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UN의 전문기구)] ---- ||<-2> '''{{{+2 국제해사기구}}}[br]國際海事機構[br]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2 (IM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제해사기구 깃발.svg|width=80%]]}}} || || '''설립''' ||[[1948년]] [[3월 17일]] || || '''본부'''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런던]] || || '''가입국''' ||173개국 || || '''공용어''' ||[[영어]], [[아랍어]], [[중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 || '''협력기구''' ||[[유엔]](UN) || || '''사무총장'''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임기택]] || || '''링크''' ||[[http://www.imo.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MOHQ, 크기=20)] | [[https://instagram.com/imo_hq/|[[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facebook.com/IMOHQ/|[[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IMOH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lickr.com/photos/imo-un/collections/|[[파일:플리커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국제해사기구'''([[國]][[際]][[海]][[事]][[機]][[構]],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는 1948년 3월 6일 채택되고 1958년 3월 17일에 발효된 국제해사기구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1948)에 따라 설립된 기구로 해상에서 안전, 보안과 선박으로부터의 해양오염 방지를 책임지는 [[유엔|국제연합]] 산하의 전문 기구이다. 즉, 국제해사기구의 목적은 국제교역에 종사하는 해운업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형태의 기술적인 문제에 관하여 정부가 수행하는 규정이나 지침에 있어서 정부 간 상호협력 촉진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해상안전, 효율적인 항해 및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 및 통제와 관련하는 최고 수준의 실질적인 기준을 제공하고 촉진하기 위해서 설치되었다.[* [[https://www.imokorea.org/sub_04/04_01.asp?C_ID1=001&C_ID2=001&C_ID3=001&chk_on=1&chk_on1=1|IMO Korea 홈페이지 > IMO 소개 > 설립배경과 목적]]] 국제해사기구는 세계대전 이후 세계화를 배경으로 서로 다른 항만규정, 항행규정, 안전규정, 환경보호 규정 등 나라 나라마다 다른 규정에 대해 최소한의 기준을 세우기 위하여 설립된 '정부간 해사자문기구(Inter-Governmental Maritime Consultative Organization; IMCO)'의 후신이다. 바다는 특정 국가에 귀속되는 [[영해]]와 영해에 준하는 [[배타적 경제수역]], 그리고 어떤 국가에도 소속되지 않은 [[공해]]로 구분된다. 이중 공해를 지나는 선박에 적용되는 규정이 IMO에서 만드는 국제해사법이다. 말이 공해를 지나는 선박이지, 국제항해를 하는 대부분의 선박이 공해를 경유하기 때문에[* 예외라고 한다면 한중일 같이 서로 가깝게 붙어있는 경우는 국제항해임에도 적용을 피할 수 있긴 하다] 거의 대부분의 선박이 적용대상이다. 이런 영향력으로 인해 IMO 사무총장은 "바다의 대통령"이라고 불릴 정도의 영향력이 있으며, 2015년 6월 30일 국제해사기구 사무총장에 [[부산항만공사]] [[임기택]] 사장이 최종 당선, 최초의 한국인 IMO 사무총장이 탄생했다.[*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630000241|부산일보, 2015년 6월 30일, "국제해사기구 사무총장에 임기택 당선…한국인 최초"]]][*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701000104|부산일보, 2015년 7월 1일, "임기택 BPA(부산항만공사) 사장 IMO(국제해사기구) 사무총장 당선"]]][*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701000105|부산일보, 2015년 7월 1일, "[임기택 IMO 사무총장 당선] 한국해양대 출신 '세계 해양 대통령' 탄생"]]][* [[http://blog.naver.com/koreamof/220407874060|해양수산부 공식 블로그, 2015년 7월 2일, '임기택, UN산하 국제해사기구(IMO) 사무총장 당선']]] 이후 임기택 사무총장은 연임에 성공했다.[*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81122000377|부산일보, 2018년 11월 22일, 국제해사기구 임기택 사무총장 2023년까지 연임"]]] == 국제해사기구가 담당하는 국제협약 == 대표적인 협약으로는 해상에서의 인명안전을 위한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 SOLAS),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MARPOL), 국제만재흘수선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on Load Lines; LL), 선원의 훈련, 자격증명 및 당직근무의 기준에 관한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on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for Seafarers, STCW)이 있다. 이외에도 폐기물 및 기타 물질의 투기에 의한 해양 오염 방지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by Dumping of Wastes and Other Matter; LC),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Convention on the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Preventing Collisions at Sea; COLREG)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수많은 협약과 의정서, 개정규정, 이행협정 등이 있다. == 국제협약의 국내적 수용 == 우리나라는 STCW를 선원법과 선박직원법으로 SOLAS를 선박안전법으로 국내법으로 수용하였고, 국내법 수용 시 국제협약이 일부 섞여있다. IMO에서 다루는 국제협약은 '선박안전과 해양오염 방지 및 관련 해상법' 분야이며 모두 "해사공법"적 성향의 규정이며 곧 규제법, 절차법적 성향을 가진다. 그 외의 법률들인 해상법은 국제해법회, 해상노동법의 경우에는 [[국제노동기구]], 해상운송법은 유엔무역개발회의, 해양법은 국제연합에서 담당한다. == 국제해사기구의 직원 == IMO는 국제기구 중에서 선박의 안전과 항행과 관련된 협약을 다루는 만큼 해기사들의 진출이 많다. 현직 사무총장의 경우도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대학 출신의 전직해기사이며 그 외의 위원회에도 많은 해기사들이 종사하고 있다. == [[IMO 2020]] == 2020년부터 전 세계 모든 선박은 황산화물(SOx)함량이 0.5% 미만인 해양 연료를 사용해야 한다는 규제 방안이다. == 여담 == * [[주 영국 대한민국 대사관]]이 국제해사기구의 한국 대표부 업무를 겸임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국제기구]] * [[유엔]] * [[해기사]] * [[INMARSAT]] * [[해운#s-1]] [[분류:국제기구]][[분류:UN]][[분류:1948년 설립]][[분류:해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