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음악사)] ---- ||<-2> '''{{{+1 구스타브 홀스트}}}[br]Gustav Hols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ustav_Holst.jpg|width=100%]]}}} || || '''본명''' ||구스타브 시어도어 홀스트[* 개명한 이름으로, 개명 전 이름은 Gustavus Theodore von Holst.][br]Gustav Theodore Holst||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2> '''출생''' ||1874년 9월 21일||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첼트넘|| ||<|2> '''사망''' ||1934년 5월 25일 (향년 59세)||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런던]]|| || '''직업''' ||작곡가|| || '''사조''' ||후기 낭만주의|| ||<|2> '''학력''' ||[[왕립음악대학]]||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언어학 / 중퇴)^^|| || '''배우자''' ||에밀리 이소벨 해리슨 ^^(1901년 ~ 1934년)^^|| || '''자녀''' ||이모겐 홀스트||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작곡가]]. 20세기 영국의 대표 작곡가들 중 하나이다. [[행성(관현악)|행성 모음곡]]으로 유명하지만 [[유럽]]의 [[클래식 관련 정보|전통적인]] 작곡 방식에서 벗어나 동양적인 요소를 도입하는데 적극적인 면을 보이기도 했다. == 생애 == [[첼튼엄|첼트넘]] 출생. 부모는 스웨덴 계이다. [[피아니스트]]가 되고자 했으나 오른팔에 신경염이 있어 민첩하게 움직일 수 없었기 때문에 [[트롬본]]을 연주했다고 한다. 원래 성 앞에 오는 접미사로 폰(von)이 있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 대한 적개심으로 빼버렸다. 딸 이머전 홀스트(Imogen Holst) 역시 [[작곡가]]였다. 세 곳에서 명예 학위를 받고, 왕립음악대학(RCM)의 명예회원이 됐으며, [[대영제국 훈장]]을 수여받았을 정도로 대단한 인물이었다. == 작품 == * '''[[행성(관현악)|행성 모음곡]]''' * 군악대를 위한 모음곡 1번 Eb장조 * 군악대를 위한 모음곡 2번 F장조 * 세인트 폴 모음곡: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 * 무어사이드 모음곡: 브라스 밴드를 위한 작품. * 일본 모음곡(Japanese Suite) * 죽음을 위한 노래 (Ode to death) * In the Bleak Mid-winter[* 영국의 [[크리스마스]] [[캐럴(음악)|캐럴]]] [[https://youtu.be/Isic2Z2e2xs|행성 모음곡]] [[https://www.youtube.com/watch?v=R1vBTTbYlss|군악대를 위한 모음곡 Eb장조]] == 관련 문서 == * [[클래식 관련 정보]] [[분류:영국의 작곡가]][[분류:1874년 출생]][[분류:1934년 사망]][[분류:후기 낭만주의의 작곡가]][[분류:심부전으로 죽은 인물]][[분류:왕립음악대학 출신]][[분류: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