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2024년 2월 4일에 개최 예정인 시상식, rd1=제66회 그래미 어워드)] [include(틀:EGOT)] ||<-2> '''{{{+1 Grammy Awards}}}[br]그래미 어워드''' || ||<-2> [[파일:그래미 어워드 콤비네이션 로고.png|width=100%]] || || '''국가'''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주최''' ||미국 레코딩 아카데미 (NARAS)|| || '''첫 시상''' ||[[1959년]] [[5월 14일]] ([age(1959-05-14)]주년) || || '''링크''' ||[[https://grammy.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facebook.com/RecordingAcademy|[[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instagram.com/recordingacadem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RecordingAcadem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ecordingacad, 크기=25)]||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bruno-mars-grammy-award-2018-billboard-1548-compressed.jpg|width=100%]]}}}|| || '''2018년 제60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앨범상을 수상하는 [[브루노 마스|{{{#b69859 브루노 마스}}}]]''' || '''미국에서 가장 유서 깊은 [[대중음악]] 시상식'''이다. 전미 레코딩 예술 과학 아카데미(NARAS: National Academy of Recording Arts and Sciences, 통칭 레코딩 아카데미)가 주최한다. 대중음악의 흐름을 주도하는 미국이라는 나라의 최대 시상식인 만큼 전 세계에서 가장 위상있는 대중음악 시상식, 대중 음악가라면 누구나 가장 받고 싶어하는 상이다. 그래미란 "[[축음기]]"란 뜻의 "Gramophone"에서 비롯된 말이며 트로피 역시 축음기를 본 따 만들었다. 대중 음악의 시작과 발전이 축음기에서 비롯되었다는 의미이다. [[1959년]]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매우 유명한 어워드이다. == 후보 및 수상자 선정 절차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grammygold_dates_infographic_part1.png|width=100%]]}}}|| || '''그래미 어워드의 선정 및 시상 과정''' || NARAS[* the National Academy of Recording Arts and Sciences의 약자] 회원들의 투표로 한 해에 가장 뛰어나고 성공적이었던 [[아티스트]], [[프로듀서]], [[음반]], [[음원]] 등에 상을 수여한다. 2024년 [[제66회 그래미 어워드]]를 보면, 미국에서 2022년 10월 1일 ~ 2023년 9월 15일까지 발매된 음반, 음원이 심사 대상이었다. 2023년 10월 11일 ~ 2023년 10월 20일까지 1차 투표를 진행해 부문별 후보를 선정, 2023년 11월 10일에 공개했다. 2023년 12월 14일 ~ 2024년 1월 4일에 최종 투표를 진행하고, 2024년 2월 4일에 시상식을 개최해 수상자를 발표한다. 그래미 심사위원, 즉 NARAS 회원이 되기 위해선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시켜야 한다. * 본인 명의로 된 12개 이상의 트랙이 있어야 한다. * 트랙 중 최소 하나는 5년 이내에 발매했어야 한다. * 해당 트랙들은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하거나 다운로드가 가능해야 한다. * 작업물들은 검증된 문서와 함께 동봉되어 있어야 한다. 1) 출품 (Submission) 각 소속사는 회사 소속의 아티스트가 그래미 후보에 오르길 원한다면 아티스트들의 음반, 음원을 NARAS에 출품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대략 2만개 이상의 레코딩들이 제출된다고 한다. 단, 비속어가 포함되지 않은 'Clean Version'의 레코딩만이 접수 가능하다. 2) 분류 (Screening) 150여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출품된 레코딩들을 들어보고, 각 곡의 장르를 판정한다.[* 원곡자가 R&B라고 주장하는 노래도 분류위원회가 팝이라고 결정하면 꼼짝없이 팝 부문에서 경쟁해야 한다.] 3) 후보 선정 (Nomination) NARAS 회원들의 첫번째 투표가 이루어진다.[* NARAS 회원들은 아티스트, 송라이터, 음반 기획자, 방송국 PD, DJ 등등 미국 음악계의 현역 종사자들이며 2018년 기준으로 약 13,000명이다.[[https://billboard.com/articles/news/8478236/recording-academy-invites-900-new-voting-members-task-force|#]] 2012년 [[버클리 음악대학]] 출신 음반 엔지니어 [[황병준]]이, 2016년 가야금 연주가 한테라가, 2017년 아시아 팝페라가수 최초로 팝페라테너 [[임형주]]가 5년 임기의 심사위원으로 위촉된 바 있으며, 2019년에는 [[방시혁]] 및 [[방탄소년단]]과 가야금 연주자 이루나가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었다.] 자신이 전문인 장르 안에서만 투표할 수 있다. 다만, 예외적으로 제너럴 필드 부문 6개에는 모든 회원들이 투표할 수 있다. 4) 최종 후보 선별 (Final Nomination) 투표를 바탕으로 그래미 측은 파이널 후보 선별 과정을 거친다. [[그래미 어워드]] 파이널 후보 명단은 일반적으로 11월에 공개된다. 예를 들어서, [[제66회 그래미 어워드|2024년 그래미 어워드]]는 2023년 11월 10일에 최종 후보 발표를 한다. 5) 최종 투표 (Final Voting) 후보가 공개되고 NARAS 회원들이 투표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자신의 전문 장르 안에서만 투표할 수 있지만 제너럴 부문에서는 모든 회원들이 투표가 가능하다. 이후 가장 많은 투표를 받은 아티스트, 음원/음반이 수상한다. 6) 시상식 (Awards Ceremony) 시상식은 2월 초에 열린다. 예를 들면, [[제66회 그래미 어워드|2024년 그래미 어워드]] 시상식은 2월 4일에 열린다. 상의 개수가 총 90여 가지로 워낙 많다 보니 방송에서 시상하는 부문은 보통 10개가 채 되지 않으며 대부분은 시상식 몇 시간 전 별도의 사전 행사(Premiere Ceremony)에서 시상한다. 때문에 그래미 어워드 방송은 수상 소감보다 축하 무대의 분량이 훨씬 많다. == 역대 시상식 == * [[제63회 그래미 어워드]](2021) * [[제64회 그래미 어워드]](2022) * [[제65회 그래미 어워드]](2023) * [[제66회 그래미 어워드]](2024) == 한국과 그래미 어워드 == * 한국인 중에서는 소프라노 [[조수미]]가 1회 수상, 3회 노미네이트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BEST OPERA RECORDING 수상을 기록했다. * [[버클리 음악대학]] 출신 레코딩엔지니어인 [[황병준]]이 클래식 부문 녹음기술상 부분에서 두차례 수상하였다. [[https://hankookilbo.com/News/Read/201603012099891417|#]][[https://grammy.com/grammys/artists/byeong-joon-hwang/19089|#]] * [[방탄소년단]](BTS)의 [[Dynamite]]가 BEST POP GROUP PERFORMANCE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 카테고리 == === 제너럴 필드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본상)] Record of the Year, Album of the Year, Song of the Year, Best New Artist, Producer of the Year(Non-Classical), Songwriter of the Year(Non-Classical) 여섯 부문의 상을 제너럴 필드(본상)이라고 지칭하고, '이 상을 누가 받느냐?'가 가장 이슈가 된다. 다른 상들은 대부분이 공개 방송 전에 별도의 행사에서 시상하고 생중계에서는 랜덤으로 몇 부문만 시상하는데, 본상 여섯 부문은 무조건 매년 생중계에서 시상한다. 후보는 다섯 후보(5명) ~ 열 후보(10명) 사이 이다. 또한 2024년부터 Producer of the Year(Non-classical), Songwriter of the Year(Non-classical) 두 부문이 본상에 추가되어 2024년 제66회 시상식부터 본상으로 격상 되었다. ==== [[/올해의 앨범상|Album of the Year (올해의 앨범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그래미 어워드/올해의 앨범상)] ==== [[/올해의 레코드상|Record of the Year (올해의 레코드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그래미 어워드/올해의 레코드상)] Record of the Year은 음원 제작에 참여한 아티스트, 프로듀서, 기술자에게 상이 주어진다. 노래 자체만 평가하여 작곡가 및 작사가에게 상을 주는 Song of the Year과는 달리 가창력, 편곡, 믹싱 등을 포함하여 음원의 전체적 완성도를 보는 상이라고 볼 수 있다. ==== [[/올해의 노래상|Song of the Year (올해의 노래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그래미 어워드/올해의 노래상)] Song of the Year은 곡의 작곡가와 작사가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즉, 노래를 부른 아티스트는 작곡이나 작사에 참여하지 않았다면 이 상을 받지 못한다. 가수의 가창력 및 음원의 기술적인 완성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상을 주는 Record of the Year과는 달리, 노래 자체만 평가한다. ==== [[/최우수 신인상|Best New Artist (최우수 신인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그래미 어워드/최우수 신인상)] Best New Artist는 그 해 최고의 신인, 혹은 데뷔기간이 약간 지났음에도 주목할 만한 신인에 들어가는 아티스트가 노미네이트된다. 게다가 인생에 단 한 번 밖에 수상할 기회가 없다는 점에서 다른 상들과는 여러모로 값진 의미를 담고 있는 상이기도 하다. 정규 앨범을 1장 이상 3장 이하로 발매한 아티스트 또는 싱글 및 트랙이 30곡 이하여야만 후보 자격이 주어진다. 그리고 이 전 시상식이나 다른 후보에 올라도 신인상 후보에 선정될 수 있다. ==== Producer of the Year, Non-Classical ==== ==== Songwriter of the Year, Non-Classical ==== === 장르 필드 === 제너럴 필드 다음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부분은 장르 필드이다. 그 해 최고의 레코드를 본상에 수여한다면 그 해 최고는 아니었으나 그에 비견될 만한 레코드들이 각 장르 내에서 수상하게 된다. 때문에 장르 필드에서 상을 수상했으나 본상에서 수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부문의 이름 끝에 Song 과 Performance의 차이가 무엇인지 몰라 헷갈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Song은 노래를 만든 '작곡가, 작사가'를 위한 상이고 Performance는 노래를 부른 '아티스트'를 위한 상이다.[* 여기서 퍼포먼스란 음원을 녹음할 때 가수가 노래를 부른 행위를 뜻한다. 연주곡의 경우 악기를 연주한 행위.] 아래 표는 제66회 그래미 어워즈를 기준으로 정리한 것이다. || '''{{{#ffffff 부문}}}''' || '''{{{#ffffff 심사 대상}}}''' || '''{{{#ffffff 수상 대상}}}''' || ||<-4> '''{{{#ffffff 팝, 댄스, 일렉트로닉}}}''' || || 팝 솔로 퍼포먼스 ||<|3> 보컬/인스트루멘탈 음원 || 아티스트 || ||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외국에는 그룹보다 솔로 아티스트가 많은 만큼, 대다수의 노미네이션은 솔로 가수들끼리 피쳐링, 리믹스한 경우가 많이 후보에 오른다.] || 아티스트 || || 댄스/일렉트로닉 레코딩 || 아티스트, 프로듀서, 믹서 || || 팝 댄스 레코딩 || 보컬 음원 || 아티스트, 프로듀서, 믹서 || || 팝 보컬 앨범 || 보컬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앨범 50% 이상 참여] || || 댄스/일렉트로닉 앨범 || 보컬/인스트루멘탈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4> '''{{{#ffffff 록, 메탈, 얼터너티브}}}''' || || 록 퍼포먼스 ||<|3> 보컬/인스트루멘탈 음원 || 아티스트 || || 메탈 퍼포먼스[* 모든 [[메탈(음악)|메탈]] 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 아티스트 || || 얼터너티브 뮤직 퍼포먼스 || 아티스트 || || 록 노래 || 보컬 음원 || 송라이터 || || 록 앨범 ||<|2> 보컬/인스트루멘탈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얼터너티브 뮤직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4> '''{{{#ffffff R&B, 랩, 시 낭독}}}''' || || R&B 퍼포먼스[* 현대 알앤비 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2012년부터 Best Male/Female R&B Vocal Performance, Best R&B Performance by a Duo Group with Vocal, Best Urban/Alternative Performance 카테고리를 하나로 합쳐 현재의 이름으로 시상한다. 때문에 성별 및 솔로/듀오/그룹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한꺼번에 심사한다.] ||<|2> 보컬/인스트루멘탈 음원 || 아티스트 || || 트래디셔널 R&B 퍼포먼스[* 전통 알앤비 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 아티스트 || || 랩 퍼포먼스 ||<|4> 보컬 음원 || 아티스트 || || 멜로딕 랩 퍼포먼스[* 랩과 보컬이 함께 들어간 트랙(멜로딕 랩)이 심사 대상이다. 보컬 없이 래퍼의 단독 [[싱잉 랩]]만 있는 경우는 Rap Performance에 속한다. 2021년부터 Rap/Sung Performance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아티스트 || || R&B 노래 || 송라이터 || || 랩 노래 || 송라이터 || || R&B 앨범[* [[리듬 앤 블루스|전통 알앤비]] 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 보컬/인스트루멘탈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프로그레시브 R&B 앨범[* [[컨템퍼러리 R&B|현대 알앤비]] 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2021년부터 Best Urban Contemporary Album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 보컬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bra|최우수 랩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시 낭독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4> '''{{{#ffffff 재즈, 트래디셔널 팝, 컨템포러리 인스트루멘탈, 뮤지컬}}}''' || || 재즈 퍼포먼스 || 보컬/인스트루멘탈 음원 || 아티스트 (20인 이상 앙상블은 리더만) || || 재즈 보컬 앨범 || 보컬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재즈 인스트루멘탈 앨범 ||<|2> 인스트루멘탈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라지 재즈 앙상블 앨범 || 아티스트 (10인 이상 앙상블은 리더만),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 (앨범 50% 이상 참여) || || 라틴 재즈 앨범 ||<|2> 보컬/인스트루멘탈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얼터너티브 재즈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트래디셔널 팝 보컬 앨범[* 댄스/일렉트로닉, 신스, 모듈라 등이 사용되지 않은 전통적인 아메리칸 송북 스타일의 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주로 재즈 보컬 앨범이 후보에 올라 재즈 필드로 분류하는 매체도 있다. 1992년 'Traditional Pop Performance'로, 2000년에는 'Traditional Pop Vocal Performance', 이후 2001년 현재의 이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보컬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컨템포러리 인스트루멘탈 앨범 || 인스트루멘탈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뮤지컬 앨범 || 보컬 앨범 || 주연 배우 최대 4명, 송라이터, 엔지니어/믹서[*A] || ||<-4> '''{{{#ffffff 컨트리, 아메리칸 루츠}}}''' || || 컨트리 솔로 퍼포먼스 ||<|4> 보컬/인스트루멘탈 음원 || 아티스트 || || 컨트리 듀오/그룹 퍼포먼스 || 아티스트 || || 아메리칸 루츠 퍼포먼스 || 아티스트 || || 아메리카나 퍼포먼스 || 아티스트 || || 컨트리 노래 ||<|2> 보컬 음원 || 송라이터 || || 아메리칸 루츠 노래 || 송라이터 || || 컨트리 앨범 ||<|7> 보컬/인스트루멘탈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아메리카나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블루그래스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트래디셔널 블루스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컨템포러리 블루스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포크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리저널 아메리칸 루츠 뮤직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4> '''{{{#ffffff 가스펠, CCM}}}''' || || 가스펠 퍼포먼스/노래[* 모든 전통 가스펠 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2> 보컬 음원 || 아티스트, 송라이터 || || CCM 퍼포먼스/노래[* 모든 현대 크리스천 음악(CCM)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 아티스트, 송라이터 || || 가스펠 앨범[* 모든 전통 가스펠 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3> 보컬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루츠 가스펠 앨범[* 모든 서던 가스펠 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CCM 앨범[* 모든 [[CCM(음악)|현대 크리스천 음악(CCM)]]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4> '''{{{#ffffff 라틴, 글로벌, 아프리칸, 레게, 뉴 에이지, 앰비언트, 챈트}}}''' || || 글로벌 뮤직 퍼포먼스 ||<|2> 보컬/인스트루멘탈 음원 || 아티스트 || || 아프리칸 뮤직 퍼포먼스 || 아티스트 || || 라틴 팝 앨범 ||<|8> 보컬/인스트루멘탈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뮤지카 어바나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라틴 록/얼터너티브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뮤지카 멕시카나 앨범 (Tejano 포함)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트로피컬 라틴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글로벌 뮤직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레게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뉴에이지/앤비언트/챈트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4> '''{{{#ffffff 아동, 코미디, 오디오북/스토리텔링, 영상 삽입음악, 뮤직비디오/영화}}}''' || || 비주얼 미디어 삽입곡 || 보컬 음원 || 송라이터 || || 아동 앨범 || 보컬/인스트루멘탈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코미디 앨범 ||<|2> 보컬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오디오북, 나레이션, 스토리텔링 레코딩 ||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비주얼 미디어 컴필리에이션 사운드트랙 - 영화, TV, 비디오게임 외 ||<|3> 사운드트랙 앨범 || 주요 아티스트, 현장 프로듀서/기획자[* 경우에 따라 뮤직 슈퍼바이저, 마스터링 아티스트, 엔지니어/믹서 등 포함 가능] || || 비주얼 미디어 스코어 사운드트랙 - 영화, TV 외 || 작곡가,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 앨범 33% 이상 참여] || || 비주얼 미디어 스코어 사운드트랙 - 비디오게임 등 대화형 미디어 || 작곡가, 프로듀서, 엔지니어/믹서[*A] || || 뮤직비디오 || 보컬/인스트루멘탈 뮤직비디오 || 아티스트, 감독, 프로듀서 || || 음악영화 || 보컬/인스트루멘탈 음악 영화 || 아티스트, 감독, 프로듀서[* 러닝타임 51% 이상 참여] || ||<-4> '''{{{#ffffff 클래식}}}''' || || 클라식 인스트루멘탈 솔로 ||<|4> 앨범/음원 || 솔로 연주자, 지휘자, 프로듀서, 엔지니어[*A] || || 코러스 퍼포먼스 || 지휘자, 코러스 디렉터, 코러스 마스터, 코러스 앙상블, 프로듀서, 엔지니어[*A] || || 오케스트라 퍼포먼스 || 지휘자, 오케스트라/라지 앙상블, 프로듀서, 엔지니어[*A] || || 실내악/스몰 앙상블 퍼포먼스 || 지휘자, 앙상블, 프로듀서, 엔지니어[*A] || || 오페라 레코딩 || 앨범 || 지휘자, 주요 솔로 연주자, 송라이터 || || 클래식 솔로 보컬 앨범 || 보컬 음원 || 보컬 솔로이스트, 합주 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A] || || 컨템포러리 클래식 작곡 || 보컬/인스트루멘탈 앨범/음원 || 송라이터 || || 클래식 Compendium || 보컬/인스트루멘탈 앨범 || 아티스트, 프로듀서[*A] || ||<-4> '''{{{#ffffff 포장, 노트, 복원}}}''' || || 레코딩 패키지 || 앨범/음원 || 아트 디렉터 || || 박스드/스페셜 리미티드 에디션 패키지 || Boxed Set/Special Package/Limited-Edition Releases || 아트 디렉터 || || 앨범 노트 ||<|2> 보컬/인스트루멘탈 앨범 || 앨범 노트 라이터 || || 복원 앨범 || 컴필리에이션 프로듀서, 복원 엔지니어, 마스터링 엔지니어 || ||<-4> '''{{{#ffffff 프로듀서, 엔지니어, 작곡가, 편곡가}}}''' || || 연주 및 보컬 편곡 || 보컬 음원 || 편곡가 || || 올해의 프로듀서 (클래식) ||<|4> 보컬/인스트루멘탈 앨범 || 프로듀서 || || 엔지니어드 앨범 (非클래식) || 엔지니어, 마스터링 엔지니어 || || 엔지니어드 앨범 (클래식) || 엔지니어, 마스터링 엔지니어 || || 이머시브 오디오 앨범 || 이머시브 오디오 엔지니어, 이머시브 오디오 프로듀서, 이머시브 오디오 마스터링 엔지니어 || || 리믹스 레코딩 (非클래식) || 보컬/인스트루멘탈 음원 || 리믹서 || || 인스트루멘탈 작곡 || 인스트루멘탈 음원 || 작곡가 || || 인스트루멘탈/아카펠라 편곡 || 인스트루멘탈/아카펠라 앨범 || 편곡가 || === 특별 공로상 === ==== 공로상 ==== [include(틀:역대 그래미 공로상 수상자)] 음악 분야에서의 경력 동안 공연 이외에 중요한 공헌을 한 개인들에게 수여하는 특별 공로상이다. 이 상은 퍼포머들에게 수여되는 그래미 평생 공로상과는 다르다. ==== 평생 공로상 ==== [include(틀:역대 그래미 평생 공로상 수상자)] 그래미 평생 공로상은 “레코딩 분야의 뛰어난 예술적 가치와 창조적인 공헌을 일생 동안 기여한 퍼포머"에게 수여하는 특별 공로상이다. 그래미가 퍼포머의 수여하는 명예의 전당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상은 개인보다는 특정 음반을 명예롭게 여기는 ‘그래미 명예의 전당’과는 다르다. ==== 레전드상 ==== [include(틀:역대 그래미 레전드상 수상자)] 그래미 레전드상은 음악의 지속적인 기여와 영향력을 행사하는 아티스트에게 수여하는 특별 공로상이다. ==== 명예의 전당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https://en.wikipedia.org/wiki/Grammy_Hall_of_Fame|목록]] 지속적으로 질적으로 뛰어난 음반 또는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 음반을 기리기 위한 [[명예의 전당]]이다. 모든 장르의 음반(싱글, 앨범)이 선정 대상이며, 발매 된 지 25년이 지나야 심사 대상이 된다. == 주요 수상 내역 == === 최우수 랩 앨범[anchor(bra)]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000 최우수 랩 앨범 - 2020년대}}}''' || || '''연도''' || '''수상''' || '''후보''' || || 2020 ||[[Tyler, The Creator]] – ''[[IGOR]]'' ||{{{-2 *Dreamville – ''Revenge Of The Dreamers III'' *[[Meek Mill]] – ''Championships'' *[[21 Savage]] – ''[[i am > i was]]'' *[[Cordae|YBN Cordae]] – ''The Lost Boy''}}} || || [[제63회 그래미 어워드|2021]] ||[[Nas]] – ''[[King's Disease]]'' ||{{{-2 *D Smoke – ''Black Habits'' *[[Freddie Gibbs]] & [[The Alchemist]] – ''[[Alfredo]]'' *Jay Electronica – ''A Written Testimony'' *[[Royce Da 5'9"]] – ''The Allegory''}}} || || [[제64회 그래미 어워드|2022]] ||[[Tyler, The Creator]] – ''[[CALL ME IF YOU GET LOST]]'' ||{{{-2 *[[J. Cole]] – ''[[The Off-Season]]'' *--[[Drake]]-- – --''[[Certified Lover Boy]]''--[* 본인의 요청으로 본 노미네이션과 수록곡 "[[Way 2 Sexy]]"의 Best Rap Performance 노미네이션이 목록에서 삭제되었다. [[https://nytimes.com/2021/12/06/arts/music/drake-grammy-nominations.html|#]]] *[[Nas]] – ''[[King's Disease II]]'' *[[Kanye West]] – ''[[Donda]]''}}} || || [[제65회 그래미 어워드|2023]] ||[[Kendrick Lamar]] – ''[[Mr. Morale & The Big Steppers]]'' ||{{{-2 *[[Pusha T]] – ''[[It's Almost Dry]]'' *[[Future]] – --''I Never Liked You'' *[[Jack Harlow]] – ''Come Home the Kids Miss You''}}} || |||||| '''이전 수상'''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1990년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연도''' || '''수상''' || '''후보''' || || 1996 ||[[Naughty by Nature]] – ''Poverty's Paradise'' ||{{{-2 *[[Bone Thugs-N-Harmony]] – ''E.1999 Eternal'' *Skee-Lo – ''I Wish'' *[[투팍 샤커|2Pac]] – ''[[Me Against the World]]'' *[[Ol' Dirty Bastard]] – ''Return To The 36 Chambers: The Dirty Version''}}} || || 1997 ||[[푸지스|Fugees]] – ''[[The Score(음반)|The Score]]'' ||{{{-2 *[[투팍 샤커|2Pac]] – ''[[All Eyez on Me]]'' *[[A Tribe Called Quest]] – ''Beats, Rhymes And Life'' *[[Coolio]] – ''[[Gangsta's Paradise]]'' *[[LL Cool J]] – ''[[Mr. Smith]]''}}} || || 1998 ||[[Puff Daddy]] And The Family – ''[[No Way Out(음반)|No Way Out]]'' ||{{{-2 *[[노토리어스 B.I.G.|The Notorious B.I.G.]] – ''[[Life After Death]]'' *[[미시 엘리엇|Missy Elliott]] – ''[[Supa Dupa Fly]]'' *[[Wu-Tang Clan]] – ''Wu-Tang Forever'' *Wyclef Jean Featuring Refugee Allstars – ''Wyclef Jean Presents The Carnival''}}} || || 1999 ||[[JAY-Z|Jay-Z]] – ''[[Vol. 2... Hard Knock Life]]'' ||{{{-2 *[[빅 펀|Big Punisher]] – ''Capital Punishment'' *[[메이스(미국 래퍼)|Mase]] – ''Harlem World'' *[[Jermaine Dupri]] – ''Life In 1472 - The Original Soundtrack'' *[[A Tribe Called Quest]] – ''The Love Movement''}}} ||}}}}}}}}}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2000년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연도''' || '''수상''' || '''후보''' || || 2000 ||[[Eminem]] – ''[[The Slim Shady LP]]'' ||{{{-2 *[[미시 엘리엇|Missy Elliott]] – ''Da Real World'' *[[버스타 라임즈|Busta Rhymes]] – ''E.L.E. (Extinction Level Event - The Final World Front)'' *[[Nas]] – ''[[I Am...]]'' *[[더 루츠|The Roots]] – ''Things Fall Apart''}}} || || 2001 ||[[Eminem]] – ''[[The Marshall Mathers LP]]'' ||{{{-2 *[[DMX]] – ''[[...And Then There Was X]]'' *[[Nelly]] – ''Country Grammar'' *[[닥터 드레|Dr. Dre]] – ''[[2001(음반)|2001]]'' *[[JAY-Z|Jay-Z]] – ''[[Vol. 3... Life and Times of S. Carter]]''}}} || || 2002 ||[[OutKast]] – ''[[Stankonia]]'' ||{{{-2 *[[Ja Rule]] – ''[[Pain Is Love]]'' *[[JAY-Z|Jay-Z]] – ''[[The Blueprint]]'' *[[루다크리스|Ludacris]] – ''Back for the First Time'' *[[Eve]] – ''Scorpion''}}} || || 2003 ||[[Eminem]] – ''[[The Eminem Show]]'' ||{{{-2 *[[루다크리스|Ludacris]] – ''Word of Mouf'' *[[Mystikal]] – ''Tarantula'' *[[Nelly]] – ''Nellyville'' *Petey Pablo – ''Diary Of A Sinner: 1st Entry''}}} || || 2004 ||[[OutKast]] – ''[[Speakerboxxx/The Love Below]]'' ||{{{-2 *[[JAY-Z|Jay-Z]] – ''[[The Blueprint 2: The Gift & The Curse]]'' *[[더 루츠|The Roots]] – ''Phrenology'' *[[미시 엘리엇|Missy Elliott]] – ''Under Construction'' *[[50 센트|50 Cent]] – ''[[Get Rich or Die Tryin'|Get Rich Or Die Tryin']]''}}} || || 2005 ||[[Kanye West]] – ''[[The College Dropout]]'' ||{{{-2 *[[비스티 보이즈|Beastie Boys]] – ''To The 5 Boroughs'' *[[JAY-Z|Jay-Z]] – ''[[The Black Album]]'' *[[LL Cool J]] – ''The Definition'' *[[Nelly]] – ''Suit''}}} || || 2006 ||[[Kanye West]] – ''[[Late Registration]]'' ||{{{-2 *[[Eminem]] – ''[[Encore]]'' *[[50 Cent]] – ''The Massacre'' *[[Common]] – ''[[BE#s-8|Be]]'' *[[Missy Elliott]] – ''The Cookbook''}}} || || 2007 ||[[Ludacris]] – ''Release Therapy'' ||{{{-2 *[[Lupe Fiasco]] – ''Lupe Fiasco's Food & Liquor'' *[[Pharrell Williams]] – ''In My Mind'' *[[The Roots]] – ''[[Game Theory(앨범)|Game Theory]]'' *[[T.I.]] – ''[[King]]''}}} || || 2008 ||[[Kanye West]] – ''[[Graduation]]'' ||{{{-2 *[[T.I.]] – ''T.I. VS T.I.P.'' *[[Common]] – ''Finding Forever'' *[[JAY-Z|Jay-Z]] – ''[[Kingdom Come]]'' *[[Nas]] – ''[[Hip Hop Is Dead]]''}}} || || 2009 ||[[Lil Wayne]] – ''[[Tha Carter III]]'' ||{{{-2 *[[JAY-Z|Jay-Z]] – ''[[American Gangster]]'' *[[Lupe Fiasco]] – ''Lupe Fiasco's The Cool'' *[[Nas]] – ''[[Untitled|Nas]]'' *[[T.I.]] – ''[[Paper Trail]]''}}} ||}}}}}}}}}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2010년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연도''' || '''수상''' || '''후보''' || || 2010 ||[[Eminem]] – ''[[Relapse]]'' ||{{{-2 *[[Q-Tip]] – ''[[The Renaissance]]'' *[[Common]] – ''Universal MInd Control'' *[[Flo Rida]] – ''R.O.O.T.S.'' *[[Mos Def]] – ''The Ecstatic''}}} || || 2011 ||[[Eminem]] – ''[[Recovery]]'' ||{{{-2 *[[B.o.B]] – ''B.o.B Presents: The Adventures Of Bobby Ray'' *[[Drake]] – ''[[Thank Me Later]]'' *[[JAY-Z|JAY Z]] – ''[[The Blueprint 3]]'' *[[The Roots]] – ''How I Got Over''}}} || || 2012 ||[[Kanye West]] –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 ||{{{-2 *[[JAY-Z|JAY Z]] & [[Kanye West]] – ''[[Watch The Throne]]'' *[[Lil Wayne]] – ''Tha Carter IV'' *[[Lupe Fiasco]] – ''Lasers'' *[[Nicki Minaj]] – ''[[Pink Friday]]''}}} || || 2013 ||[[Drake]] – ''[[Take Care]]'' ||{{{-2 *[[Lupe Fiasco]] – ''Food & Liquor II: The Great American Rap Album Pt. 1'' *[[Nas]] – ''[[Life Is Good]]'' *[[The Roots]] – ''Undun'' *[[Rick Ross]] – ''God Forgives, I Don't'' *[[2 Chainz]] – ''Based On A T.R.U. Story''}}} || || 2014 ||[[Macklemore & Ryan Lewis]] – ''The Heist'' ||{{{-2 *[[Kanye West]] – ''[[Yeezus]]'' *[[Drake]] – ''[[Nothing Was The Same]]'' *[[JAY-Z|JAY Z]] – ''[[Magna Carta... Holy Grail]]'' *[[Kendrick Lamar]] – ''[[good kid, m.A.A.d city]]''}}} || || 2015 ||[[Eminem]] – ''[[The Marshall Mathers LP2]]'' ||{{{-2 *[[Iggy Azalea]] – ''The New Classic'' *[[Childish Gambino]] – ''Because The Internet'' *[[Common]] – ''Nobody's Smiling'' *[[ScHoolboy Q]] – ''Oxymoron'' *[[Wiz Khalifa]] – ''Blacc Hollywood''}}} || || 2016 ||[[Kendrick Lamar]] – ''[[To Pimp A Butterfly]]'' ||{{{-2 *[[Nicki Minaj]] – ''[[The Pinkprint]]'' *[[J. Cole]] – ''[[2014 Forest Hills Drive]]'' *[[Dr. Dre]] – ''[[Compton]]'' *[[Drake]] – ''[[If You're Reading This It's Too Late]]''}}} || || 2017 ||[[Chance The Rapper]] – ''[[Coloring Book]]'' ||{{{-2 *[[De La Soul]] – ''And The Anonymous Nobody...'' *[[DJ Khaled]] – ''[[Major Key]]'' *[[Drake]] – ''[[Views]]'' *[[ScHoolboy Q]] – ''Blank Face LP'' *[[Kanye West]] – ''[[The Life Of Pablo]]''}}} || || 2018 ||[[Kendrick Lamar]] – ''[[DAMN.]]'' ||{{{-2 *Rapsody – ''Laila's Wisdom'' *[[Tyler, The Creator]] – ''[[Flower Boy]]'' *[[JAY-Z]] – ''[[4:44]]'' *[[Migos]] – ''[[Culture]]''}}} || || 2019 ||[[Cardi B]] – ''[[Invasion of Privacy|Invasion Of Privacy]]'' ||{{{-2 *[[Mac Miller]] – ''[[Swimming]]'' *[[Nipsey Hussle]] – ''Victory Lap'' *[[Pusha T]] – ''[[DAYTONA]]'' *[[Travis Scott]] – ''[[ASTROWORLD]]''}}} ||}}}}}}}}} ||}}} == 기록 == === 최다 수상 === || 순위 || 아티스트 || 그래미 횟수 || || 1위 || [[비욘세]] || 32개 || || 2위 || [[게오르그 솔티]] || 31개 || || 3위 || [[퀸시 존스]] || 28개 || ||<|2> 4위 || 앨리슨 크라우스 ||<|2> 27개 || || [[칙 코리아]] || || 6위 || [[피에르 불레즈]] || 26개 || ||<|3> 7위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3> 25개 || || [[존 윌리엄스]] || || [[스티비 원더]] || ||<|2> 10위 || [[JAY-Z|제이지]] ||<|2> 24개 || || [[카니예 웨스트]] || ||<|2> 12위 || [[U2]] ||<|2> 22개 || || 빈스 길 || === 여성 최다 수상 === || 순위 || 아티스트 || 그래미 횟수 || || 1위 || [[비욘세]] || 32개 || || 2위 || 앨리슨 크라우스 || 27개 || || 3위 || [[아레사 프랭클린]] || 18개 || || 4위 || [[Adele|아델]] || 16개 || ||<|2> 5위 || [[앨리샤 키스]] ||<|2> 15개 || || 씨씨 위난스 || || 7위 || 주디스 셔먼 || 14개 || ||<|5> 8위 || [[엘라 피츠제럴드]] ||<|5> 13개 || || 에밀루 해리스 || || 레온타인 프라이스 || || [[레이디 가가]] || || 보니 레잇 || === 그룹 최다 수상 === || 순위 || 아티스트 || 그래미 횟수 || || 1위 || [[U2]] || 22개 || || 2위 || [[푸 파이터스(밴드)|푸 파이터스]] || 15개 || || 3위 || 앨리슨 크라우스 & 유니언 스테이션 || 14개 || || 4위 || [[더 칙스|딕시 칙스]] || 13개 || || 5위 || 팻 메스니 그룹 || 10개 || ||<|3> 6위 || [[비틀즈]] ||<|3> 9개 || || 에머슨 스트링 콰르텟 || || 어슬립 엣 더 휠 || === 단일 시상식 최다 수상 === || 순위 || 아티스트 및 연도 || 그래미 횟수 || ||<|2> 1위 || [[마이클 잭슨]], 1984년 ||<|2> 8개 || || [[산타나(밴드)|산타나]], 2000년 || ||<|5> 3위 || [[퀸시 존스]], 1991년 ||<|5> 6개 || || [[에릭 클랩튼]], 1993년 || || [[비욘세]], 2010년 || || [[Adele|아델]], 2012년 || || [[브루노 마스]], 2018년 || === 제너럴 필드 4개 부문 석권 === * [[크리스토퍼 크로스]]: 그래미 역사상 최초로 한꺼번에 4개 본상을 모두 수상한 아티스트. * [[Adele|아델]]: 한 해에 4개의 본상을 모두 수상하지는 못했지만, 2009년에 신인상을 받고 2012년과 2017년에 나머지 3개의 본상을 수상했다.(2012년 ''[[21(음반)|21]]'', 2017년 ''[[25(음반)|25]]'') * [[빌리 아일리시]]: 크리스토퍼 크로스 이후 2 번째로 한 해에 4개의 본상을 모두 수상한 아티스트. 4개의 본상을 모두 보유한 최초의 여성 아티스트는 아델. === 올해의 앨범을 최다 수상한 아티스트 === ||<|2> 횟수 ||<|2> 아티스트 ||<-3> 수상 앨범 || || [[파일:Grammy.svg]] || [[파일:Grammy.svg]][[파일:Grammy.svg]] || [[파일:Grammy.svg]][[파일:Grammy.svg]][[파일:Grammy.svg]] || ||<|4> '''{{{+3 3회}}}''' || '''[[프랭크 시나트라]]''' [* 올해의 앨범을 최초로 2회, 3회 수상한 아티스트[br] 올해의 앨범을 연속 두 번 수상한 최초의 아티스트] || [[파일:57071BDE-1685-4AA2-AA9E-B69265972863.png|width=100%]][br]{{{-2 ''Come Dance With Me!''[br](1959)}}} || [[파일:894E335B-4E83-4E15-80A3-BE97687175D0.png|width=100%]][br]{{{-2 ''September of My Years''[br](1965)}}} || [[파일:667660D7-D3A2-478B-A801-2C27B83FB3BB.png|width=100%]]{{{-2 ''A Man and His Music''[br](1965)}}} || || '''[[스티비 원더]]''' [* 올해의 앨범을 연속 두 번 수상한 아티스트] || [[파일:external/40.media.tumblr.com/tumblr_mqx5h5VwdJ1qejocno1_500.jpg|width=100%]][br]{{{-2 ''[[Innervisions]]''[br](1973)}}} || [[파일:E06E9024-0DAA-460A-932F-4C70F0621EC0.png|width=100%]][br]{{{-2 ''Fulfillingness' First Finale''[br](1974)}}} || [[파일:FDE7D172-223A-456E-A861-82FF10E0D336.png|width=100%]][br]{{{-2 ''[[Songs in the Key of Life]]''[br](1976)}}} || || '''[[폴 사이먼]]''' ||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A1HtYRZSbwL._SL1500_.jpg|width=100%]][br]{{{-2 ''[[Bridge Over Troubled Water]]''[br](1970)}}}[* [[Simon & Garfunkel]]로 수상] || [[파일:C499C3F9-FE3F-47CA-9D94-A33CBA0D82F1.png|width=100%]][br]{{{-2 ''Still Crazy After All These Years''[br](1975)}}} || [[파일:A1CBFCEE-BD23-4489-BE0D-BCC993C3AA5A.png|width=100%]][br]{{{-2 ''[[Graceland]]''[br](1986)}}} || || '''[[테일러 스위프트]]''' [* 올해의 앨범을 2회, 3회 수상한 최초의 여성 아티스트] || [[파일:Fearless_standard_cover.png|width=100%]]{{{-2 ''[[Fearless(테일러 스위프트)|Fearless]]''[br](2008)}}} || [[파일:1989_standard_cover.png|width=100%]]{{{-2 ''[[1989(음반)|1989]]''[br](2014)}}} || [[파일:folklore_cover.png|width=100%]]{{{-2 ''[[folklore]]''[br](2020)}}} || * 아티스트가 아닌 엔지니어, 프로듀서 등을 전부 포함하여 따지면 3회, 4회 수상한 사람이 존재한다. === 무관의 제왕 === * 아티스트를 제외한 프로듀서 및 엔지니어는 제외함. || 순위 || 아티스트 || 노미네이션 횟수 || ||<|2> 1 || [[스눕 독]] ||<|2> 17회 || || [[브라이언 맥나잇]] || || 3 || [[비요크]] || 16회 || || 4 || [[조 새트리아니]] || 15회 || ||<|4> 5 || 토시코 아키요시 ||<|4> 14회 || || 마트리나 맥브라이드 || || 디억 벤틀리 || || 프레드 허스 || ||<|3> 9 || [[케이티 페리]] ||<|3> 13회 || || 스피로 기라 || || [[Musiq Soulchild|뮤지크 소울차일드]] || ===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음악대학교 === * 1위: [[버클리 음악대학]] - 총 '''310'''개의 그래미상, '''108'''개의 라틴 그래미상 수상 (2021년 기준) [[https://berklee.edu/awards/alumni-grammy-winners|#]][[https://berklee.edu/awards/latin-grammy-winners|#]] * 2위: [[줄리아드 스쿨]] - 총 '''105'''개의 그래미상 수상 (2020년 기준) [[https://juilliard.edu/school/about/diploma-programs-statistics-disclosure|#]] == [[그래미 어워드/논란과 비판|논란과 비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그래미 어워드/논란과 비판)] == 기타 == * 가수들의 퍼포먼스 또한 기대할 만하며, 유명한 퍼포먼스로는 [[핑크(가수)|핑크]]의 "Glitter In The Air"가 있다.[* 2010 [[MAMA]]에서 원더걸스가 시도했던 그 퍼포먼스이다. [[https://youtu.be/oXLvRa9--Uw|#]]] 그리고 2014년 그래미에서 비슷한 퍼포먼스를 또 했다. 2016년의 [[켄드릭 라마]]의 퍼포먼스도 역대급이었다는 평이 있다.[* 대놓고 흑인 노예에 아프리카를 상징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나와 사회적으로도 이슈가 되었다.] * 노미네이트된 곡들을 추려 낸 컴필레이션 앨범 Grammy Nominees가 매년 1월쯤에 발매된다.[* 주요 4개 부분을 중심으로 약 20여곡이 실려있다. CD 재생시간의 제한 때문인지 원곡보다 약간 짧게 편곡된 버전이 많다.] * [[문명 4]]의 주제곡 [[Baba Yetu|바바 예투]]가 2011년 상을 받기도 했다. 그래미 어워드 최초로 게임 음악이 상을 받은 케이스이다. 이후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의 곡 어레인지가 수상하면서 게임 음악의 수상이 늘었다. * 매년 30초짜리 홍보영상이 나온다.[[https://yeocm.egloos.com/2029868|#]] * '''라틴''' 그래미 어워드라는 바리에이션이 있는데 이건 라틴 재즈(Latin Jazz), [[라틴 팝]], [[탱고]], [[보사노바|보사 노바]] 같은 남미 음악 장르에 한정해 시상하는 시상식이다. 주최 단체도 이 항목에서 서술하는 그래미 어워드와 다르다. 가끔 여기서 상을 받은 걸 가지고 '진짜' 그래미 어워드를 받은 양 프로모션에 써먹거나 하는 일이 있는데 혼동하지 않도록 하자. 그래미에도 라틴 음악 부문이 있는데 당연히 라틴 그래미 어워드 수상보다 그래미 어워드 라틴 음악 부문에서 수상하는 게 더 있어 보인다. * 본상은 물론이고 기타 상 후보에 노미네이트된 곡들에는 일절 비속어를 쓸 수 없다. 그래서 그래미 수상을 노리는 가수들은 가사에 영 좋지 않은 말이 들어갈 경우 원본 그대로의 앨범과 욕설을 제거한 앨범을 따로 발매한다. 2005년 그래미 어워드 Best Rap Performance by a Duo or Group[* 두 명 이상의 힙합 그룹에게 주었던 상. 2012년부터 Best Rap Performance 부문에 통합.]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던 [[비스티 보이스]]의 "Ch-check it out"이 그 예인데, 가사 내용 일부가 아주 찰진(...)욕으로 이루어져서 수정된 버전을 발매하여 노미네이트 되었다. * 방탄소년단이 한국 가수 처음으로 그래미 단독 퍼포머로의 참석이 2021년 3월 8일(한국시각) 발표되었다.[[https://www.grammy.com/grammys/news/2021-grammys-performers-taylor-swift-bad-bunny-cardi-b-bts-billie-eilish-dua-lipa-megan-thee-stallion-post-malone-harry-styles|#]] * 2020년 62회 시상식에서는 본격적인 시상식이 진행되기 전에 [[코비 브라이언트]]를 추모하는 무대가 열렸다.[[https://twitter.com/CBS/status/1221609839861780481|알리샤 키스의 코비 브라이언트 추모]] 생전에 고인이 몸담았던 [[LA 레이커스]]의 홈구장인 [[스테이플스 센터]]에서 진행되었기 때문. * 힙합 부문은 1989년[* 힙합 음악이 본격적으로 대중음악에 편입되기 시작한 해이다.] 31회 시상식부터 신설되어 수상을 하기 시작했으며[* 신설되었을땐 앨범 부문 없이 'Best Rap Performance' 부문이 전부였다.] 초대 수상자는 DJ Jazzy Jeff & The Fresh Prince. The Fresh Prince는 알다시피 [[윌 스미스]]의 래퍼 시절 예명이다.[* 래퍼 시절에 얻은 인지도로, 윌 스미스는 자신의 이름을 건 시트콤 [[더 프레시 프린스 오브 벨 에어]]에 출연하여 대단한 히트를 거두게 된다.] 즉, 윌 스미스는 그래미에서 상을 받은 최초의 래퍼.[* 파트너인 DJ Jazzy Jeff는 예명에도 나와있듯이 팀에서 프로듀싱을 담당하는 DJ였으며 랩은 윌 스미스 혼자 담당이었다.] * 2022년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의 "메타 나이트의 역습" 주제곡을 어레인지한 [[https://youtu.be/EIP3HdFl-JM|The 8-bit big band 팀의 곡]]이 그래미 상을 수상했다. 이 팀은 팀명처럼 고전 게임들의 곡을 현대악기로 재창조하는 일을 하고 있었다. == 참조 문서 == * [[제63회 그래미 어워드]] * [[제64회 그래미 어워드]] * [[제65회 그래미 어워드]] * [[빌보드 뮤직 어워드]] *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분류:그래미 어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