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사)] ---- [목차] 權準 (1281 ~ 1352) == 개요 == 고려 후기의 인물. 자는 평중(平仲)이고, 시호는 창화(昌和)다. == 생애 == [[안동 권씨]] 권세가에서 태어나 9세에 [[음서]]로 도재고판관에 임명됐고, 18세가 되자 대전행수에 올랐다. 20세에 진사시에 급제했으며 관직이 6번 바뀌어 우부대언에 이르렀고, 또 6번 바뀌어 검교첨의정승 대우문 감춘추 상호군 에 이르렀다. 삼한벽상공신호를 받았고 [[산계|관계]]는 삼중대광, 관작은 [[부원군]]에 올랐다. 젊은 나이에 고려에서 온갖 고위 관직을 역임한 권준은 대덕 연간(1297~1307) [[원나라]]의 수도 [[대도]]에 가서 [[충선왕]]을 알현한다. 충선왕은 권준이 자신을 찾아온 것에 기뻐했고, 권준은 아직 어린 막내동생 [[왕후(고려)|권재]]를 소개하는 등 충선왕을 따랐다. 충선왕은 원 조정에 권준을 대언으로 발탁했는데, 이 해가 1307년으로 권준의 나이는 27세였다. 이듬해 원 지대 원년(1308), 충렬왕을 따르던 무리들의 방해를 물리치고 충선왕이 고려로 복귀한다. 이 때 충선왕이 정한 인사는 대부분이 총애받는 권력가 자제로, 고려에서 대를 이어 섬기던 신하들은 한직으로 밀려났다. 원에서 왕의 총애를 받던 권준 역시 최측근인 위사로서 궁궐에서 숙직했으며, 왕이 원에 입조하거나 오대산을 유람할 때 동행하곤 했다. 충선왕은 황제에게 글을 올려 권준을 무위장군 합포만호에 제수했고, 이후 밀직부사, 지밀직사사 등을 역임했다. 충선왕은 국신도감(國贐都監)에 명해 은 50근으로 [[안향]]의 집을 사서 주기도 했고, 또 금잔을 내렸다. 당시 권준 집안의 권세를 알 수 있는 일화가 고려사 권준 열전에 실려있다. 원윤 신여계(申汝桂)에게 아내 김씨가 있었다. 어느 날 김씨가 노복을 데리고 길을 가다 불량배(惡少) 10명의 무리와 만나 [[보쌈#s-2]]을 당했다. 신여계는 숙창원비에게 이를 알렸는데, 김씨는 숙창원비의 이모였으므로 숙창원비는 순군부에 불량배들을 추격하라는 명을 전했다. 10리쯤 가다 김씨를 길에 버리고 무리가 흩어졌는데 그 중 한 사람이 잡혔다. 그런데 잡고 보니 이 사람은 권준의 집안 사람이었고, 권준의 권세를 두려워한 순군은 차마 그 죄를 묻지 못했다. 1313년 충선왕이 [[충숙왕]]에게 왕위를 물려준 뒤 원으로 돌아가자 권준, 권재가 상왕을 따라갔다. 권준은 곧 고려에 돌아왔는데, 충선왕은 원에 머무른 경험이 있는 권준을 사신으로 자주 왕래하게 했다. 권준은 연우 연간(1314~1320) 말까지 외교 사절을 맡았다. 지치 연간(1321~1323)에는 충숙왕과 [[심왕]]직을 이어받은 [[왕고(고려)|왕고]]가 대립했다. 고려 본국에도 충숙왕을 해치려는 이들이 있었는데, 권준은 충숙왕과의 의리를 지켰고 이후 첨의찬성사에 임명됐다. 충숙왕 12년(1325) 11월 충숙왕은 권준의 집에 잠시 머무른 적 있었는데, 그 집의 화려함을 보고는 "과인이 감당할 만한 것이 아니구나."[* 非寡躬所敢當也.]라고 겸손해했다. 충숙왕은 이후에도 여러 번 권준의 집을 방문한다. 충숙왕 13년(1326) 박원(朴瑗)과 과거를 감독해 최원우 등을 선발했다. 충숙왕 복위 8년(1339) 심왕을 옹립하려는 조적의 난이 일어나자 문을 걸어잠그고 밖에 나가지 않았다. [[충혜왕]]은 권준을 길창부원군에 봉했고 권준의 외손녀, 화비(和妃)를 왕비로 들였다. 한편 충혜왕 복위 3년(1342) 권준은 돈을 탐하는 충혜왕에게 교초(지폐) 1,000장을 진상하기도 했다. [[충목왕]]이 죽은 뒤 원로들이 후사를 논하는 자리에서 [[공민왕]]을 지목한다. 공민왕이 즉위한 뒤 병에 걸렸는데, 결국 이듬해 1352년 7월 15일 72세의 나이로 병석에서 죽었다. 공민왕은 심히 애통해하며 조회를 멈췄고 유사에 제사를 지내게 하고 시호를 내렸다. == 평가 == >성품은 순하고 진중해 말과 웃음이 적었고, 몸가짐은 뛰어나고 훌륭했다. 권세에 의지해 토지를 뺏고 뇌물을 받아 큰 부를 이뤘다.[* 性純重, 寡言笑, 儀表秀偉. 倚勢奪土田, 納賄賂, 以致鉅富.] >---- >『고려사』 권107, 권준 열전. == 가족관계 == * 부: [[권부]] * 모: 변한국대부인 류씨 * '''본인: 권준''' * 처: 오씨 * 아들: 권렴 * 아들: 권적 * 딸 * 사위: 홍탁 * 외손녀: 화비 홍씨 * 딸 * 사위: 홍언박 재상 오인영(吳仁永)의 딸과 결혼해 두 아들과 두 딸을 뒀다. [[분류:안동 권씨 추밀공파]][[분류:1281년 출생]][[분류:1352년 사망]][[분류:고려의 부원군]][[분류:고려의 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