boardId=BD_0000000027|광주광역시가 운영비를 어느 정도 지원하는 것으로 한국철도공사 측과 협의되어]] 2016년 12월 19일부터 광주선에 셔틀열차를 운행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운행구간은 [[광주역]] ↔ [[극락강역]] ↔ [[광주송정역]] RDC 무궁화호(3량)로 1일 28회 운행하였는데, 요금은 2,600원, KTX와 환승 승차권으로 구매 시 900원이었다. SRT 환승시 환승할인이 안 되었으나, KTX보다 저렴한 운임이 상행기준 [[익산역]]부터 [[수서역]]까지 환승할인 불가로 인한 손해를 메꾸고도 남았기 때문에 그럭저럭 수요가 있었다. 2019년까지만 해도 [[광주송정역]]에서 [[KTX]]나 [[SRT]]가 출발한 직후 셔틀열차가 도착한다던가, 반대로 KTX나 SRT가 광주송정역에 도착했을 때 셔틀열차가 조금 전에 먼저 출발하는 바람에 광주송정역에 도착한 후 30분에서 1시간 이상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2020년 이후 개선되었다. 2020년 1월 1일부터 [[CDC 디젤동차|CDC]] [[통근열차(한국의 열차등급)|통근열차]]로 종별이 바뀌었다. 요금도 전 구간 기준 2,600원에서 1,000원으로 인하됐다. 환승 승차권 구매 시 900원으로 할인은 여전하다. 또한, 좌석 역시 자유석제로 변경되어 아무 좌석이나 편한대로 골라 앉으면 된다. 이에 더하여 셔틀열차 이용 시 광주역 주차요금 할인도 제공하며, 광주역 1일 주차요금을 3,000원으로 인하하였다. 또한 [[극락강역]] 주차장은 50대 한정 무료이다. 일단 [[광주역]]과 [[광주송정역]] 간에 빠르고 싸게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다.[* 광주역~광주송정역간은 택시를 타고 갈 수는 있지만 할증이 붙어 평균적으로 12,000~13,000원대의 돈을 내야 한다.] 그러나 광주송정 - 극락강 - 광주역에만 서는지라 접근성이 떨어져 대부분의 경우 시내버스로 환승해야 하는 게 가장 큰 단점이며 셔틀열차의 실효성을 느끼지 못하는 부분이다. 정거장을 신설하여 광역철도로 운영하자는 의견도 있으나, 광주선 주변은 이미 도시화 된지 오래인지라 역을 만들 수 있는 부지가 좁고, 부지가 나오는 곳은 역을 만들 필요성이 낮은 허허벌판(영산강 부근)에 지나지 않아 역시 실효성이 떨어진다.[* 그나마 가장 현실성이 있는 곳은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인근인데, 임시승강장 수준으로 어찌어찌 만들 수는 있다. 물론 그 부지에 있는 건물들을 헐고 [[경신여자고등학교|경신여고]] 부근에 있는 건널목에 역을 건설하면 야구장 수요를 잡을 수도 있으나, 건널목 부근의 통행량이 많아 역과 함께 입체교차로도 만들어야 하는 등 대공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담으로 [[진해선]] 이후 최초, 즉 두 번째로 '''시 경계를 벗어나지 않는''' 정기편 [[무궁화호]]라는 타이틀이 붙었다.[* 참고로, [[구포역]] ~ [[신해운대역]] 구간을 운행했던 [[무궁화호]]는 [[2016년]] [[12월 9일]]부터 [[서울역]] ~ [[신해운대역]] 간을 운행하기 시작한 [[ITX-새마을]]의 전차선 전력 공급 문제로 인하여 [[ITX-새마을]]을 [[구포역]]까지 타절시키고, 남은 구간에 임시로 [[무궁화호]]가 투입되어 운행되었던 것이다.] [[CDC 디젤동차]]로 운영하고 있어 소음이 있고, 일부 칸에는 매연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다. 그래도 [[경원선]] [[동두천역]]~[[백마고지역]]이 전철화 사업으로 인하여 2019년 4월 1일부터 [[통근열차(한국의 열차등급)|통근열차]] 운행을 중단하면서, 일본에서나 볼법한 짤막한 로컬선 여행을 즐길 수 있는~~철덕에게나 좋은(?)~~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 || [youtube(IGDZyyQXJfc)] || || {{{#000000 딱 한곳에서만 운행하는 마을버스보다 저렴한 기차}}} || === 시간표 === '''※ 2022년 11월 시간표 기준.[* 시간표가 변경될 수 있으니 [[http://www.letskorail.com/|레츠코레일]] 또는 코레일톡 앱에서 확인하기 바란다. 연계 KTX 편을 확인하고 싶다면 [[https://www.gwangju.go.kr/traffic/contentsView.do?pageId=traffic21|광주광역시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도 좋으나 공식 시간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하기 바란다. ]''' ||<-4> 상행열차([[광주역|광주]]→[[광주송정역|광주송정]]) || || 열차 종별 || 출발 시각 || 도착시각 || 연계편 || ||<#e1f8d5><|2> {{{#9ab51c 셔틀열차(#2752)}}} ||<|2> 05시 02분 ||<|2> 05시 17분 || {{{#024999 KTX}}}(#402) 출발 21분 전 도착. || || [[경전선|{{{#ff7800 무궁화호}}}]](#1952) 열차 출발 33분 전 도착[*B 셔틀열차와 이 열차의 타는 곳이 같다.] || ||<#fefaea> [[무궁화호|{{{#ff7800 무궁화호}}}]]{{{#ff7800 (#1981)}}}[*A 이 열차는 셔틀열차가 아닌 무궁화호 열차이며, 요금은 2,600원이고 환승할인 불가이니 참고.] || 06시 46분 || 07시 03분 || || ||<#e1f8d5><|3> {{{#9ab51c 셔틀열차(#2754)}}} ||<|3> 07시 21분 ||<|3> 07시 36분 || {{{#024999 KTX}}}(#406) 출발 8분 전 도착. || || {{{#4d2f48 SRT}}}(#606) 출발 19분 전 도착. || || [[호남선|{{{#ff7800 무궁화호}}}]](#1402) 출발 28분 전 도착.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56)}}} || 08시 28분 || 08시 43분 || {{{#024999 KTX-산천}}}(#408) 출발 5분 전 도착. || ||<#e1f8d5><|3> {{{#9ab51c 셔틀열차(#2758)}}} ||<|3> 09시 46분 ||<|3> 10시 01분 || {{{#4d2f48 SRT}}}(#608) 출발 17분 전 도착. || || {{{#024999 KTX}}}(#412) 출발 26분 전 도착. || || [[경전선|{{{#ff7800 무궁화호}}}]](#1954) 열차 출발 32분 전 도착[*B] || ||<#e1f8d5><|4> {{{#9ab51c 셔틀열차(#2760)}}} ||<|4> 10시 52분 ||<|4> 11시 07분 || {{{#4d2f48 SRT}}}(#610) 출발 8분 전 도착. || || [[호남선|{{{#C2002F ITX-새마을}}}]](#1062) 출발 10분 전 도착 || || {{{#024999 KTX}}}(#414) 출발 23분 전 도착. || || {{{#024999 KTX-산천}}}(#416) 출발 28분 전 도착.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62)}}} || 12시 14분 || 12시 29분 || {{{#4d2f48 SRT}}}(#612) 출발 27분 전 도착.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64)}}} || 13시 27분 || 13시 42분 || {{{#4d2f48 SRT}}}(#658) 출발 1분 전 도착.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66)}}} || 14시 45분 || 15시 00분 || || ||<#e1f8d5><|2> {{{#9ab51c 셔틀열차(#2768)}}} ||<|2> 15시 58분 ||<|2> 16시 13분 || {{{#4d2f48 SRT}}}(#616) 출발 9분 전 도착. || || {{{#024999 KTX-산천}}}(#424) 출발 15분 전 도착.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70)}}} || 17시 16분 || 17시 31분 || {{{#024999 KTX-산천}}}(#426) 출발 1분 전 도착.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72)}}} || 18시 17분 || 18시 32분 || {{{#024999 KTX}}}(#430) 출발 4분 전 도착.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74)}}} || 19시 26분 || 19시 41분 || [[경전선|{{{#ff7800 무궁화호}}}]](#1976) 열차 출발 19분 전 도착[*B] || ||<#e1f8d5><|2> {{{#9ab51c 셔틀열차(#2776)}}} ||<|2> 20시 41분 ||<|2> 20시 56분 || {{{#4d2f48 SRT}}}(#666) 출발 3분 전 도착. || || {{{#024999 KTX-산천}}}(#438) 출발 24분 전 도착.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78)}}} || 22시 18분 || 22시 33분 || {{{#4d2f48 SRT}}}(#668) 출발 30분 전 도착.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80)}}} || 23시 20분 || 23시 35분 || || * [[극락강역]]에서 광주역행 열차와 교행하는 경우가 있다. 광주행 열차가 지연되는 경우 셔틀열차가 대기할 수 있으며, 이러할 경우 5분 이내 출발하는 고속철도와의 환승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광주송정역에서 셔틀열차 타는 곳^^3, 4번^^과 상행 고속열차 타는 곳^^11,12번^^이 끝과 끝에 위치해 있다. 환승 대기시간이 짧은 경우 달리다가 부상을 당하거나 기차를 눈 앞에서 놓칠 수 있다. 5분 이내의 최소 5분 이전에 광주송정역에 도착하는 셔틀열차를 이용할 것을 권장한다. * 셔틀열차가 지연되더라도 지연 보상을 받을 수 없으며, 광주송정발 열차를 놓쳐 승차권을 환불할 경우 환불 수수료가 발생한다. ||<-4> 하행열차([[광주송정역]]→[[광주역]]) || || 열차 종별 || 출발 시각 || 도착시각 || 연계편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51)}}} || 06시 47분 || 07시 02분 ||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53)}}} || 07시 56분 || 08시 11분 || {{{#024999 KTX-산천}}}(#403) 도착 15분 후 출발.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55)}}} || 09시 11분 || 09시 26분 || {{{#4d2f48 SRT}}}(#653) 도착 39분 후 출발.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57)}}} || 10시 21분 || 10시 36분 || {{{#024999 KTX}}}(#409) 도착 13분 후 출발.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59)}}} || 11시 41분 || 11시 56분 || {{{#4d2f48 SRT}}}(#655) 도착 15분 후 출발. || ||<#e1f8d5><|3> {{{#9ab51c 셔틀열차(#2761)}}} ||<|3> 12시 52분 ||<|3> 13시 07분 || {{{#024999 KTX}}}(#413) 도착 21분 후 출발. || || {{{#4d2f48 SRT}}}(#657) 도착 10분 뒤 출발. || || {{{#024999 KTX}}}(#475) 도착 4분 뒤 출발.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63)}}} || 14시 10분 || 14시 25분 || {{{#4d2f48 SRT}}}(#609) 도착 7분 후 출발.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65)}}} || 15시 18분 || 15시 33분 || {{{#4d2f48 SRT}}}(#659) 도착 23분 후 출발.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67)}}} || 16시 30분 || 16시 45분 || [[경전선|{{{#ff7800 무궁화호}}}]](#1973) 도착 32분 후 출발[*B] || ||<#e1f8d5><|5> {{{#9ab51c 셔틀열차(#2769)}}} ||<|5> 17시 50분 ||<|5> 18시 05분 || {{{#4d2f48 SRT}}}(#613) 도착 37분 후 출발. || || {{{#024999 KTX-산천}}}(#4043) 도착 26분 후 출발.[* 금~일 한정운행하는 임시열차이므로 때에 따라 운행하지 않을 수 있음. 주의 바람.] || || {{{#024999 KTX}}}(#423) 도착 18분 후 출발. || || {{{#ff7800 무궁화호}}}(#1473) 도착 9분 후 출발. || || {{{#024999 KTX}}}(#425) 도착 6분 후 출발.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71)}}} || 18시 46분 || 19시 01분 || {{{#024999 KTX-산천}}}(#427) 도착 4분 후 출발. || ||<#fefaea> {{{#ff7800 무궁화호 (#1982)}}}[*A] || 19시 23분 || 19시 40분 ||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73)}}} || 20시 07분 || 20시 22분 || {{{#4d2f48 SRT}}}(#615) 도착 14분 후 출발 || ||<#e1f8d5><|5> {{{#9ab51c 셔틀열차(#2775)}}} ||<|5> 21시 44분 ||<|5> 21시 59분 || [[경전선|{{{#ff7800 무궁화호}}}]](#1975) 도착 40분 후 출발 || || {{{#4d2f48 SRT}}}(#665) 도착 36분 후 출발 || || [[호남선|{{{#ff7800 무궁화호}}}]](#1407) 도착 30분 후 출발. || || {{{#4d2f48 SRT}}}(#617) 도착 16분 후 출발 || || {{{#024999 KTX}}}(#433) 도착 5분 후 출발. || ||<#fefaea> {{{#ff7800 무궁화호(#1474)}}}[*A][* 이 열차는 극락강역을 정차하지 않는다.] || 21시 53분 || 22시 07분 || || ||<#e1f8d5> {{{#9ab51c 셔틀열차(#2777)}}} || 22시 48분 || 23시 03분 || {{{#024999 KTX-산천}}}(#435) 도착 18분 후 출발 || ||<#e1f8d5><|2> {{{#9ab51c 셔틀열차(#2779)}}} ||<|2> 익일 00시 31분 ||<|2> 익일 00시 46분 || {{{#4d2f48 SRT}}}(#619) 도착 25분 후 출발. || || {{{#024999 KTX}}}(#439) 도착 10분 후 출발. || * '''하행 고속열차가 지연하여 도착하는 경우 셔틀열차를 놓쳐 환승을 못할 수 있다. 최소 고속열차 도착 5분 이후에 광주역으로 출발하는 셔틀열차를 이용할 것을 권장한다.''' * '''KTX와의 환승 할인은 KTX와 셔틀열차를 동시에 예매, 환승 승차권으로 구매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폐지 === [youtube(vhLUvGKiJgE)] 2023년 말 통근열차 등급의 CDC가 폐차될 예정이다.[[https://www.yna.co.kr/view/AKR20230110119100054|#]] 광주광역시에서는 신형 열차인 [[ITX-마음]] 운행을 요청하였으나, 전동열차를 대체 운행하려면 60억 원이 필요한데다 요금 역시 4배 가량 인상되어 승객 탑승 저조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 결국 2023년 12월까지 운행 후 폐지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 주행영상 == [youtube(4I6xL8SkxB0)] 광주송정역→광주역 구간 주행영상 [youtube(DpduHnrGnqo)] 광주역→광주송정역 구간 주행영상 == [[경전선]] 전철화 계획 포함 == [[파일:광주송정순천전철화.jpg|width=550&align=center]] 2019년 12월에 들어서면서, 2020년에 착공[* 적기 착공에는 실패]해 2025년 준공 예정인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나주혁신도시]] - [[보성역|보성]] ~ [[순천역|순천]]구간 '경전선 신선'은 총연장 122.2㎞, 설계속도 시속 250㎞로 1조7703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서, 전철화 사업이 완료되면 나주혁신도시에서 전철역을 신설하여, 전철을 타고 [[광주송정역]]~ [[광주역]]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9619330|광역철도 방식으로 계획하고 있다.]] 이 노선을 전철 복선화하여 [[달빛내륙철도]]에 대비함은 물론, [[도시철도]]로도 사용하자는 [[http://m.kwangju.co.kr/article.php?aid=1434553200552692131|의견]]이 있다.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폐역은 현재 선로상에서 폐지된 것만 기재하며, 킬로수와 영업현황은 기재하지 않음. * 2010년 8월 27일 기준[*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582호] ||<:><#f55839>{{{#fff '''무궁화호 정차역'''}}}|| ||<|2> ㎞ ||<|2><-2> 역명 ||<|2> 운행계통 ||<|2> 등급 ||<-2> 접속 노선 ||<|2> 소재지 || || 연결 || 환승 || || ||<-6>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북송정신호소|북송정]][* [[북송정삼각선|북송정분기]] 경전선 삼랑진 기점 276.4km] ||<|3> [[광주광역시]] [[광산구]] || || 0.0||<-4> (광주선분기)[br]{{{#!html
※ 경전선 삼랑진 기점 275.6km }}} ||[[경전선]] || || || 4.5||<#f55839> [[극락강역|{{{#fff 극락강}}}]] || 極樂江 ||CmH || ○ || || || || 11.9||<#f55839> [[광주역|{{{#fff 광주}}}]] || 光 州 ||CMS || ⊙ || ||---[[파일:광주 2호선 아이콘.svg|width=15]] [[광주 도시철도 2호선|2호선]]--- || [[광주광역시]] [[북구(광주)|북구]] || == 기타 == [[2022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광주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 ||<-10> {{{#ffffff 2022년 광주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 || 운행구간 || 선로용량 || 고속열차 || 일반여객 || 전동차 || 통근열차 || 운행총계 || || 동송정 - [[광주역]] || 42 || 0 || 9 || 0 || 15 || 24 || [[분류:광주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