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구로역'''}}} || ||<-3>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30]]]] || ||<|2> [[소요산역|{{{-1 {{{#585858,#cccccc 소요산 방면}}}}}}]][br][[신도림역|신도림]][br]← 1.1 ㎞ ||<|2> [[수도권 전철 1호선|{{{-1 {{{#ffffff 1호선[br](141)}}}}}}]] || [[인천역|{{{-1 {{{#585858,#cccccc 인천 방면}}}}}}]][br][[구일역|구 일]][br]1.4 ㎞ → || || [[서동탄역|{{{-2 {{{#585858,#cccccc 서동탄}}}}}}]][[신창역|{{{-2 {{{#585858,#cccccc ·신창}}}}}}]]{{{-2 {{{#585858,#cccccc 방면}}}}}}[br][[가산디지털단지역|{{{-1 가산디지털단지}}}]][br]2.4 ㎞ → || ||<|2> [[용산역|{{{-1 {{{#585858,#cccccc 용산 방면}}}}}}]][br][[신도림역|신도림]][br]← 1.1 ㎞ || [[동인천급행|{{{-1 {{{#ffffff 1호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경인선 급행)]}}}}}}]] || [[동인천역|{{{-1 {{{#585858,#cccccc 동인천 방면}}}}}}]][br][[개봉역|개 봉]][br]2.4 ㎞ → || || [[동인천특급|{{{-1 {{{#ffffff 1호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f,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경인선 특급)]}}}}}}]] || [[동인천역|{{{-1 {{{#585858,#cccccc 동인천 방면}}}}}}]][br][[역곡역|역 곡]][br] 6.9 ㎞ → || || [[청량리역|{{{-1 {{{#585858,#cccccc 청량리 방면}}}}}}]] ||<|2> [[천안급행|{{{-1 {{{#ffffff 1호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00,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경부선 급행 A)]}}}}}}]] || [[신창역|{{{-1 {{{#585858,#cccccc 신창 방면}}}}}}]] || ||<|2> [[신도림역|신도림]][br]← 1.1 ㎞ ||<|2> [[가산디지털단지역|{{{-1 가산디지털단지}}}]][br]2.4 ㎞ → || ||<|2> [[수도권 전철 1호선/광명셔틀|{{{-1 {{{#ffffff 1호선[br][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24999, 사이즈=.9em, 글자색=#fff, 내용=광명셔틀)]}}}}}}]] || || [[영등포역|{{{-1 {{{#585858,#cccccc 영등포 방면}}}}}}]] || [[광명역|{{{-1 {{{#585858,#cccccc 광명 방면}}}}}}]]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구로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Guro || || [[한자]] ||<-2><|2> 九老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九老, ruby=クロ)]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중앙로 174[br](구로동 585-3) || ||<-3> '''관리역 등급''' || ||<-3> [[관리역]] / 2급[br]([[한국철도공사|코레일]] 수도권광역본부) || ||<-3> '''운영 기관''' || || [[경부선]] ||<|2><-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 [[경인선]] || ||<-3> '''개업일''' || || [[경부선]] ||<|2><-2> 1969년 3월 25일 || || [[경인선]] || || [[수도권 전철 1호선|{{{#ffffff 1호선}}}]] ||<-2> 1974년 8월 15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3> '''승강장 구조''' || ||<-3> 5면 11선 혼합형 승강장[* 경부선과 경인선의 분기점인 만큼 섬식과 상대식이 혼재한다.] || ||<-3> '''철도거리표''' || || [[서울역|{{{-1 {{{#585858,#cccccc 서울 방면}}}}}}]][br][[신도림역|신도림]][br]← 1.1 ㎞ || '''[[경부선]]'''[br]구 로 || [[부산역|{{{-1 {{{#585858,#cccccc 부산 방면}}}}}}]][br][[가산디지털단지역|{{{-1 가산디지털단지}}}]][br]2.4 ㎞ → || ||<|2> {{{-1 {{{#585858,#cccccc 기점}}}}}} || '''[[경인선]]'''[br]구 로 || [[인천역|{{{-1 {{{#585858,#cccccc 인천 방면}}}}}}]][br][[구일역|구 일]][br]1.4 ㎞ → || || '''[[구로기지선]]'''[br]구 로 || [[구로차량사업소|{{{-1 {{{#585858,#cccccc 구로기지 방면}}}}}}]][br][[구로차량사업소|구로기지]][br]1.4 ㎞ → || ||<-3> '''유실물센터''' || ||<-3>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경부선, 경인선) ☎ 02-869-0089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구로역 스탬프.jpg|width=150]] || || 구로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구로의 지명유래인 지팡이 9개를 형상화했으며, 2014년 스터디투어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br]구로역과 [[신도림역]]의 한가운데 있는 [[공원로(서울)|거리공원]] 끝자락에 있다. ||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373a3c,#ddd 수도권 전철}}}]] 개통과 함께 출발''' >구로역은 1974년 역사가 신축 준공되며 같은 해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373a3c,#ddd 수도권 전철}}}]] 개통과 함께 [[보통역|{{{#373a3c,#ddd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그보다 이전이었던 1969년과 1973년에 설치되었던 [[경부선|{{{#373a3c,#ddd 경부선}}}]] 구로신호소와 구로남신호소가 구로역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도시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여, 1983년 사무관역 승격에 이어 1991년에는 신역사 B동이 준공되어 영업을 시작했다. 기존의 구로역이었던 A동이 당시 2,229.4㎡ 규모의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건물로 지상 3층, 지하 1층에 이르며, 새롭게 준공된 B동이 4,301.5㎡ 규모의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건물로 지상 5층, 지하 1층에 이른다. [[경인선|{{{#373a3c,#ddd 경인선}}}]]의 분기역으로 [[경부선|{{{#373a3c,#ddd 경부선}}}]], [[경인선|{{{#373a3c,#ddd 경인선}}}]] 방면으로 향하는 [[수도권 전철|{{{#373a3c,#ddd 수도권 광역전철}}}]]의 주요 환승역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며 [[구로차량사업소|{{{#373a3c,#ddd 구로 차량사업소}}}]]가 위치하고 있을 만큼 교통의 중심지로 역할하였기 때문이다. >----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구로역'''(Guro station, 九老驛)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중앙로]] 174 ([[구로동]] 585-3)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141번)의 [[전철역]]이다. 행정동의 구역으로는 [[구로동 #s-3.5|구로5동]]에 있지만 구로5동 가운데 있지 않고, [[신도림동]]과 상당히 가깝다. 또한 [[경인선]](~[[인천역|인천]])과 [[경부선]](~[[신창역|신창]](순천향대))이 분기되는 역이기도 하다. 이와 비슷한 역으로는 [[수도권 전철 5호선]]의 [[강동역]]이 있다.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로역2023.png|width=100%]]}}} || || '''현 역사(1999년 준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ssl21364-gewehr43.jpg|width=100%]]}}} || || '''지붕공사 전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gurocho.jpg|width=100%]]}}} || || {{{#fff '''구로역에 진입하는 전동차(1998년 촬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farm8.staticflickr.com/9030346109_a41a8f0c9e_b.jpg|width=100%]]}}} || || '''1983년의 구로역 승강장''' || 수도권 전철 개통 5년전인 1969년에 경부선과 경인선의 분기지점으로서 구로[[신호장]]이 개설되었으며, 1973년에 잠시 폐역한 후 1974년에 수도권 전철용 승강장을 마련해 역으로 승격했다. [[경부선]] 계통과 [[경인선]] 계통의 분기점으로, 수도권 전철 최초의 환승역이다. 구로역의 경우 동 노선 간 환승(1호선-1호선)역인지라, 수도권 전철 최초의 타 노선과의 환승역은 1980년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이 지어지면서 환승역이 된 [[신설동역]]이다. 이 역부터 일부 급행 열차 상행은 완행이 되고, 하행은 그 반대로 여기서부터 급행이 된다. 물론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s-2.2.3|동인천특급]] 같은 예외도 있지만, 그런 열차들은 운행 횟수가 적다. '''[[수도권 전철 1호선 #s-13.1|{{{#0052a4 1호선 천안/신창급행}}}]]''' 열차는 정차한다. [[청량리역]]부터 구로역까지 각역정차하고 다음 역인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부터 급행으로 운행하기 시작한다. 반대로 천안/신창발 청량리급행 열차는 가산디지털단지역까지만 급행으로 운행한 뒤 '급행' 표시를 떼고 평범한 청량리행이 되어 각역정차하기 때문에 구로역에서는 완행열차와 다를 바 없다. 1995년에 [[구일역]]이 개통하기 전까지만 해도 인천 방향 다음 역이 [[개봉역]]이었고, 당시 수원 방향의 다음 역이 [[가산디지털단지역|가리봉역]]이라서 이것 때문에 헷갈려서 열차를 잘못 탄 사람이 많았다.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철역 사무직이 [[코레일네트웍스]] 등의 자회사 직원으로 대체되는 와중에도, 구로역의 규모와 운전 취급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이 역은 직영으로 운용되고 있다. 이 역에도 [[광운대역]], [[병점역]]과 같이 승무사업소([[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구로승무사업소)가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중에서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소속 열차]]는 이 역에서 승무교대를 한다. || [[파일:서울구로.jpg]] || || 1980년대의 서울역 ~ 구로역 간 신설 계획도 || 1980년대 후반 철로용량이 포화상태에 가까워지고, 차내[[혼잡도]]가 극에 이르다시피 했던 1호선에 대한 대책으로 3복선화와 함께 구로역~[[신도림역]]~[[영등포역]]~[[대방역]]~여의도([[여의도한강공원|고수부지]])역~서부[[용산역]]([[용산전자상가]])~[[남영역]]~[[서울역]]에 이르는 전철 노선이 입안되었다. 구로역에서 대방역까지는 기존 경부선과 병주하다가 여의도 구간으로 잠깐 빠진 후 용산쯤부터 다시 경부선 옆에 붙어 서울역까지 가는 형태로 계획했다. 그러나 이 대안은 토지보상비가 너무 많이 들었고, 따라서 구로역에서 서울역까지 경부선 선로 자체를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 #s-2.6|3복선]]으로 확장하는 대안이 선택됨으로써 폐기되었다. 영등포에서 여의도를 경유해 서울역으로 올라가는 노선은 --[[서울 지하철 10호선]]과-- [[신안산선]], [[GTX B선]]으로 일부 계승되었다. 이 중 GTX B선은 신안산선이 경유하지 않는 [[용산역]]도 경유할 예정이므로 사실상 GTX B선이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 역 규모 === 열차를 탈 수 있는 승강장이 1~9번으로 대한민국 전철역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역은 [[경인선]]과 [[경부선]]의 분기가 되는 역이어서 두 노선의 승강장이 나뉘어 있고, 인근에 [[구로차량사업소]]가 있어서 입·출고하는 열차들을 위한 승강장도 따로 마련되어 있으며, 급행 승강장도 따로 있기 때문이다. 9개 승강장 중에서 7번 승강장을 제외한 나머지 8개 승강장은 최소한 1시간에 1대씩 열차가 운행된다. 시간표를 보면 4개 열차가 서로 다른 승강장으로 동시에 들어오는 경우도 찾을 수 있다. 7번 승강장은 주로 입출고 열차가 사용하는 예비 승강장이나,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2.1|용산 급행]]열차가 7번 승강장에 정차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5번 승강장과 6번 승강장의 과주 여유거리 부족으로 동시에 열차를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1번 승강장과 2번 승강장도 과주 여유거리가 부족하지만 1번 승강장의 [[안전측선]] 때문에 동시에 열차를 받을 수 있다. 발착 승강장이 갑자기 바뀌는 경우 역 안에 있는 행선 안내기에 반영되지 못해 열차가 지나갔는데도 "6홈 용산급 구로 접근" 상태로 남아있는 현상이 가끔 발생하기도 한다. 구로차량사업소 입출고 차량은 5~9번 승강장으로만 진출입이 가능하며, 1~4번 승강장으로 직접 입출고는 불가능하다. 이는 경인선 [[복복선|2복선]]화 공사의 산물로, 1~4번 승강장이 더 나중에 지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구로행의 경우 오류동역~개봉역 구간 운행중 2선(완행선)에서 1선(급행선)으로 갈아탄 후에 당 역에서 종착한다. [[인천역]]에서 출발하는 구로행의 경우 개봉역에서 1선(급행선)으로 갈아탄 후, 구로 이북에서 출발하는 구로행의 경우 신길역에서 1선(급행선)으로 갈아탄 후 구로역에서 종착한다. [[신도림역]] 방면 선로는 1번 승강장이 안전측선 때문에 25km/h, 2번 승강장이 분기기 때문에 55km/h 속도 제한이 걸려있어 신도림역까지 거의 제 속도를 내지 못한다. 3번 승강장에서 출발한 [[가산디지털단지역]] 방면 열차도 제 속도를 내지 못하는 건 마찬가지이다. 경인선과 경부 1선, 구로차량기지 입출고선 위를 넘는 고가선로를 지나는데다 커브도 심해서 제 속도를 내지 못한다. 5번 승강장은 플랫폼 중간에 6번선 방면으로의 [[건넘선]]이 있는데, 이는 원래 구로역이 6량 대응 승강장으로 만들어졌었기 때문이다. 6량 시절에는 플랫폼 밖에 있었던 것이, 10량으로 확장하게 되면서 플랫폼 도중에 있게 된 것이다. 이런 이유로 구로역에 정차한 상태로는 바로 [[구로차량사업소]]로 입고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신도림역]] 방면으로 80m 정도 이동한 뒤 입고한다. 가산디지털단지역 방면에서 올라온 구로행 열차가 애매하게 역에 걸친 채로 정차해 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는 게 바로 이 때문이다. [[용산역]] 방면 급행선 출고 열차는 6번 승강장, 완행열차의 입출고는 주로 7번 승강장, 동인천역 방면 급행선 출고 열차는 8번 승강장, 가산디지털단지역 방면 출고 열차는 9번 승강장을 사용한다. 경인선, [[경원선]] 계통의 완행열차는 구로역 선로 구조상 바로 완행선으로의 출고가 불가능하다. 구일역 방면 출고 열차는 개봉역까지 급행 선로로 운행한 후 오류동역 진입 직전에 건넘선을 넘어가 완행 선로를 달리며, 신도림역 방면 열차는 구로역을 출발하자마자 바로 평면교차를 여러 번 하여 신도림역 완행 승강장까지 넘어간다. 배선도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신도림 방면으로 출고하는 열차는 평면교차가 세 번이나 발생하고, 구로 ~ 신도림 사이 완행, 급행 선로 4개를 모두 마비시키기 때문에 출발부터 지연이 되는 경우가 간혹 있으며 이 주변을 지나는 열차에도 영향을 준다. 반대로 신도림역 방면에서 오는 구로 종착 열차는 영등포역 진입 전에 미리 급행 승강장으로 들어와 영등포~구로 구간에서 급행 선로로 주행한다. 그래서 1호선에 구로행이 상당수 있는 것이며, 심지어 용산 ~ 구로 구간에 각역정차하며 속도도 완행과 똑같음에도 급행 선로를 달린다는 이유로 급행 이름이 붙은 '구로 급행'도 존재했다. 그래서 이런 구로 급행은 [[철도 동호인]]들에게 '구라 급행'이라고 불렸다. 지금은 대부분의 용산발 구로행 열차는 '구로행'으로만 표기하나, 드물지만 '구로 급행'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그런데 급행선에서 달리는 구로행의 경우 구형 차량(2020년대 초에 전량 운행이 종료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신저항 전동차]] 등) 비율이 월등히 높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완행보다 더 느렸다. 차량 성능도 그렇지만, 실제로 선로 규격이 더 낮기 때문에 [[용산역|용산]] ~ 구로 간 운행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2019년 12월 대개편 이후 [[경부선 급행]] 열차들이 모두 완행 선로로 넘어가면서 [[경인선 급행]]과 [[수도권 전철 1호선/광명셔틀|광명셔틀]], 일부 화물 열차만 급행선을 이용하므로 지금은 급행선의 선로 용량이 예전보다 널널해졌다. 이 때문에 완행선에서 지연 등으로 서행운전을 하게 되면 똑같이 각역정차해도 대부분 급행 선로가 조금 더 빠르다. 반대의 경우로 동인천 ~ 구로 구간에서 급행선으로 운행하는 구로 급행이 있다. 이 열차는 별다를 것 없고 구로역까지 용산 급행과 동일한 운행 방식이다. 개통 당시에는 5~9번 승강장밖에 없었는데 이때에도 당시 수도권 전철에서 가장 많은 승강장을 가진 역이었다. 나머지 승강장은 1991년 [[영등포역|영등포]]~구로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 #s-2.6|3복선]]화 공사와 함께 설치되었으며, 승강장끼리 환승할 수 있는 환승 통로도 만들어졌다. 승강장 규모에 비해 역사가 그리 큰 편은 아니지만, 이 역사도 승강장처럼 증축하고 증축해서 현재처럼 된 것이다. 특히 지금의 1번 출구와 2번 출구에서 볼 수 있는 역사 건물은 개통 당시에는 없었고, 1991년에 만들어졌다. 2024년에는 역사가 추가 확장될 예정이다.[* [[http://www.r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93|「한국철도, 수도권 노후 전철역 7곳 개량 순항 '2024년 말부터 선보여'」]], 철도경제, 2022-04-05] 플랫폼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넓어서 주의해야 하며 발이 빠지는 사고가 굉장히 많이 발생한다. === 홈 별 간단한 팁 === 1번 홈은 [[서동탄역]], [[천안역]], [[신창역]]에서 오는 열차가, 2번 홈은 [[인천역]]에서 오는 열차가 사용한다. 따라서 1번 홈의 열차는 어느 열차든 [[광운대역]]까지만 가므로, 목적지가 광운대 이북([[월계역|월계]]~[[소요산역|소요산]]) 구간이라면 무조건 2번 홈을 이용해야 한다. 1번 홈과 2번 홈에 열차가 동시에 진입한 상황이면 대체로 1번 홈 열차가 먼저 출발한다. 대합실과 환승 통로의 전광판을 보고 어느 홈에 열차가 먼저 오는지 확인한 후 가는 것이 좋다. 5~9번 홈은 열차가 드물게 오기 때문에 시간표를 잘 보고 타야 한다. 특히 구로 종착(서동탄, 천안, 신창 출발), 광명발 영등포행([[수도권 전철 1호선/광명셔틀|광명셔틀]]) 열차가 사용하는 5번, 인천, 소요산 방면 일부 출고 열차, 인천, 소요산에서 온 구로 종착 열차, 일부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2.1|용산급행]]·[[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2.3|특급]] 열차가 사용하는 7번, 영등포발 광명행, 구로발 가산디지털단지 방면 출고 열차가 사용하는 9번은 열차가 드물게 운행하므로 시간표를 잘 보고 타야 한다. [[부평역|부평]]행, [[동인천역|동인천]]급행, [[인천역|인천]]행, [[광명역|광명]]행, [[병점역|병점]]행, [[서동탄역|서동탄]]행, [[천안역|천안]]행, [[신창역|신창]]행 열차를 잘못 탔을 경우 맞는 방향의 열차로 갈아탈 수 있는 1호선의 마지막 역이다. 하지만 이럴 경우 전 역인 [[신도림역|신도림]]에서 갈아타는 것이 훨씬 좋고, 출퇴근 시간대에는 신도림역이 환승인파로 매우 혼잡하기 때문에 전 역인 [[영등포역]]에서 갈아타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왜냐하면 구로역에서는 인천 방면(4번)과 천안· 신창 방면 플랫폼(3번)이 다르기 때문이다. 열차 안에서도 신도림역 안내방송이 나올 때면 구로역에서 갈아타면 불편하므로 미리 내려 갈아타라고 안내한다. 다른 것뿐만 아니라, 위의 설명을 보다시피 플랫폼 숫자가 많아서 헷갈리는 데다 사고가 발생한 경우나 막차 시간대 등에는 방송으로 플랫폼이 바뀌었다느니 하는 이야기도 가끔 나오기 때문에 정신을 차릴 수가 없다. 그래서 막차 즈음 구로역으로 들어오는 열차들의 다수는 완행 선로로 운행하다가 급행 선로로 넘어와 내릴 때는 급행 승강장인 경우가 더러 있다. 승강장 중간의 환승통로에는 출구가 없으니 선상역사와 헷갈리지 말아야 한다. 환승통로와 출구가 같이 있는 줄 알고 승강장 중앙의 계단을 올라갔다가 출구를 찾지 못해 헤매는 경우가 많다. 출구는 구일/가산디지털단지역 방향 승강장 맨 끝에만 있고 환승 통로는 승강장 중간쯤에 있다. 나가는 곳, 갈아타는 곳 표지판을 잘 보고 따라가야 한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GurostationSibal.jpg|width=300]]}}}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attachment/guro2.jpg|width=300]]}}} || ||<#ffffff>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attachment/wuxt.jpg|width=300]]}}} || || 7번 승강장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시발나가.jpg|width=100%]]}}} || || '구로역 시발'과 '나가는 곳' 표지판을 찍은 '시발 나가' 짤방 ||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991399|7번 승강장 스크린도어 역명판]]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7번 홈 안내판에는 구로역 [[시발]]([[始]][[發]])이라 쓰여 있다. 물론 '출발점'이라는 뜻이고 저 안내판은 구로역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정차하는 승강장이라는 뜻이며 스크린도어에도 양방향을 모두 표기해 놨지만, '[[씨발]]'이라는 욕설이 먼저 떠오를 수 있어 이와 관련한 짤이 돌아다닌다. 2012년에 선상역사-출구 연결 엘리베이터가 설치됐다. 선상역사에서 승강장까지는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휠체어 및 유모차 이용시 직원호출이 필요하다. 2023년부터 기존 역사 개량 및 편의시설(승강장 엘리베이터 등) 확충을 위한 리모델링이 시작될 예정이다. === 일부 행선지의 [[개념환승]] === 2번 홈과 3번 홈이 붙어있는데, 이 특징 때문에 [[인천역|인천]]에서 완행열차를 타고 구로역으로 온 승객들은 [[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 방면 열차(2019년 12월 30일 개편 후 완행,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1|급행(A)]] 모두 포함)로 3초 환승을 할 수 있다. 분기역인 만큼 신창 방면 열차를 기다리는 시간이 조금 길 뿐이다. 이 역의 4가지 평면환승 방법 중 제일 많이 쓰이는 개념환승이다. 4번 홈과 5번 홈이 붙어 있다는 것도 구로역이 가진 개념환승 방법 중 하나인데, 수원, 천안 쪽에서 구로행 열차를 타고 구로역으로 온 승객들이 인천행 완행열차로 3초 환승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부선에서 올라오는 열차는 대부분 1번 홈으로 들어가기에 5번 홈으로 들어가는 구로행 자체가 매우 적다는 것이 약점이다. 그러나 반대로 늦은 밤 시간대에는 [[구로차량사업소]] 입고를 위해 5번 홈에 들어가는 구로행이 많아지는데, 이 때 인천 방면으로의 환승은 개념환승이 된다. 그리고 이 시간대에는 8번 홈에서 탈 수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2.1|동인천 방면 급행열차]]도 거의 끊기기 때문이다. 6번 홈과 7번 홈의 경우도 붙어 있기는 하지만 별 의미가 없이 통행 방향만 바뀌는 형태가 될 수도 있고, 7번 홈의 열차들 자체가 운행을 마치고 기지로 들어가거나 운행을 막 시작하는 열차들만 오는 곳인지라 큰 장점은 없다. 때에 따라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2.1|동인천발 용산 급행]]이 7번 홈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 [[구로역/막차|막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로역/막차)] == 역 주변 정보 == 출구는 모두 역의 남서쪽 끝에 위치해 있다. 구로역 이용률이 높은 신도림동 [[e편한세상|대림]], 구로5동 [[롯데아파트|롯데]]·신도림[[현대아파트|현대]] 등 인근의 아파트단지는 모두 구로역 기준 북동쪽에 있는데, 북동쪽에는 출입구가 하나도 없다. 또한 태영프라자 삼거리에 있는 '신도림동·구로역' 정류장은 역 이용을 위해 남쪽으로 400미터 이상 걸어와야 해서 연계가 매우 부실하다. 그렇기 때문에 버스정류장 연계도 개선할 겸 구로역 북동쪽에 신도림동·구로5동 방향으로 출구(일명 '동문 출구')를 신설해달라는 주민 요구가 예로부터 지속적으로 있어왔다. 하지만 기술적 어려움과 토지 보상 문제로 인해 수십 년째 논의 단계에서 표류하고 있으며, 현재는 선거철에나 가끔 언급되다 마는 화제로 전락한 상황이다. 2023년부터 진행될 구로역 리모델링안에도 기존 역사 개량과 편의시설 확충 등이 계획되어 있지만, 동문 출구 신설은 포함되지 않았다. 대신 기존 구로역광장(2·3번 출구) 방향으로 작은 출구를 하나 더 내는 계획이 조감도상에 반영되어 있다. '''1번 출구'''는 [[NC백화점 신구로점|NC백화점]](구 [[AK플라자 #s-7.1|AK플라자]]) 2층과 [[구름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백화점 내에 [[CGV 구로]]점이 있다. 주변으로 나오면 [[푸드 트럭]]들이 늘어서 있다. 나란히 붙어있는 '''2·3번 출구'''는 공구상가로 출퇴근하는 사람들과 인근의 [[신도림동]] 거주자, 버스로 목동 방면으로 환승하려는 사람들이 이용한다. 2번 출구는 계단만 있는데, 에스컬레이터로 된 3번 출구가 2014년 신설된 후로는 사람이 거의 다니지 않는다. 출구로 나오면 눈앞에 구로기계공구상가단지가 펼쳐져 있다. * 1번 출구: 구로5동주민센터, [[구로구청]], [[구로구보건소]], [[서울구로경찰서]] 방면, 구로초등학교, 한국전력구로변전소, 구로119안전센터, [[영림중학교]], [[구로고등학교]], [[구로중학교]], 나인스에비뉴, [[NC백화점 신구로점]], 신구로지구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 2, 3번 출구: 신도림동주민센터, [[신도림중학교]], 신도림초등학교, 구로기계공구상가단지, [[구현고등학교]], 구로역광장, [[서울신미림초등학교]]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74년 || 13,299명 || || || 1975년 || 15,891명 || || || 1976년 || 19,977명 || || || 1977년 || 28,763명 || || || 1978년 || 39,721명 || || || 1979년 || 45,563명 || || || 1980년 || 42,270명 || || || 1981년 || 44,958명 || || || 1982년 || 46,493명 || || || 1983년 || 52,567명 || || || 1984년 || 57,182명 || || || 1985년 || 51,487명 || || || 1986년 || 48,021명 || || || 1987년 || 49,575명 || || || 1988년 || 47,628명 || || || 1989년 || 45,885명 || || || 1990년 || 47,995명 || || || 1991년 || 37,714명 || || || 1992년 || 39,404명 || || || 1993년 || 44,680명 || || || 1994년 || 50,811명 || || || 1995년 || 51,037명 || || || 1996년 || 49,483명 || || || 1997년 || 48,980명 || || || 1998년 || 46,404명 || || || 1999년 || 45,815명 || || || 2000년 || 41,040명 || {{{#fff,#1f2023 비고}}} || || 2001년 || 49,379명 || || || 2002년 || 67,327명 || || || 2003년 || {{{#0052a4 76,313명}}} || || || 2004년 || 53,356명 || [* 해당 연도까지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0000000|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 || 2005년 || 52,120명 || || || 2006년 || 51,998명 || || || 2007년 || 51,597명 || || || 2008년 || 51,237명 || || || 2009년 || 51,175명 || ||}}}}}}}}} || || 2010년 || 50,323명 || || || 2011년 || 50,764명 || || || 2012년 || 48,352명 || || || 2013년 || 46,575명 || || || 2014년 || 46,065명 || || || 2015년 || 45,929명 || || || 2016년 || 44,342명 || || || 2017년 || 43,126명 || || || 2018년 || 42,353명 || || || 2019년 || 41,166명 || || || 2020년 || 30,103명 || || || 2021년 || 31,452명 || || || 2022년 || 33,120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 [[경부선]]과 [[경인선]]이 갈라지는 철도 교통 요충지로서 일평균 5만 명 가량이 꾸준히 이용하던 역이었다. 그러나 남서-북동 방향의 [[경인로]]와 북서-남동 방향의 [[구로중앙로]]를 불문하고 버스정류장들이 애매하게 위치해 있는 관계로, 버스노선과의 환승이 불편하다는 단점과 더불어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과 직접 연결되는 [[신도림역]]으로 수요가 쏠리면서 평일 이용객이 점점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 경인로는 특히 심한데, 이유는 구로역의 출입구가 3개(사실상 2개)뿐이고, 그마저도 남서쪽 끝에 쏠려 있기 때문이다. 코리아빌딩 삼거리에 '신도림동·구로역' 버스중앙차로 정류장이 있지만 구로역과의 거리가 상당하다. * 1번 출입구와 붙어 있는 버스정류장이 있는데 [[서울 버스 5611|5611번]]만 정차하고, 배차 간격이 [[카카오맵]] 기준 평일 17분, 주말 21분으로 서울이라는 점을 생각할 때 [[농어촌버스]]에 준하는 수준이라서 큰 의미가 없다. * 2012년에 5만 명대가 붕괴한데 이어 2016년에는 4만 5천 명 선마저 무너졌다. 이런 추세로 구로역을 이용하는 평일 승객 수는 점점 더 감소하고 [[경인로]] 연선에서 [[신도림역]]을 잇는 [[버스]]들의 이용률이 점점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주말 수요는 반대로 [[NC백화점 신구로점]](구 [[AK플라자]]) 덕분으로 매번 혼잡하다. 2019년에는 백화점 폐점으로 인해 대폭 감소할 것으로 보였으나, 1000명 정도밖에 줄지 않았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guro3.jpg|width=400]]}}} || || '''스크린도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로역_역명판.jpg|width=400]]}}} || || '''역명판''' || 5면 11선의 4상대+섬식 승강장이며 전국의 도시철도 전용 역 중 가장 많은 승강장을 가지고 있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운용 중에 있다. 이 역의 4번·5번 승강장은 [[구일역]]·[[가산디지털단지역]] 방향으로 가면 갈수록 두 승강장의 높이 차이가 나고 단차가 생겨서 두 승강장 사이에는 계단이 있다. 높이는 4번 승강장이 더 높다. 3번 승강장 1-4번 플랫폼 기둥에 영문 표기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으로 된 철도청 시절의 구형 역명판이 마지막까지 남아있다가 교체되었다. 1990년대 중후반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https://blog.naver.com/jaddong31/221749295317|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20> [[신도림역|신도림]] || || {{{#ffffff 1}}} || ↑ || ↑ || {{{#ffffff 2}}} || {{{#ffffff 3}}} || ↓ || ↓ || {{{#ffffff 4}}} || {{{#ffffff 5}}} || ↑ || ↑ || {{{#ffffff 6}}} || {{{#ffffff 7}}} || ↕ || ↓ || {{{#ffffff 8}}} || {{{#ffffff 9}}} || ↓ || {{{#red ↑}}} || {{{#red ↓}}} || ||<-20> [[구일역|구일]]·[[가산디지털단지역|가산디지털단지]] || 맨 오른쪽 두 개의 선로는 일반열차 통과선이다. ||<:>{{{#ffffff 1}}}||<|9>[[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상행||[[서울역]]·[[청량리역|청량리]]·[[광운대역|광운대]] 방면[br]{{{-2 [경부선 완행·{{{#red 경부선 A급행}}}][br][첫차(당역시발)]}}}|| ||<:>{{{#ffffff 2}}}||<:>상행||[[의정부역|의정부]]·[[동두천역|동두천]]·[[소요산역|소요산]] 방면[br]{{{-2 [경인경원선 완행·{{{#red 경원선 급행}}}][br][첫차(당역시발)]}}}|| ||<:>{{{#ffffff 3}}}||<:>하행||[[서동탄역|서동탄]]·[[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 방면[br]{{{-2 [경부선 완행·{{{#red 경부선 A급행}}}]}}}|| ||<:>{{{#ffffff 4}}}||<:>하행||[[부천역|부천]]·[[부평역|부평]]·[[인천역|인천]] 방면[br]{{{-2 [경인경원선 완행·{{{#red 경원선 급행}}}][br][첫차(당역시발)]}}}|| ||<:>{{{#ffffff 5}}}||<:>상행||[[영등포역|영등포]] 방면[br]{{{-2 [광명셔틀]}}}|| ||<:>{{{#ffffff 6}}}||<:>상행||[[용산역|용산]] 방면[br]{{{-2 [{{{#red 경인선 급행}}}·{{{#blue 경인선 특급}}}][br][일부 상행(당역시발)]}}}|| ||<:>{{{#ffffff 7}}}||<:>상·하행||[[인천역|인천]]·[[용산역|용산]]·[[소요산역|소요산]] 방면[br]{{{-2 [경인경원선 완행·{{{#red 경인선 급행}}}(당역시발)]}}}|| ||<:>{{{#ffffff 8}}}||<:>하행||[[부천역|부천]]·[[부평역|부평]]·[[동인천역|동인천]] 방면[br]{{{-2 [{{{#red 경인선 급행}}}·{{{#blue 경인선 특급}}}][br][{{{#red 경인선 급행}}}(당역시발)]}}}|| ||<:>{{{#ffffff 9}}}||<:>하행||[[광명역|KTX광명]]·[[서동탄역|서동탄]]·[[신창역|신창]] 방면[br]{{{-2 [광명셔틀][br][경부선 완행·{{{#red 경부선 A급행}}}(당역시발)]}}}|| ||<-2> '''노선 및 방면''' || '''출입문''' || '''비고''' || ||<|2>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경부선 [[광운대역|광운대]] 방면) ||→ 출구||10-4||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인천역|인천]] 방면) ||3-4, 6-1, 10-4|| || ||<|3>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경인선 [[소요산역|소요산]] 방면) ||→ 출구||10-4||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신창역|신창]] 방면) ||4-1, 4-2, 5-3, 5-4를 제외한 모든 문||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천안역|천안 급행]], [[광명역|광명 셔틀]]) ||3-4, 6-1, 10-4|| || ||<|2>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경부선 [[신창역|신창]] 방면) ||→ 출구||1-1||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인천역|인천]] 방면) ||1-1, 5-4, 8-1|| || ||<|2>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경인선 [[인천역|인천]] 방면) ||→ 출구||1-1||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신창역|신창]] 방면) ||1-1, 5-4, 8-1|| || ||<|3>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천안역|천안]]발 [[용산역|용산 급행]]) ||→ 출구||10-4||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인천역|인천]] 방면) ||4-1, 4-2, 5-3, 5-4를 제외한 모든 문||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동인천역|동인천 급행]]) ||3-4, 6-1, 10-4|| || ||<|2>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동인천역|동인천]]발 [[용산역|용산 급행]]) ||→ 출구||10-4||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신창역|신창]] 방면) ||3-4, 6-1, 10-4||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1호선 ([[동인천역|동인천 급행]]/[[천안역|천안 급행]]) ||→ 출구||1-1|| || ||<#ffffff> [[파일:구로역.png]] || || [[https://ko.wikipedia.org/wiki/%EA%B5%AC%EB%A1%9C%EC%97%AD|구로역 배선도]] || 해당 이미지는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5.2.3|(구)경부선 급행]]이 [[용산역|용산]]까지 운행하던 시기에 만들어졌으며 (5번 및 9번 승강장), 현재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1|경부선 A급행]]은 완행 열차와 같은 승강장에 정차한다. 연두색의 경부 1선은 일반 열차들이 이용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 #s-4.3.2|서울역 급행(경부선 B급행)]] 열차 또한 구로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일반 열차가 이용하는 경부 1선을 이용한다. == 사건·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2006년 1월 19일, 구로역~안양역 전력공급 중단으로 모든 전철과 KTX가 운행 중단되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06/nwdesk/article/1983986_29291.html|「국철 1호선 구로역-안양역 전력공급 중단으로 전철.KTX 운행 중단[박상권]」]], MBC, 2006-01-19] 2014년 7월 30일 오전 10시쯤 화재가 일어났다. 화장실에서 시작된 화재로 밝혀졌으며 진압에는 20분이 채 소요되지 않았고 인명피해 또한 없었으나 신호에 문제가 생겨 2시간 정도 열차 운행이 불가하였고, 그 후 정상 복구되었다. 2016년 1월 25일 오전 6시 8분쯤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한 시민이 선로 위로 투신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최초 신고자인 기관사는 처음에 사람을 친 것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한다. 코레일 관계자는 “전동차가 승강장에서 출발 직후 선로에 누워있던 시민을 발견하지 못하고 치었다. 자살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1호선 구로역 급행승강장과 종착승강장은 스크린도어가 없다. 이 시민은 현장에서 숨졌다. 사고 수습 과정에서 전체 4개 선로 중 인천 방향 급행 선로 1개를 통제하면서 10개 열차가 5분~20분 가량 지연 운행됐다. 인천→서울 방향 2개 선로는 정상 운행됐다. 오전 7시 37분에 수습이 완료되면서 다시 정상 운행되었다. 처음에는 시신이 여성의 것으로 알려졌지만 조사를 한 결과 18세 남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은 사고 원인을 자살로 추정하고 있다. 2020년 6월 23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대중교통 탑승 시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된 상황에서 마스크를 하지 않은 40대 여성 때문에 소란이 일어나면서 운행이 약 7분간 지연되는 일이 있었다. 해당 여성은 업무방해 혐의로 체포되어 조사를 받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9930463?sid=001|「"마스크 좀 씁시다" 말에 난동…지하철이 7분간 멈췄다」]], 뉴시스, 2020-06-23] == 여담 == * [[KBS 2TV]]에서 방영하는 [[다큐멘터리 3일]]에서 이 역을 주제로 방영한 적이 있다. (59회, 2008년 7월 19일 '서민들의 인생 분기점, 구로역') 그리고 이곳에서 나온 일반인의 인생에 관한 명언이 [[짤방]]으로 많이 퍼져 있다.[* [[https://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bestofbest&no=89800|관련 게시글]], 출처: 오늘의유머] 그러나 이 방영분은 유튜브에 업로드되어 있지 않다. * 게임 개발사 나딕게임즈가 벨트스크롤 액션 게임인 [[클로저스]]에서 [[\(구\)구로역|구로역]] 자체를 메인 스토리 맵으로 구현했다. * [[김포공항]]으로 들어오는 국내선 항공기가 이 부근을 거쳐 가기 때문에 오른쪽 창가 좌석에 앉을 경우 이 역을 상공에서 볼 수 있다.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인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부선의 역 목록)] [include(틀:구로기지선의 역 목록)]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version=110)] [[분류:1969년 개업한 철도역]][[분류:구로구의 도시철도역]][[분류:분기역]][[분류:경인선의 도시철도역]][[분류:경부선의 도시철도역]][[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인터넷 밈/교통/대한민국]][[분류:서울 미래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