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BS 월화 드라마(2006~2010))] ||<-3> {{{#fff '''[[KBS|[[파일:KBS 로고(1984-2023).svg|height=12]]]] 월화 드라마'''[br][[파일:구미호 여우누이뎐 로고.png|width=75]] (2010)[br]''Grudge: The Revolt of Gumiho''}}}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구미호 여우누이뎐 포스터.jpg|width=100%]]}}} || ||<-2> '''장르''' ||[[호러물|공포]], [[스릴러]], [[미스터리]], [[서스펜스]], [[느와르]], [[다크 판타지]], [[사극]], [[고어]] , [[복수물|복수]] || ||<-2> '''방송 시간''' ||[[월요일|{{{#373A3C,#DDDDDD 월}}}]] · [[화요일|{{{#373A3C,#DDDDDD 화}}}]] / 오후 9:55 ~ 오후 11:05 || ||<-2> '''방송 기간''' ||[[2010년]] [[7월 5일]] ~ [[2010년]] [[8월 24일]] || ||<-2> '''방송 횟수''' ||16부작 || ||<-2> '''방송 분량''' ||회차 당 70분|| ||<-2> '''제작''' ||KBSi, 브로드스톰 || ||<-2> '''채널''' ||[[한국방송공사|[[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50]]]] || ||<-2> '''추가 채널''' ||[[KBS drama|[[파일:KBS drama 로고.svg|width=50]]]] | [[KBS Story|[[파일:KBS Story 로고.svg|width=50]]]] || ||<|3> '''제[br]작[br]진''' || '''제작''' ||박준서, 안제현, 신상윤 || || '''연출''' ||이건준, 이재상 || || '''각본''' ||오선형, 정도윤[* 대표작으로 [[동안미녀]], [[마녀의 법정]] 등이 있다.] || ||<-2> '''출연''' ||[[한다감]][* 2018년 이후로 한다감으로 예명을 바꾸었다가 정식으로 개명하였다.], [[장현성]], [[김유정(배우)|김유정]], [[서신애]] 外 || ||<-2>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FFFFFF,#DDDDDD 시청 등급}}}]]''' ||[[15세 이용가|[[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5]]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2> '''촬영기간''' ||2010년 5월 20일 ~ 8월 || ||<-2> '''스트리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wavve|[[파일:wavve 로고.svg|height=11]]]] [[https://www.wavve.com/player/vod?programid=K02_T2010-0550&autoplay=y|▶]]|[[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45&bgcolor=#fff]]]] [[https://watcha.com/?utm_campaign=metadata&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 || ||<-2> '''타이틀 곡''' ||'피눈물' - [[리사(한국 가수)|리사]] [[https://youtu.be/idaOleXgt-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2> '''링크''' ||[[http://www.kbs.co.kr/drama/2010gumih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gall.dcinside.com/list.php?id=2010gumiho|[[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5]]]][* 갤러리에 연이 역 배우 [[김유정(배우)|김유정]]의 어머니가 인증글을 남겼다. 10년이 넘은 세월이 지난 현재는 수인 마이너 갤러리의 임시용 대피소로 전락한 상태.] || [목차] [clearfix] == 개요 == || 구미호 설화의 뒷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10년이 되던 날 약속을 깨뜨린 남편을 떠나던 구미호에게 반인반수(半人半獸)의 피가 흐르는 어린 딸이 있었다는 설정을 담은 작품 || [[2010년]] [[7월 5일]]부터 [[2010년]] [[8월 24일]]까지 [[국가가 부른다(드라마)|국가가 부른다]]의 후속으로 방영한 [[한국방송공사|KBS]] 납량특집 월화 미니시리즈. == 마케팅 == === 포스터 === || '''{{{#D90404 공식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미호 여우누이뎐 포스터.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미호 여우누이뎐 포스터 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미호 여우누이뎐 포스터 3.jpg|width=100%]]}}}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RKWivVt968)]}}}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QEnvHNJ-TY)]}}} || || '''1차 티저''' || '''2차 티저''' || ||[youtube(lxwfHT07ecw)] || || '''메인 예고''' || == 기획의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구미호 여우누이뎐 포스터 2.jpg|width=100%]]}}} {{{+5 어느날, 구미호가 우리 가족이 되었습니다.}}}. {{{+1 서스펜스 호러 사극}}}. 여름은 호러의 계절이다. 지금까지도 세대를 뛰어넘어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구미호’는 한국인에게 가장 어필하는 공포의 원형이자, 흥행의 보증수표로 통해왔다. ‘구미호: 여우누이뎐’은 대중성과 신선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최초의 장편 버전의 ‘구미호’다. 원저 ‘구미호’의 대중적인 강점에, 모성과 복수극의 보편적인 스토리 전개를 합쳐 서스펜스 호러 사극을 선보이고자 한다. {{{+1 구미호, 그 뒷이야기}}}. 오직 인간이 되고자 10년의 모진 세월을 견뎠으나 하필 10년이 되는 그 전날 밤 약속을 깨뜨린 남편 때문에 뜻을 이루지 못하고, ‘더러운 것이 정이라더니……’라는 명대사를 남긴 채 홀연히 사라진 구미호. 그런데 여기서 잠깐! 남편을 떠나던 그날 밤, 구미호는 혼자가 아니었다! 남편과 여우인 자신 사이에서 태어난 어린 딸과 함께였다. 그 후 반인반수의 피가 흐르는 딸과 구미호에겐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1 안타까운 사랑 이야기}}}. 인간을 사랑한 죄로 반인반수의 딸을 낳게 된 구미호. 어리고 연약한 딸을 보호하기 위해 다시 인간 세상에 내려오게 된 그녀. 하지만 그녀를 선택한 사람은 죽어가는 딸을 둔 아버지, 윤두수였다. 하나밖에 없는 딸을 살리기 위해 산 아이의 간을 구해야 하는 남자는 구미호의 딸 연이를 죽여야만 하는 극한의 순간에 내몰리고 사실을 모르는 구미호는 가족처럼 감싸주는 남자의 모습에 마음이 열리면서 인간을 또 사랑하고 인간에게 또 상처받는 운명과 맞닥뜨리게 된다. 그리고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구미호를 마침내 사랑하게 된 이 남자. 구미호에 대한 진실한 사랑을 깨닫고 그녀와의 사랑을 이루고자 한다. ‘구미호: 여우누이뎐’은 인간보다 깊은 정을 지닌 구미호와 부성을 가진 인간의 딜레마가 빚어내는 안타까운 사랑이야기이다.|| == 특징 == 전 16화. 제목이 '구미호 여우누이'''뎐''''임에 유의.[* '뎐'은 '전'의 옛말로 PD에 의해서 사극임을 표방하기 위해서 '뎐'으로 표기한 것임이 밝혀졌다.[[https://www.starnewskorea.com/stview.php?no=2010062208203019953&type=1&outlink=1|기사]]] KBS 2009 극본공모 우수작을 받은 스토리를 바탕으로 제작한 드라마. 여러 매체에서 확대 재생산되는 [[구미호]]를 소재로 인간 사회에서 자기 딸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구미호와 때로는 그 구미호보다 더 무서운 인간들의 대립을 그리고 있다. 탄탄한 구성과 배우들의 호연을 바탕으로 시청자들로부터 많은 호평을 받았다. 사극판 [[아내의 유혹]]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아역들의 연기가 매우 뛰어났다. 특히, 연이의 혼이 빙의된 초옥을 연기한 신애 양은 청소년연기상만으로는 부족하다는 말이 있을 정도. 작중 내내 밝고 유쾌한 정서라고는 찾아보기 힘들만큼 상당히 암울하고 비극적인 색채가 짙은 드라마다. 작중에서 나오는 여러 묘사들 또한 상당히 잔인하고 섬뜩한 것들이 많으며, [[OST]] 또한 드라마의 정서에 맞는 음울하고 슬픈 느낌의 OST가 대부분. 여담으로 이러한 점들 때문에 구미호 여우누이뎐 영상이 올라와있는 유튜브 댓글들을 보면 어렸을때 이 드라마를 무서워했던 사람들이 꽤나 많은것으로 보여진다.[* 칼에 찔리는 장면이 직접적으로 나오는것은 물론이고 직접적으로 보여주기엔 좀 심하다 싶은것들은 간접적으로 묘사하는데 이 또한 잔인하게 느껴지는것은 똑같다. 그리고 윤두수가 꿈에서 초옥과 놀아주다 초옥의 얼굴을 어루만져주는데, 활짝 웃고있던 초옥의 얼굴이 곧 피칠갑이 되며 계속 웃는 장면 또한 상당히 섬뜩하다. 전체적으로 이게 한국드라마가 맞나 싶을 정도로 상당히 수위가 강하며, 작중에서 피가 안 나오는 편을 찾기가 힘들정도.] 인물의 심리를 거울을 활용하여 표현하는데, 주로 양부인과 윤두수의 대화씬에서 자주 볼 수 있다. 특히, 인간의 본성을 가장 극적으로 드러내는 극의 중심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윤두수는 거울을 더 자주 활용하여 캐릭터 서사에 초점을 맞추었다. 극적이거나 위기가 닥친 상황에서 카메라 앵글을 급확대하여 상황을 고조시키는 연출이 자주 사용된다. 인물들이 악몽에서 깨어나는 순간에도 사용되며, 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PD의 의도로 보여진다. 또한, 핸드 핼드 기법을 사용하여 다른 드라마들과 차별점을 두었다. 작중 인물들의 모습을 그림자를 이용해 인간의 외면과 내면의 이중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거나 하는 등의 장치로 활용되었다. 13회부터 '드라마의 시작점을 임충 극본의 전설의 고향 구미호편으로 삼았다'고 명시했는데 이는 1997년 [[송윤아]]가 출연한 원조 [[전설의 고향]]에서 방영된 "구미호"의 에피소드다. == [[구미호: 여우누이뎐/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미호: 여우누이뎐/등장인물)] == [[구미호: 여우누이뎐/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미호: 여우누이뎐/줄거리)] == 방영 목록 및 시청률 == * [[닐슨]] 시청률 기준. * '''{{{#blue 파란색 수치}}}'''는 최저 시청률, '''{{{#red 빨간색 수치}}}'''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 ||<|2>
{{{#000000,#e5e5e5 ''' 회차 '''}}} ||<|2> {{{#000000,#e5e5e5 ''' 방영일 '''}}} ||<|2> {{{#000000,#e5e5e5 ''' 부제 '''}}} ||<-2> {{{#000000,#e5e5e5 ''' 시청률 '''}}} || || {{{#000000,#e5e5e5 ''' TNMS ''' }}} || {{{#000000,#e5e5e5 ''' AGB닐슨 ''' }}} || || '''1회''' || [[2010년]] [[7월 5일]] || '''석 달 후, 열 살이 되는 날!''' || {{{#blue,#6378ff ''' 8.7% ''' }}} || {{{#blue,#6378ff ''' 7.3% ''' }}} || || '''2회''' || [[2010년]] [[7월 6일]] || '''우리 초옥이를 보살피거라''' || 8.8% || 7.4% || || '''3회''' || [[2010년]] [[7월 12일]] || '''네가 내 사람이 되어 준다면''' || 10.8% || 8.4% || || '''4회''' || [[2010년]] [[7월 13일]] || '''그 간도 토실토실해질 것 아닙니까''' || 10.3% || 8.5% || || '''5회''' || [[2010년]] [[7월 19일]] || '''네 운명을 탓하거라''' || 12.4% || 9.5% || || '''6회''' || [[2010년]] [[7월 20일]] || '''그 도령을 가만히 둘 수가 없다''' || 12.6% || 9.5% || || '''7회''' || [[2010년]] [[7월 26일]] || '''이제 와서 왜 이러세요?''' || 11.5% || 9.8% || || '''8회''' || [[2010년]] [[7월 27일]] || '''저 아이의 배를 가르고 간을 꺼내십시오!''' || 11.7% || 10.0% || || '''9회''' || [[2010년]] [[8월 2일]] || '''어머니!''' || 12.1% || 10.2% || || '''10회''' || [[2010년]] [[8월 3일]] || '''제가 누굽니까? 말씀해 주십시오''' || 14.7% || 12.0% || || '''11회''' || [[2010년]] [[8월 9일]] || '''내 오늘밤 네 간을 도려내!''' || 14.6% || {{{#red '''13.1%'''}}} || || '''12회''' || [[2010년]] [[8월 10일]] || '''내 새끼! ... 우리 연이가 돌아왔구나!''' || 15.3% || 12.7% || || '''13회''' || [[2010년]] [[8월 16일]] || '''죽자! 아비랑 같이 죽자!''' || 14.3% || 11.8% || || '''14회''' || [[2010년]] [[8월 17일]] || '''내가 네 딸이라도 된단 말이냐?''' || {{{#red '''16.9%'''}}} || 12.8% || || '''15회''' || [[2010년]] [[8월 23일]] || '''네 년이 더 잘 알고 있지 않느냐?''' || 13.9% || 11.3% || || '''16회''' || [[2010년]] [[8월 24일]] || '''바늘 가는데 실도 가는 거잖아요?''' || 16.1% || 12.9% || 같은 시간대에 방영되는 [[동이(드라마)|동이]]와 [[자이언트(드라마)|자이언트]] 때문에 초반 [[시청률]]은 그다지 잘 나오지 못했지만, 회차가 거듭될수록 입소문을 타며 시청률이 점점 높아졌고 드라마가 후반부에 들 무렵에는 시청률 10% 중반대를 넘어서며 이미 인기를 선점하고있던 쟁쟁한 드라마들 사이에서 망하기는 커녕 오히려 인기를 끌며 선방하였다. == [[논란]] == === [[표절]] === 2010년 10월 첫회본의 일부가 임충 작가의 "[[전설의 고향]]-[[구미호(전설의 고향)|구미호]]"편을 '''[[표절]]'''한 것으로 판명되어 해당 작가에게 1년간의 회원자격 정지 처분이 내려졌다. [[http://media.daum.net/entertain/broadcast/view.html?cateid=1005&newsid=20101010131018257&p=ned|링크]]. 이에 이 드라마의 연출 담당 PD는 [[오마주]]로 표절 의도가 있던 게 아니라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id=smn&sid1=106&oid=108&aid=0002051325&datetime=2010101108585951325|해명]]했다. === 아역배우 안전 논란 === 11회에서 구산댁이 초옥을 가두고 불을 저지르고, 2회와 10회에서 연이와 초옥이 우물에 빠져 허우적대는 장면에서 아역배우들의 안전과 관련된 논란이 발생했다. 이러한 자극적인 코드를 내세우는 드라마는 [[19세 이용가|19세 이상 시청가]] 등급을 받아야 하지만, 사극이며 설화를 기본 설정으로 내세운 점으로 [[15세 이용가|15세 이상 시청가]] 등급을 받고 있다고 한다. [[https://naver.me/FxLseiAX|기사]] === 원본 일본 곡 의혹 === 극중 인물들이 위기에 처했을 때 나오는 배경음악이 원본이 일본 곡이 아니냐는 의혹에 휩싸였다. 해당 곡은 OST 앨범 5번째 곡 소호령으로 주문을 외우는 듯한 가사가 특징인 곡이다. 본 곡이 영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OST가 아니냐는 주장이 나왔으나, 이는 사실 무근이며, 극중 박수무당 [[만신(구미호: 여우누이뎐)|만신]]의 테마곡으로 음악감독이 [[백마스킹]] 기법을 이용해 만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naver.me/5OcTFIpE|기사]] == [[구미호: 여우누이뎐/OST|OS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미호: 여우누이뎐/OST)] [include(틀:구미호: 여우누이뎐/OST)] == [[구미호: 여우누이뎐/명대사|명대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미호: 여우누이뎐/명대사)] == [[구미호: 여우누이뎐/촬영장소|촬영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미호: 여우누이뎐/촬영장소)] == 수상 == ||
'''수상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13> 2010년 ||<|4> [[KBS 연기대상]] || 여자 우수연기상 || [[한다감|한은정]] || || 청소년연기상 || [[김유정(배우)|김유정]] || || 청소년연기상 || [[서신애]] || == 여담 == * [[한다감|한은정]]은 2009년 신데렐라 맨 이후로 약 1년만에 안방극장으로 복귀했으며 2006년 [[서울1945]] 이후로 약 4년만에 [[KBS]] 드라마에 출연한다. * [[장현성]]은 2009년 [[장화홍련(드라마)]]이후로 약 9개월만에 [[KBS]] 드라마로 복귀한다. * [[김정난]]은 특별출연을 제외하고 2009년 [[인연 만들기]] 이후로 약 5개월만에 드라마에 출연한다. * [[김유정(배우)|김유정]]은 2009년 [[선덕여왕(드라마)|선덕여왕]]이후로 약 6개월만에 드라마에 출연하며 이 드라마와 동시에 경쟁작인 [[동이(드라마)|동이]]에도 출연했다. * [[장현성]]과 [[장항선]]은 2004년 영화 [[귀신이 산다]] 이후 같은 작품에 출연하게 되었다. * [[한다감|한은정]]은 [[SNL 코리아]]에서 이 드라마 컨셉으로 [[일비스]]의 [[What Does the Fox Say?]]를 패러디했다. * 이 작품에서 부부로 나왔던 [[장현성]]과 [[김정난]]은 9년 후 드라마 닥터 프리즈너에서 재회하여 KBS연기대상에서 베스트커플상을 수상받았다. * [[천호진]]과 [[김유정(배우)|김유정]]은 같은 시기에 본작의 경쟁작 동이에서 부녀지간으로 나왔다. * 본작을 통해서 배우로서의 열정을 제대로 보여준 절실한 모성애를 간직한 구미호 역의 [[한다감|한은정]]을 비롯하여 선과 악을 오가며 인간의 이기심을 극한히 보여준 윤두수 역의 [[장현성]],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는 연이 역의 [[김유정(배우)|김유정]], 빙의연기로 성인배우 못지 않은 열연을 펼친 [[서신애]], 딸을 위해서 희생도 서슴지 않는 그릇된 모성애를 보인 양부인 역의 [[김정난]] 등 주요배우들의 재발견이 돋보이는 작품이 되었다. * 한국드라마 사상, 최초로 [[호랑이]], [[까마귀]]와 구미호가 격투를 벌이는 씬이 등장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 1회의 동굴씬에서 스쳐 지나가는 [[박쥐]], 대나무숲에서 등장한 [[백호(동물)|백호랑이]], 구산댁모녀가 머문 집 천장에 가득 자리 잡은 [[쥐]], 퇴마사가 실수로 잡은 [[올빼미]], 마당에서 연이가 잡으려는 [[나비]], 2,3,16회의 연이와 정규의 만남의 매개체인 [[반딧불이]], 3,7,8,12회의 연이를 공격하는 [[까마귀]], 1,10회의 구산댁이 둔갑한 [[여우]] 등등 동물의 등장빈도가 높은 드라마다. * 밤 시간에 드라마 촬영하다 휴식을 취하던 도중 [[장현성]]이 나무 위에서 자신을 내려다보는 귀신을 보고 스태프들 모두 깜짝 놀랬다는 일화를 밝힌 바 있다. 그 귀신은 [[한다감|한은정]]의 스턴트먼으로 원래 낯을 가리는 성격이어서 나무 위로 올라가 잠시 잠을 잔 것이라고(...) 그 바람에 자고 있던 스태프들 모두 잠에서 깼다고 한다. [[https://naver.me/Ft8puvwo|기사]] * 배우 [[장현성]]이 밝힌 바로는, 작품 방영 당시 3~4일 연속 촬영할 정도로 거의 생방에 가까운 매우 살인적인 스케줄이었다고 한다. * 원래 본작의 제목은 '구미호의 복수'였다. 하지만, 너무 뻔하고 작품의 결말이 훤히 보인다는 주변의 피드백을 반영해서 현재의 '구미호 여우누이뎐'으로 수정하게 되었다. [각주] [[분류:구미호: 여우누이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