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지구과학]][[분류:국제올림피아드]][[분류:2007년 설립]] [include(틀:국제과학올림피아드)] ||<-2> {{{+1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br]國際地球科學올림피아드[br]''International Earth Science Olympiad (IESO)'' || ||<-2><#fff> [[파일:IESO.png|width=250]] || || '''운영''' ||IESO 조직위원회(IESO Coordinating Committee)[* 세계지구과학교육학회(International Geoscience Education Organization, IGEO) 산하.] || || '''설립''' ||2007년 || || '''분야''' ||[[지구과학]] ([[지질학]], [[지구물리학]], [[해양학]], [[대기과학]], [[천문학]]) || || '''대상''' ||개최연도에서 19를 뺀 연도 7월 1일 이전 출생한 중고등학생 중 이전 IESO 참가 경험이 없는 자[* 보통 고등학교 1~3학년. 대학생은 참가할 수 없으며, 이전 IESO 참가 경험이 있는 중고등학생은 참관인 자격으로만 참가 가능하다.] || || '''일시''' ||매년 8~10월 || || '''예선 대회'''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KESO)]][br][[https://www.useso.org/|미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USESO)]][br][[https://www.asi.edu.au/programs/australian-science-olympiads/|호주 지구과학 및 환경과학 올림피아드(AEESO)]][br][[http://www.geosocindia.org/index.php/ieso/index|IESO 인도 예선]] || || '''관련 대회''' ||[[국제천문올림피아드|국제천문올림피아드(IAO)]][br][[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IOAA)]][br][[국제지리올림피아드|국제지리올림피아드(iGeO)]] || || '''링크''' ||[[https://www.ieso-info.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eviPUTMY4Y, width=100%)]}}} || || '''▲ [[프랑스|{{{#fff 프랑스}}}]] [[코트다쥐르|{{{#fff 코트다쥐르}}}]]에서 열린 2017년 제11회 IESO''' || 전세계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열리는 [[지구과학]] 분야 [[경시대회]].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중 하나로, 세계지구과학교육학회(International Geoscience Education Organization, IGEO) 산하 단체인 IESO 조직위원회(IESO Coordinating Committee)가 주관한다. [[대한민국]] 주도로 시작된 대회라서인지 현 조직위원장이 [[조선대학교]] [[http://www.chosun.ac.kr/user/indexSub.do?codyMenuSeq=25488752&siteId=youngshinpark|박영신 교수]]이며, 초대 조직위원장도 [[충남대학교]] 송무영 교수였다. 출제 범위 또한 ([[일본]]에게 영향을 받아 형성된) [[대한민국]] 특유의 [[지질학]], [[해양학]], [[대기과학]], [[천문학]]을 아우르는 고등학교 [[지구과학(교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 국가의 공인 고등학교 교육과정에는 [[지구과학]]이 없으며, 있어봤자 [[환경과학]]이나 [[지리학]] 과목의 일부로 치부되어 한국 중학교 수준 내용만 다룬다. 대표적인 예가 [[미국]]의 [[Advanced Placement]] 과목 중 하나인 [[AP 환경과학]], [[AP 인문지리학]] 과정.] 2019년 기준 41개국 43개팀 179명이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2007년 제1회 대회와 2019년 제13회 대회를 [[대구광역시]] [[EXCO]]에서 개최했으며, 지금까지 13번의 대회 중 1위는 6번, 2위는 3번, 3위는 1번 기록했다. == 역사 == [[냉전]] 전후 [[공산권]]에서 시작된 대부분의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와 달리 지구과학올림피아드는 [[대한민국]]에서 시작되었다. 2003년 제1회 대회가 열린 KESO의 영향을 받아 세계구급 지구과학 대회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서 2007년 제1회 IESO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EXCO]]에서 열리게 된 것이다. 아래는 모두 KESO 웹사이트의 [[https://www.keso.or.kr:6019/board_skin/board_view.asp?idx=123&page=2&bbs_code=20&key=0&word=&etc=|국내올림피아드 역대대회 게시판]]과 IESO 웹사이트의 [[https://www.ieso-info.org/the-history-of-the-ieso/|역사 페이지]]에서 퍼온 내용을 약간 편집한 것이다. === KESO 설립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문단=3.1)] === IESO의 필요성 제기 === 2003년 8월 10일부터 14일까지 [[캐나다]] [[앨버타]] 주 [[캘거리]] 시에서 세계지구과학교육학회(International Geoscience Education Organization, IGEO)가 개최되었다. 이 학회는 그동안 한국지구과학회에서 국제 대표로 열심히 참여해 온 김찬종 교수([[서울대]])가 운영위원으로 적극적인 활동하고 있는 국제기구로, 2003년에는 주제를 "국제사회를 위한 지구과학(Earth Science for the Global Community)"라 정하였다. 본 대회는 10일부터 14일까지이지만, 본회의 사전과 사후에 각종 견학코스, 워크숍 등이 개최되었고, 국내 학자들 대부분은 8일에 있었던 "세계 꼭대기에서(On top of the World)"라는 주제의 [[로키 산맥]] 지질답사에 참여하였다. 답사 도중에 참여자 서로의 자기소개 시간에 한국에서 참여한 4명의 학자들은 각자의 소개는 물론, 한국지구과학회의 활동과 특히 KESO를 완료했다는 사실과 더불어 세계지구과학올림피아드의 필요성을 제안하여 많은 참여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정기총회에서는 새 회장단의 선출이 있었는데, [[미국]] [[캔자스 대학교]] 교수인 Ian Clark 박사가 회장에 뽑혔고, 우리 학회의 국제대표인 김찬종 교수가 부회장에 당선되었다. 또한, 국제지구과학교육학회의 업무 추진 사항 중,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의 준비위원회가 조직되게 되었으며, 그 소위원회는 김찬종 교수가 책임지게 되었다. 이미 주요 임원들이 위촉되어 가고 있는 듯하다. 한편 IGEO를 지원하고 있는 [[유네스코]] 산하의 IUGS 대표자는 2005년부터 3년 간 유네스코가 정하는 “지구의 해” 이므로 이와 연계하여 세계지구과학올림피아드를 준비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 IESO 조직 === 2004년 8월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 [[피렌체]] 시에서 열린 제32회 국제지질학회의(International Geological Congress, IGC)에서는 국제 [[지구]]의 해(International Year of Planet Earth)의 Eduardo de Mulder와 Ted Nield가 IESO 지원을 약속했다. 2004년 11월 [[서울특별시]]에서 IESO 회의가 열렸다. 10개국 대표단이 모여서 지구과학 교육과정과 시험 형식을 논의했다. 송무영 위원장을 비롯한 11명의 IESO 조직위원회(IESO Coordinating Committee) 위원이 선출됐으며, 훗날 IESO 자문위원회(IESO Advisory Committee)로 개칭됐다. IESO 운영규정도 확정됐다. 이 때 열린 IESO 조직위원회의 첫 회의에서 [[대한민국]]이 제1회 IESO를 개최하기에 가장 적절한 환경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2005년 IESO 교수요목 위원단(IESO Syllabus Comission)과 IESO 교수요목 초안이 작성됐고, 2006년 3월에는 IESO 로고가 확정됐다. === 제1회 IESO 개최 === 2007년 [[대구광역시]] [[EXCO]]에서 "생명을 위한 지구, 미래 생명을 위한 우주(Earth for Life, Universe for Future Life)"라는 주제로 제1회 IESO가 개최되었다. [[대만]]이 3개 금상, 1개 은상으로 1위, [[대한민국]]이 1개 금상, 3개 은상으로 2위, [[미국]]이 2개 은상, 2개 동상으로 3위, [[인도]]가 2개 은상으로 4위를 기록했다. == 참가국 == 출처는 [[https://www.ieso-info.org/national-ieso-committee/|IESO 웹사이트]]. || 국가명 || 예선 대회 || ||[[아르헨티나|{{{#!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100%]]}}}]] [[아르헨티나]] || || ||[[호주|{{{#!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호주 국기.svg|width=100%]]}}}]] [[호주]] ||[[https://www.asi.edu.au/|AEESO]] || ||[[오스트리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100%]]}}}]] [[오스트리아]] || || ||[[벨라루스|{{{#!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100%]]}}}]] [[벨라루스]] || || ||[[방글라데시|{{{#!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100%]]}}}]] [[방글라데시]] ||[[https://www.byei.org/programs/neo|NEO]] || ||[[브라질|{{{#!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100%]]}}}]] [[브라질]] ||[[https://obap.ifsuldeminas.edu.br/|OBAP]] || ||[[캄보디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100%]]}}}]] [[캄보디아]] || || ||[[중국|{{{#!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중국 국기.svg|width=100%]]}}}]] [[중국]] || || ||[[체코|{{{#!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체코 국기.svg|width=100%]]}}}]] [[체코]] ||[[https://www.zemepisnaolympiada.cz/|ZO]] || ||[[독일|{{{#!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독일 국기.svg|width=100%]]}}}]] [[독일]] ||[[http://www.die-deutsche-olympiade-der-geowissenschaften.de/|DOG]] || ||[[에스토니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100%]]}}}]] [[에스토니아]] || || ||[[핀란드|{{{#!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100%]]}}}]] [[핀란드]] || || ||[[프랑스|{{{#!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100%]]}}}]] [[프랑스]] || || ||[[아이티|{{{#!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아이티 국기.svg|width=100%]]}}}]] [[아이티]] || || ||[[인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인도 국기.svg|width=100%]]}}}]] [[인도]] ||[[http://www.geosocindia.org/|#]] || ||[[인도네시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100%]]}}}]] [[인도네시아]] ||[[http://www.toiki.or.id/|TOIKI]] || ||[[이스라엘|{{{#!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100%]]}}}]] [[이스라엘]] || || ||[[이탈리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100%]]}}}]] [[이탈리아]] ||[[http://olimpiadi.anisn.it/ieso/|#]] || ||[[일본|{{{#!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일본 국기.svg|width=100%]]}}}]] [[일본]] ||[[http://jeso.jp/index.html|JESO]] || ||[[카자흐스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100%]]}}}]] [[카자흐스탄]] ||[[http://zhas-geolog.kz/olympics/|#]] || ||[[쿠웨이트|{{{#!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100%]]}}}]] [[쿠웨이트]] || || ||[[리투아니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100%]]}}}]] [[리투아니아]] || || ||[[말라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말라위 국기.svg|width=100%]]}}}]] [[말라위]] || || ||[[말레이시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100%]]}}}]] [[말레이시아]] ||[[http://myeso.com.my/|MYESO]] || ||[[네팔|{{{#!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네팔 국기.svg|width=100%]]}}}]] [[네팔]] || || ||[[노르웨이|{{{#!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100%]]}}}]] [[노르웨이]] ||[[http://www.geologi.no/geofag/geofag-ol|#]] || ||[[파키스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100%]]}}}]] [[파키스탄]] || || ||[[필리핀|{{{#!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100%]]}}}]] [[필리핀]] || || ||[[루마니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100%]]}}}]] [[루마니아]] || || ||[[러시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100%]]}}}]] [[러시아]] || || ||[[대한민국|{{{#!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대한민국]]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KESO]] || ||[[스페인|{{{#!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100%]]}}}]] [[스페인]] ||[[http://www.aepect.org/olimpiadasgeologia/index.htm|OEG]] || ||[[스리랑카|{{{#!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100%]]}}}]] [[스리랑카]] || || ||[[대만|{{{#!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대만 국기.svg|width=100%]]}}}]] [[대만]] ||[[http://www.ieso.cc/|#]] || ||[[태국|{{{#!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태국 국기.svg|width=100%]]}}}]] [[태국]] || || ||[[우크라이나|{{{#!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100%]]}}}]] [[우크라이나]] || || ||[[미국|{{{#!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미국]] ||[[http://www.ieso-usa.com/|USESO]] || == 국가대표 선발 == 참가 학생(즉 [[국가대표]])은 각국의 국내 올림피아드로 선발한다. === 대한민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include(틀:국내과학올림피아드)] [[대한민국]] 국가대표는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Korea Earth Science Olympiad, KESO)를 통해 선발하며, 2007년 제1회 대회부터 참가했다. 1차 서류전형, 기초사이버교육, 2차 선발시험, 팀프로젝트교육, 심화사이버교육, 3차 선발시험, 야외지질답사, 응용교육과정을 거쳐 4명의 국가대표[* 온라인으로 진행한 14~16회 IESO는 8명을 선발했다.]를 선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한국과학창의재단]]을 통해 참가비를 지원해주며, 6월 말쯤 [[국립중앙과학관]]에서 하는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한국 국가대표단 발대식에도 초대받는다. === 미국 === [[미국]] 국가대표는 [[https://www.useso.org/|미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United States Earth Science Olympiad, USESO)]]를 통해 선발한다. 4월쯤 1차 시험(National Open Exam)을 통해 40명을 선발해 [[버몬트 대학교|버몬트 대학교(University of Vermont)]]에서 진행되는 1주일짜리 여름학교(USESO Training Camp)에 참가시킨다. 여름학교에서는 이론과 실습 수업을 하며, 캠프가 끝날 때 8명의 국가대표(4명의 정식 참가 학생 및 4명의 참관인)를 선발한다. === 호주 === [[호주]] 국가대표는 [[https://www.asi.edu.au/programs/australian-science-olympiads/|호주 지구과학 및 환경과학 올림피아드(Australian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Olympiad, AEESO)]]를 통해 선발한다. 7월쯤 1차 시험(Australian Science Olympiads Exam -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을 통해 여름학교(Australian Science Olympiads Summer School) 참가생을 뽑는다. 여름학교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면 국가대표가 된다. === 인도 === [[인도]] 국가대표는 [[http://www.geosocindia.org/|인도 지질학회(Geological Society of India)]]가 주관하는 [[http://www.geosocindia.org/index.php/ieso/index|IESO 인도 예선]]을 통해 선발한다. 1차 시험(National level Entrance test), 캠프 및 인도지구과학올림피아드(Indian National Earth Science Olympiad), 국가대표 최종교육으로 구성된다. == 진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9hLR5K4kjc, width=100%)]}}} || || '''▲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fff KESO}}}]], IESO 진행 과정 소개''' || == 역대 대회 == ||<-8><:>[[파일:IESO.png|height=24]]''' {{{#151509 역대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 || 회차 || 개최년도 || 일정 || 개최국 || 개최지 || 참가국 수 || 대한민국 순위 || 수상 내역 || || 1회 || 2007 || - ||[[대한민국|{{{#!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대한민국]]''' || [[대구광역시|대구]], [[영월군|영월]] || 11개국 || 2위 || 금1, 은3 || || 2회 || 2008 || - ||[[필리핀|{{{#!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100%]]}}}]] [[필리핀]] || [[마닐라]] || 7개국 || '''1위''' || 금2, 은2 || || 3회 || 2009 || - ||[[대만|{{{#!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대만 국기.svg|width=100%]]}}}]] [[대만]] || [[타이베이시|타이베이]] || 20개국 || 2위 || 금1, 은3 || || 4회 || 2010 || 9.19 ~ 9.28 ||[[인도네시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100%]]}}}]] [[인도네시아]] || [[욕야카르타]] || 19개국 || 2위 || 금2, 은2 || || 5회 || 2011 || 9.5. ~ 9.14. ||[[이탈리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100%]]}}}]] [[이탈리아]] || [[모데나]] || 35개국 || '''공동 1위'''[*대만 [[대만]]과 공동 1위.] || 금3, 은1 || || 6회 || 2012 || 10.7 ~ 10.13 ||[[아르헨티나|{{{#!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100%]]}}}]] [[아르헨티나]][* 당초 [[일본]]이 개최국이었으나 2011년 3월 11일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및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한 국가 재난사태로 부득이하게 아르헨티나에서 개최하게 되었다.] || [[올라바리아]] || 17개국 || '''공동 1위'''[*대만 [[대만]]과 공동 1위.] || 금3, 은1 || || 7회 || 2013 || 9.11 ~ 9.19 ||[[인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인도 국기.svg|width=100%]]}}}]] [[인도]] || [[마이소르]] || 27개국 || '''공동 1위'''[*대만 [[대만]]과 공동 1위.] || 금3, 은1 || || 8회 || 2014 || 9.22 ~ 9.29 ||[[스페인|{{{#!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100%]]}}}]] [[스페인]] || [[산탄데르]] || 25개국 || 4위 || 금1, 은3 || || 9회 || 2015 || 9.13 ~ 9.20 ||[[브라질|{{{#!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100%]]}}}]] [[브라질]] || [[포수스지카우다스]] || 25개국 || '''1위''' || 금2, 은2 || || 10회 || 2016 || 8.20 ~ 8.27 ||[[일본|{{{#!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일본 국기.svg|width=100%]]}}}]] [[일본]] || [[미에현]] || 26개국 || 3위 || 금2, 은2 || || 11회 || 2017 || 8.21 ~ 8.30 ||[[프랑스|{{{#!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100%]]}}}]] [[프랑스]] || [[코트다쥐르]] || 34개국 || 8위 || 은2, 동2 || || 12회 || 2018 || 8.8 ~ 8.17 ||[[태국|{{{#!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태국 국기.svg|width=100%]]}}}]] [[태국]] || [[깐짜나부리]] || 38개국 || 5위 || 금1, 은3 || || 13회 || 2019 || 8.26 ~ 9.3 ||[[대한민국|{{{#!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대한민국]]''' || [[대구광역시|대구]] || '''41개국''' || '''공동 1위'''[*일본 [[일본]]과 공동 1위.] || '''금4''' || || 14회 || 2021[* [[코로나19]]로 인해 14회 IESO는 취소됐다는 점을 반영하여 2021년에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 9.25 ~ 9.30 ||[[러시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100%]]}}}]] [[러시아]] || 온라인 || 32개국 || 4위 || 금1, 은4, 동3 || || 15회 || 2022 || 8.25 ~ 8.31 ||[[이탈리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100%]]}}}]] [[이탈리아]] || 온라인 || 38개국 || 6위 || 금1, 은4, 동3 || || 16회 || 2023 || 8.20 ~ 8.26 ||[[인도|{{{#!wiki style="vertical-align:sub;display:inline-flex;width:24px;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5);" [[파일:인도 국기.svg|width=100%]]}}}]] [[인도]] || 온라인 || 32개국 || 9위 || 은4[* 국가별 메달 개수 최대 4개로 제한] || === 대한민국 참가 기록 === || 참가 || 16회 || || 1위 || 6회 || || 2위 || 3회 || || 3위 || 1회 || || 최고 순위 || 1위 || || 최근 순위 || 9위 || == 관련 도서 및 기출문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문단=6)]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와 같으므로 해당 문서에 모아서 서술한다. == 여담 == * [[일본 애니메이션]]인 [[사랑하는 소행성/애니메이션]] 8화에 IESO에 관한 내용이 나온다. 해당 작품 등장인물인 [[이노세 마이]]는 IESO의 [[일본]] 예선인 일본지학올림픽(JESO)에 출전했다가 탈락한다. * 2022년 3월 21일 IESO 러시아 대표단 측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러시아 연방의 끔찍한 침략전쟁]]에 의해 2022년 IESO에 참가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며 러시아 당국을 비판했다. [[https://www.ieso2022.com/news-from-the-russian-team/|#]] *2023년 IESO의 DMT(Data Mining Test) 시험은 국가별 메달 수가 최대 4개로 제한[* 우리나라 대표단 모두 메달권 안에 들었으나 이러한 제한으로 4명만 메달을 받게 되었다.]이 있었다. 앞선 두 대회에서 영미권 국가가 과하게 유리했었다는 목소리[* 웹페이지에서 데이터 자료를 찾아 분석하는 시험 특성상 영어를 잘하면 유리할 수밖에 없다.]가 나와 이와 같은 조치가 시행되었다. == 같이 보기 == * [[경시대회]] *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 [[국제지리올림피아드]], [[전국지리올림피아드]]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지구과학]], [[지질학]], [[지구물리학]], [[해양학]], [[대기과학]], [[천문학]] * [[지구과학(교과)]]: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 [[고급 지구과학]], [[AP 환경과학]] * [[지구환경과학과]] * [[지질학과]], [[해양학과]], [[대기과학과]] * [[천문학과]] * [[지구과학교육과]]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version=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