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Grand Slam of Curling''' 월드 컬링 투어 대회 중에서 가장 큰 상금이 걸린 대회들로 구성됐다. 컬링 종목의 역사에 비하면 그랜드 슬램의 역사는 짧은데 남자부는 2001-2002 시즌부터, 여자부는 2006-2007 시즌부터 시작됐다. 남녀부 따로 운용되다가 단계적으로 기존 남자부 대회에 여자부 대회가 추가되면서 현재는 공동으로 열린다. == 상세 == 2001년 당시 캐나다 남자 컬링선수들은 캐나다컬링협회[* 현재의 컬링 캐나다(Curling Canada)]의 방만한 운영에 불만을 갖고 있었다. 브라이어[* Brier. 캐나다 남자 컬링 선수권 대회.]를 통해 협회가 막대한 수입을 버는 동안 선수들에게는 우승을 해도 상금도 없었고, 브라이어 동안 참가팀들은 개별 스폰서도 없이 참가해야 했기에 우승팀이 국가대표로서 [[세계컬링선수권대회|세계선수권]]에 참가한다는 것 외에는 선수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없었다. 참다 못한 최상위 20개 팀 중 18개 팀은 브라이어를 보이콧하기로 결의하고 직접 스폰서를 유치하며 그랜드 슬램 대회를 만들었다. 캐나다컬링협회도 보이콧한 팀의 브라이어 출전을 금지하면서 한동안 협회와 선수들의 불화가 지속됐다. 그러나 그랜드 슬램으로 인해 다수 기업이 컬링 대회의 스폰서로 나서며 다른 월드 컬링 투어 대회도 점차 성장하는 계기가 됐고, 선수들도 상금을 받는 대회가 늘어남에 따라 경쟁 의식도 커졌고, 대회의 중계로 관중들을 더욱 끌어모으는 효과까지 생기는 등 결과적으로 컬링이 보다 프로스포츠에 근접하게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2012년 캐나다의 통신회사 로저스 커뮤니케이션 산하의 스포츠넷에서 그랜드 슬램 소유권을 사면서 스포츠넷을 통해 그랜드 슬램 경기가 중계되고, [[CBC(캐나다)|CBC]]도 일부 경기를 중계한다. 2018-2019 시즌부터 투어 대회나 국제대회에 이른바 파이브락 규정[* Five-rock rule. 이전까지는 선공팀 세컨드의 첫번째 투구부터 프리가드존의 스톤을 제거할 수 있었으나, 후공팀 세컨드의 첫번째 투구부터 프리가드존의 스톤을 제거할 수 있다.]이 도입됐으나, 이미 그랜드 슬램에서는 2014-2015 시즌부터 파이브락 규정을 정식 시행했다. 일반 투어 대회처럼 참가 신청을 해서 출전하는 게 아니라 월드 컬링 투어의 랭킹에 따라 대회 주최측에서 선수를 초청한다. 초청 대상 랭킹 기준은 일반적으로 해당 대회가 열리는 날로부터 4~5주 전이다. 반드시 참가할 필요 없이 불참할 수도 있으며, 불참시에는 랭킹 순위대로 그 다음 팀이 초청된다. 남자 스킵의 경우 캐나다의 [[케빈 마틴]]이 18번으로 가장 많이 우승했다. 非캐나다 스킵으로 가장 많이 우승한 건 스코틀랜드의 [[브루스 모왓]](5번). 여자 스킵의 경우 캐나다의 [[제니퍼 존스]]가 15번으로 가장 많이 우승했다. 非캐나다 스킵으로 가장 많이 우승한 건 스웨덴의 [[안나 하셀보리]](7번). 아직 한국팀이 그랜드 슬램에서 우승한 적은 없다. 2017년 내셔널에서 [[경북체육회 컬링팀|경북체육회 남자팀]]이, 2020년 캐내디언 오픈에서 [[춘천시청 컬링팀|춘천시청]]이, 2022년 챔피언스 컵에서 [[경기도청 컬링팀|경기도청]]이 결승까지 진출했으나 모두 준우승에 그쳤다. 2017년 내셔널의 경우, 아시아 남자 컬링팀이 그랜드 슬램 결승까지 진출한 건 처음이었다. [[강릉시청 컬링팀|강릉시청]]([[팀 킴]])과 [[경기도청 컬링팀|경기도청]]은 그랜드 슬램 6개 대회 모두 초청받고 출전한 경험이 있다. 참고로 국가대표 경기나 다른 투어 대회나 달리 그랜드 슬램 경기는 [[PPV|페이퍼뷰]]라서 한국에서는 개인이 시청권을 사지 않는 한 볼 수 없다. 또한 아직 인지도가 떨어지는 관계로 한국팀이 출전하는 경우에도 예선에서 한국팀 경기를 편성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현재 대회 == 2023-2024 시즌 기준 5개 대회다. 5개 대회 중 마스터즈, 내셔널, 오픈, 플레이어스 챔피언십은 초창기부터 있었던 대회로, 이 4개 대회는 '''메이저'''로 불린다. === 투어 챌린지 === 남녀 32개 팀씩 총 64개 팀이 참가해 그랜드 슬램 대회 중 가장 많은 팀이 참가하며 참가팀을 티어 1, 2위로 나눈다. 티어1은 이전 시즌과 현재 시즌 랭킹 포인트 총합 상위 16개 팀이 초청 대상이고, 티어2는 티어1의 참가팀이 정해진 후 다음 랭킹 포인트 총합 상위 16개 팀이 초청 대상이다. 티어2는 실제 그랜드 슬램 우승 경력에서는 제외된다. 다만 티어2도 대회 포인트가 높다.[* 포인트만 두고 비교하면 티어1 4강 진출팀과 티어2 우승팀이 비슷하다.] 티어2 우승팀은 캐내디언 오픈의 초청 대상이다.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에서 상위 8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토너먼트로 우승자를 정한다. 티어1 총합 상금 12만 [[캐나다 달러]]. 티어2 총합 상금 5만 [[캐나다 달러]] || {{{#ffffff '''연도'''}}} || {{{#ffffff '''개최지'''}}} || {{{#ffffff '''구분'''}}} || {{{#ffffff '''남자 우승팀 스킵'''}}} || {{{#ffffff '''여자 우승팀 스킵'''}}} || ||<|2> 2015 ||<|2>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파라다이스 || 티어1 || [[케빈 쿠이]][br](캐나다 앨버타) || [[실바나 티린초니]][br](스위스) || || {{{-2 티어2}}} || {{{-2 짐 코터[br](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 {{{-2 [[케리 에이너슨]][br](캐나다 매니토바)}}} || ||<|2> 2016 ||<|2> [[브리티시 컬럼비아]] 크랜브룩 || 티어1 || [[니클라스 에딘]][br](스웨덴) || 밸러리 스위팅[br](캐나다 앨버타) || || {{{-2 티어2}}} || {{{-2 그렉 발스던[br](캐나다 온타리오)}}} || {{{-2 재클린 해리슨[br](캐나다 온타리오)}}} || ||<|2> 2017 ||<|2> [[서스캐처원]] 리자이나 || 티어1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밸러리 스위팅[br](캐나다 앨버타) || || {{{-2 티어2}}} || {{{-2 제이슨 건라우그슨[br](캐나다 매니토바)}}} || {{{-2 [[케리 에이너슨]][br](캐나다 매니토바)}}} || ||<|2> 2018 ||<|2> [[온타리오]] 선더베이 || 티어1 || 브래드 제이컵스[br](캐나다 온타리오) || [[레이첼 호먼]][br](캐나다 온타리오) || || {{{-2 티어2}}} || {{{-2 커크 뮤이레스[br](캐나다 서스캐처원)}}} || {{{-2 엘레나 스테른[br](스위스)}}} || ||<|2> 2019 ||<|2> [[노바스코샤]] 픽토카운티 || 티어1 || 브래드 제이컵스[br](캐나다 온타리오) || [[안나 하셀보리]][br](스웨덴) || || {{{-2 티어2}}} || {{{-2 코리 드롭킨[br](미국)}}} || {{{-2 [[김민지(컬링)|김민지]][br](대한민국)}}} || || 2020 ||||<|2> [[앨버타]] 그랜드프레리 ||||<|2> 대회 취소[*A] || || 2021 || ||<|2> 2022 ||<|2> [[앨버타]] 그랜드프레리 || 티어1 || [[니클라스 에딘|팀 에딘]][* 스킵 니클라스 에딘이 준결승을 앞두고 무릎 통증 때문에 결장하면서 남은 3명이서 준결승과 결승을 치렀다.][br](스웨덴) || [[레이첼 호먼|팀 호먼]][* 2022-2023 시즌 동안 트레이시 플루리가 스킵을 맡지만, 대외적인 인지도를 고려해서 '팀 호먼' 명의로 활동한다.][br](캐나다 온타리오) || || {{{-2 티어2}}} || {{{-2 코리 드롭킨[br](미국)}}} || {{{-2 클랜시 그랜디[br](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 ||<|2> 2023 ||<|2> [[온타리오]] 나이아가라폴스 || 티어1 || || || || {{{-2 티어2}}} || {{{-2 }}} || {{{-2 }}} || * 한국팀 초청 여부 및 성적 랭킹은 초청 당시 기준이다. || {{{#ffffff '''연도'''}}} || {{{#ffffff '''스킵(팀)'''}}} || {{{#ffffff '''랭킹'''}}} || {{{#ffffff '''결과'''}}} || || 2015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 4강 || || 2017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 예선 탈락 (티어2, 타이브레이크) || ||<|2> 2018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11위 || 미참가 ||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 32위 || 8강 (티어2) || ||<|3> 2019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 21위 || 미참가[*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아시아태평양선수권]]과 시기가 겹쳐 출전 포기.] || || [[김민지(컬링)|김민지]](춘천시청) || 26위 || 우승 (티어2) ||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29위 || 미참가 || ||<|3> 2022 || [[김은정(컬링)|김은정]](강릉시청) || 7위 || 8강 ||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 9위 || 4강 || || [[김창민(컬링)|김창민]](경북체육회) || 28위 || 예선 탈락 (티어2) || ||<|4> 2023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 5위 || || || [[하승연]](춘천시청) || 14위 || || || [[김은정(컬링)|김은정]](강릉시청) || 23위 || (티어2) || || [[정병진]](서울시청) || 35위 || (티어2) || === 내셔널 === 이전 시즌과 현재 시즌 랭킹 포인트 총합 상위 16개 팀이 초청 대상이다.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에서 상위 8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토너먼트로 우승자를 정한다. 총합 상금 12만 5천 [[캐나다 달러]]. || {{{#ffffff '''연도'''}}} || {{{#ffffff '''개최지'''}}} || {{{#ffffff '''남자 우승팀 스킵'''}}} || {{{#ffffff '''여자 우승팀 스킵'''}}} || || 2002 || [[온타리오]] 수세인트마리 || 글렌 하워드[br](캐나다 온타리오) ||<|14> 미개최 || || 2003 || [[서스캐처원]] 훔볼트 || 피에르 샤르테[br](캐나다 퀘벡) || || 2004(1월) || [[서스캐처원]] 프린스앨버트 || 글렌 하워드[br](캐나다 온타리오) || || 2004(11월)[* 2004-2005 시즌에는 내셔널 대신 BDO 컬링 클래식이 열렸다. 현재는 내셔널 대회로 같이 취급한다.] || [[온타리오]] [[해밀턴(캐나다)|해밀턴]] ||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 2005 ||<|3> [[노바스코샤]] 포트혹스베리 || 웨인 미다우[br](캐나다 온타리오) || || 2007(3월) ||<|2>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 2007(12월) || || 2008 || [[퀘벡]] [[퀘벡 시]] || 웨인 미다우[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0(1월) || [[온타리오]] 궬프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 2010(12월) || [[브리티시 컬럼비아]] 버넌 ||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 2012 || [[브리티시 컬럼비아]] 도슨크릭 || 글렌 하워드[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3 || [[노바스코샤]] 포트혹스베리 || 제프 스토튼[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4(3월) || [[앨버타]] 포트맥머리 || 글렌 하워드[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4(11월) || [[온타리오]] 수세인트마리 || 마이크 맥윈[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5 || [[온타리오]] 오샤와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레이첼 호먼]][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6 ||<|2> [[온타리오]] 수세인트마리 || 브래드 제이컵스[br](캐나다 온타리오) || [[케리 에이너슨]][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7 || [[브루스 모왓]][br](스코틀랜드)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8 ||<|2>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컨셉션베이사우스 || 로스 패터슨[br](스코틀랜드) || [[레이첼 호먼]][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9 || 브래드 제이컵스[br](캐나다 온타리오) || [[안나 하셀보리]][br](스웨덴) || || 2020 ||<|2> [[앨버타]] 체스터미어 |||| 대회 취소[*A [[코로나 19]]의 유행에 따라 대회를 취소했다.] || || 2021 ||<|2>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안나 하셀보리]][br](스웨덴) || || 2022 || [[온타리오]] 노스베이 || [[실바나 티린초니]][br](스위스) || || 2023 || [[노바스코샤]] 웨스트빌로드 || || || * 한국팀 초청 여부 및 성적 랭킹은 초청 당시 기준이다. || {{{#ffffff '''연도'''}}} || {{{#ffffff '''스킵(팀)'''}}} || {{{#ffffff '''랭킹'''}}} || {{{#ffffff '''결과'''}}} || || 2014 || [[김수혁(컬링)|김수혁]](강원도청) || || 예선 탈락 || || 2015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 예선 탈락 || || 2016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11위 || 예선 탈락 || ||<|2> 2017 || [[김창민(컬링)|김창민]](경북체육회) || 10위 || '''준우승'''[* 아시아 남자 컬링팀 첫 그랜드 슬램 결승 진출. 2016년 투어 챌린지 이후 그랜드 슬램 남자부 경기 역사상 2번째로 非캐나다 팀끼리의 결승전이었다.] ||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17위 || 미참가 || || 2018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18위 || 미참가 || ||<|3> 2021 || [[김은정(컬링)|김은정]](강릉시청) || 9위 || 미참가[*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아시아태평양선수권]]과 시기가 겹쳐 출전 포기.] || || [[김혜린(컬링)|김혜린]][* 원래 팀 스킵은 [[김민지(컬링)|김민지]]이지만, 믹스더블 국가대표로 선발돼 유럽으로 전지훈련을 가면서 서드 [[김혜린(컬링)|김혜린]]이 대신 스킵을 맡았다.](춘천시청) || 12위 || 예선 탈락 ||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 15위 || 예선 탈락 || ||<|2> 2022 || [[김은정(컬링)|김은정]](강릉시청) || 7위 || 예선 탈락 ||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 8위 || 8강 || === 마스터즈 === 과거에는 '월드컵 오브 컬링', '선 라이프 클래식'으로 불렸다. 이전 시즌과 현재 시즌 랭킹 포인트 총합 상위 15개 팀과 스폰서 면제 1팀[* 2017-2018 시즌까지는 스폰서 추천은 1팀이었다. 남은 1팀은 투어 챌린지 티어 2 우승팀으로, 이때까지는 투어 챌린지가 먼저 열린 이후에 마스터즈가 열렸다.]이 초청 대상이다.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에서 상위 8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토너먼트로 우승자를 정한다. 총합 상금 15만 [[캐나다 달러]]. 여담으로 첫번째 대회 스폰서가 [[기아자동차]]였다. || {{{#ffffff '''연도'''}}} || {{{#ffffff '''개최지'''}}} || {{{#ffffff '''남자 우승팀 스킵'''}}} || {{{#ffffff '''여자 우승팀 스킵'''}}} || || 2002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갠더 || 브루스 코테[br](캐나다 서스캐처원) ||<|11> 미개최 || || 2003(1월) ||<|2> [[온타리오]] 서드버리 ||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 2003(12월) || 웨인 미다우[br](캐나다 온타리오) || || 2004 || [[서스캐처원]] 훔볼트 || 제프 스토튼[br](캐나다 매니토바) || || 2006(2월)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세인트 존스]] || 랜디 퍼비[br](캐나다 앨버타) || || 2006(12월) || [[온타리오]] 워털루 ||<|4> 글렌 하워드[br](캐나다 온타리오) || || 2008(1월) || [[서스캐처원]] [[새스커툰]] || || 2008(11월) || [[온타리오]] 워털루 || || 2009 || [[온타리오]] 미시소가 || || 2010 || [[온타리오]] 윈저 || 마이크 맥윈[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1 || [[온타리오]] 수세인트마리 || 글렌 하워드[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2 || [[온타리오]] 브랜트퍼드 || [[케빈 쿠이]][br](캐나다 앨버타) ||<|2> [[레이첼 호먼]][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3 || [[브리티시 컬럼비아]] 애버츠퍼드 || 글렌 하워드[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4 || [[매니토바]] 셀커크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밸러리 스위팅[br](캐나다 앨버타) || || 2015 || [[노바스코샤]] 트루로 || 마이크 맥윈[br](캐나다 매니토바) || [[레이첼 호먼]][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6 || [[앨버타]] 오코톡스 || [[니클라스 에딘]][br](스웨덴) || 앨리슨 플랙시[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7 || [[서스캐처원]] 로이드민스터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8 || [[노바스코샤]] 트루로 || 존 에핑[br](캐나다 온타리오) || [[안나 하셀보리]][br](스웨덴) || || 2019 || [[온타리오]] 노스베이 || 맷 던스톤[br](캐나다 서스캐처원) || 트레이시 플루리[br](캐나다 매니토바) || || 2020 || [[온타리오]] 사니아램턴 |||| 대회 취소[*A [[코로나 19]] 유행에 따라 대회를 취소했다.] || || 2021[* 코로나 19의 여파 때문인지 예년과 달리 16개팀을 초청해 트리플 넉아웃으로 8강 진출팀을 결정했다.] ||<|2> [[온타리오]] 오크빌 || [[브루스 모왓]][br](스코틀랜드) || 트레이시 플루리[br](캐나다 매니토바) || || 2022 || [[조엘 레토르나]][br](이탈리아) || [[케리 에이너슨]][br](캐나다 매니토바) || || 2023 || [[서스캐처원]] [[새스커툰]] || || || * 한국팀 초청 여부 및 성적 랭킹은 초청 당시 기준이다. || {{{#ffffff '''연도'''}}} || {{{#ffffff '''스킵(팀)'''}}} || {{{#ffffff '''랭킹'''}}} || {{{#ffffff '''결과'''}}} || || 2013 || [[김지선(컬링)|김지선]](경기도청) || || 8강 || || 2015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 예선 탈락(타이브레이크) || || 2016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 8강 || || 2018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9위 || 미참가 || ||<|3> 2021 || [[김혜린(컬링)|김혜린]](춘천시청) || 11위 || 예선 탈락 || || [[김은정(컬링)|김은정]](강릉시청) || 13위 || 4강 ||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 15위 || 예선 탈락 || ||<|3> 2022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 7위 || 4강 || || [[김은정(컬링)|김은정]](강릉시청) || 9위 || 예선 탈락 || === 캐내디언 오픈 === 2021년 대회를 캐나다가 아닌 미국에서 개최하기로 하면서 캐내디언을 빼고 '오픈'이라고만 부른 적이 있었다. 하지만 2023년 대회에서 다시 캐내디언 오픈으로 돌아왔다. 토탈(이전 시즌과 현재 시즌 포인트 총합) 랭킹 포인트 7개팀, YTD(현재 시즌) 랭킹 상위 7개 팀, 스폰서 면제 조건으로 1팀, 투어 챌린지 티어2 우승팀이 초청 대상이다. 16개 팀간의 트리플 넉아웃 토너먼트전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16강 토너먼트로 2팀, 첫 번째 패자부활전에서 3팀, 두 번째 패자부활전에서 3팀 등 총 8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토너먼트로 우승자를 정한다. 총합 상금 15만 [[캐나다 달러]]. || {{{#ffffff '''연도'''}}} || {{{#ffffff '''개최지'''}}} || {{{#ffffff '''남자 우승팀 스킵'''}}} || {{{#ffffff '''여자 우승팀 스킵'''}}} || || 2001 || [[앨버타]] 웨인라이트 || 웨인 미다우[br](캐나다 온타리오) ||<|13> 미개최 || || 2002 || [[온타리오]] 선더베이 ||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 2003 || [[매니토바]] 브랜던 || 글렌 데스핀스[br](캐나다 서스캐처원) || || 2005 ||<|3> [[매니토바]] [[위니펙]] ||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 2006 || 제프 스토튼[br](캐나다 매니토바) || || 2007(1월) ||<|2>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 2007(12월) || [[퀘벡]] [[퀘벡 시]] || || 2009 ||<|2> [[매니토바]] [[위니펙]] || 글렌 하워드[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0 ||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 2011(1월) || [[온타리오]] 오샤와 ||<|2> 마이크 맥윈[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1(12월) || [[온타리오]] 킹스턴 || || 2012 || [[브리티시 컬럼비아]] 켈로나 || 글렌 하워드[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3 || [[앨버타]] 메디슨햇 || [[케빈 쿠이]][br](캐나다 앨버타) || || 2014 ||<|2> [[서스캐처원]] 요크턴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이브 뮤어헤드]][br](스코틀랜드) || || 2015 || 존 에핑[br](캐나다 온타리오) || [[레이첼 호먼]][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7 || [[서스캐처원]] 노스배틀퍼드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케이시 샤이데거[br](캐나다 앨버타) || || 2018 || [[앨버타]] 캠로즈 || [[피터 드 크루즈]][br](스위스) || 첼시 캐리[br](캐나다 앨버타) || || 2019 || [[서스캐처원]] 노스배틀퍼드 || 브렌던 보처[br](캐나다 앨버타) || [[레이첼 호먼]][br](캐나다 온타리오) || || 2020 || [[서스캐처원]] 요크턴 || 브래드 제이컵스[br](캐나다 온타리오) || [[안나 하셀보리]][br](스웨덴) || || 2021 || [[미국]] [[네바다]] [[라스베이거스]][* 그랜드 슬램 역사상 최초로 캐나다가 아닌 타국에서 열릴 예정이었다.] ||||<|2> 대회 취소[*A] || || 2022 ||<|2> [[앨버타]] 캠로즈 || || 2023 || 브렌던 보처[br](캐나다 앨버타) || [[후지사와 사츠키]][br](일본) || || 2024 || [[앨버타]] 레드디어 || || || * 한국팀 초청 여부 및 성적 랭킹은 초청 당시 기준이다. || {{{#ffffff '''연도'''}}} || {{{#ffffff '''스킵(팀)'''}}} || {{{#ffffff '''랭킹'''}}} || {{{#ffffff '''결과'''}}} || || 2015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21위 || 예선 탈락 || ||<|2> 2018 || [[김창민(컬링)|김창민]](경북체육회) || 8위(YTD) || 예선 탈락 ||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22위(YTD) || 4강 || ||<|2> 2019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 13위(YTD) || 미참가[* 세계 퀄리피케이션 이벤트와 시기가 겹쳐 출전 포기.] || || [[김민지(컬링)|김민지]](춘천시청) || 15위(토탈)[* 투어 챌린지 티어2 우승팀. 실제 토탈 랭킹 기준으로 앞에 1팀이, YTD 랭킹 기준으로는 앞에 2팀이 더 있었다.] || '''준우승''' || ||<|2> 2022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 3위(YTD) || 4강 || || [[김은정(컬링)|김은정]](강릉시청) || 9위(토탈) || 미참가 || ===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 현재 시즌 랭킹 상위 12개 팀이 초청 대상이다. 12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에서 상위 8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토너먼트로 우승자를 정한다. 시즌 마지막 메이저 대회답게 총합 상금이 15만 [[캐나다 달러]]로, 그랜드 슬램 대회 중 가장 많다. 핀티즈 컵에 반영되는 포인트도 차이가 있는데, 다른 그랜드 슬램에서 우승하면 12점을 받는 반면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우승은 25점이다. || {{{#ffffff '''연도'''}}} || {{{#ffffff '''개최지'''}}} || {{{#ffffff '''남자 우승팀 스킵'''}}} || {{{#ffffff '''여자 우승팀 스킵'''}}} || || 1993 ||<|2> [[앨버타]] [[캘거리]] || 러스 하워드[br](캐나다 온타리오) ||<|13> 미개최 || || 1994 ||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 1995(4월) || [[매니토바]] 셀커크 || 머레이 맥키천[br](캐나다 서스캐처원) || || 1995(12월) || [[앨버타]] 재스퍼 || 웨인 미다우[br](캐나다 온타리오) || || 1997 || [[매니토바]] [[위니펙]] || 러스 하워드[br](캐나다 온타리오) || || 1998 || [[앨버타]] 포트맥머리 ||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 1999 ||<|2> [[매니토바]] [[위니펙]] || 웨인 미다우[br](캐나다 온타리오) || || 2000 ||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 2001 || [[앨버타]] [[캘거리]] ||<|2> 웨인 미다우[br](캐나다 온타리오) || || 2002 || [[온타리오]] 스트라스로이 || || 2003 || [[앨버타]] 리덕 || 제프 스토튼[br](캐나다 매니토바) || || 2004 ||<|2>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세인트 존스]] || 존 모리스[br](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 || 2005 ||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 2006 ||<|2> [[앨버타]] [[캘거리]] || 랜디 퍼비[br](캐나다 앨버타) ||<|2>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2007 ||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 2008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세인트 존스]] || 글렌 하워드[br](캐나다 온타리오) || 앰버 홀랜드[br](캐나다 서스캐처원) || || 2009 || [[앨버타]] 그랜디프레리 || 랜디 퍼비[br](캐나다 앨버타)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0 || [[브리티시 컬럼비아]] 도슨크릭 ||<|2>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셰릴 버나드[br](캐나다 앨버타) || || 2011 || [[앨버타]] 그랜디프레리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2 ||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서머사이드 || 존 에핑[br](캐나다 온타리오) || 스테파니 로턴[br](캐나다 서스캐처원) || || 2013 || [[온타리오]] [[토론토]] || 글렌 하워드[br](캐나다 온타리오) || [[이브 뮤어헤드]][br](스코틀랜드) || || 2014 ||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서머사이드 ||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5 ||<|6> [[온타리오]] [[토론토]] || 브래드 제이컵스[br](캐나다 온타리오) ||<|2> [[이브 뮤어헤드]][br](스코틀랜드) || || 2016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 2017 || [[니클라스 에딘]][br](스웨덴)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8 || [[케빈 쿠이]][br](캐나다 앨버타) || 제이미 싱클레어[br](미국) || || 2019 || 브렌던 보처[br](캐나다 앨버타) || [[케리 에이너슨]][br](캐나다 매니토바) || || 2020 |||| 대회 취소[*A] || || 2021 || [[앨버타]] [[캘거리]] ||<|2> [[브루스 모왓]][br](스코틀랜드) || [[케리 에이너슨]][br](캐나다 매니토바) || || 2022 ||<|3> [[온타리오]] [[토론토]] || [[안나 하셀보리]][br](스웨덴) || || 2023 || [[케빈 쿠이]][br](캐나다 앨버타) || 이사벨라 브라노[br](스웨덴) || || 2024 || || || * 한국팀 초청 여부 및 성적 랭킹은 초청 당시 기준이다. || {{{#ffffff '''연도'''}}} || {{{#ffffff '''스킵(팀)'''}}} || {{{#ffffff '''랭킹'''}}} || {{{#ffffff '''결과'''}}} || ||<|2> 2018 || [[김창민(컬링)|김창민]](경북체육회) || 13위 || 미참가 ||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8위 || 예선 탈락 || || 2021 || [[김민지(컬링)|김민지]](춘천시청) || 11위 || 예선 탈락 || ||<|2> 2022 || [[김은정(컬링)|김은정]](강릉시청) || 8위 || 미참가[* 출국을 앞두고 코로나 19 확진자가 나오면서 출전을 포기했다.] ||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 16위 || 예선 탈락 || || 2023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 4위 || 4강 || == 과거 그랜드 슬램 대회 == === 웨이든 트랜스포테이션 레이디스 클래식 === 여자부 한정. 개최지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애버츠퍼드. 대회 자체는 2000년부터 시작됐지만 2006-2007 시즌부터 그랜드 슬램에 포함됐다. 2008-2009 시즌을 끝으로 대회 자체가 폐지됐다. || {{{#ffffff '''연도'''}}} || {{{#ffffff '''우승팀 스킵'''}}} || || 2006 || 스테파니 로턴[br](캐나다 서스캐처원) || || 2007 || 켈리 스콧[br](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 || 2008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매니토바 로터리스 위민스 컬링 클래식 === 여자부 한정. 개최지는 [[매니토바]] 포티지러프레리. 대회 자체는 2004년부터 시작됐지만 2006-2007 시즌부터 그랜드 슬램에 포함됐다. 2013-2014 시즌을 끝으로 그랜드 슬램에서 제외됐다. 현재 명칭은 캐나드 인스 위민스 클래식. 그랜드 슬램에서는 제외됐지만, 일반 컬링 투어 대회 중에서는 가장 많은 상금이 걸린 대회다. 2015년 경북체육회 여자팀이 이 대회에서 우승한바 있다. || {{{#ffffff '''연도'''}}} || {{{#ffffff '''우승팀 스킵'''}}} || || 2006 || 셰리 앤더슨[br](캐나다 서스캐처원) || || 2007 || 섀넌 클레이브링크[br](캐나다 앨버타) || || 2008 || 미셸 잉글롯[br](캐나다 서스캐처원) || || 2009 || 켈리 스콧[br](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 || 2010 || 첼시 캐리[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1 || 르네 소넨버그[br](캐나다 앨버타) || || 2012 || 스테파니 로턴[br](캐나다 서스캐처원) || || 2013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컬러스 코너 어텀 골드 클래식 === 여자부 한정. 개최지는 [[앨버타]] [[캘거리]]. 대회 자체는 1978년부터 시작됐지만 2006-2007 시즌부터 그랜드 슬램에 포함됐다. 대회 방식은 트리플 넉아웃. 2014-2015 시즌을 끝으로 그랜드 슬램에서 제외됐다. 2010년 중국의 [[왕빙위]] 팀이 우승했는데, 이는 모든 그랜드 슬램 남녀부 대회를 통틀어 非캐나다 팀 최초의 우승이었다. || {{{#ffffff '''연도'''}}} || {{{#ffffff '''우승팀 스킵'''}}} || || 2006 || 켈리 스콧[br](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 || 2007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2008 || 섀넌 클레이브링크[br](캐나다 앨버타) || || 2009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0 || [[왕빙위]][br](중국) || || 2011 || 캐시 오버튼 클랩햄[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2 || 셰리 미다우[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3 || [[이브 뮤어헤드]][br](스코틀랜드) || || 2014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한국팀 성적 32개 팀이 참가하는 대회로, 지금의 그랜드 슬램처럼 초청을 받는 게 아니라 참가 신청을 하는 대회였다. || {{{#ffffff '''연도'''}}} || {{{#ffffff '''스킵(팀)'''}}} || {{{#ffffff '''결과'''}}} || || 2011 || [[김지선(컬링)|김지선]](경기도체육회) || 예선 탈락 || ||<|2> 2014 || [[김지선(컬링)|김지선]](경기도청) || 예선 탈락 ||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예선 탈락 || === 소베이 슬램 === 여자부 한정. 개최지는 [[노바스코샤]] 뉴글래스고. 대회 자체는 1998년부터 시작돼 당시는 '소베이 컬링 클래식'이었다가 2007-2008년 시즌부터 그랜드 슬램에 포함되면서 명칭이 바뀌었다. 2010-2011 시즌을 끝으로 대회 자체가 폐지됐다. || {{{#ffffff '''연도'''}}} || {{{#ffffff '''우승팀 스킵'''}}} || || 2007 || 셰리 미다우[br](캐나다 온타리오) || || 2008 || 마리 프랑스 라로쉬[br](캐나다 퀘벡) || || 2009 || 미개최 || || 2010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콜로니얼 스퀘어 레이디스 클래식 === 여자부 한정. 개최지는 [[서스캐처원]] [[새스커툰]]. 대회 자체는 1981년부터 시작됐지만 2012-2013 시즌부터 그랜드 슬램에 포함됐다. 대회 방식은 트리플 넉아웃. 2014-2015 시즌을 끝으로 그랜드 슬램에서 제외됐다. || {{{#ffffff '''연도'''}}} || {{{#ffffff '''우승팀 스킵'''}}} || || 2012 || 스테파니 로턴[br](캐나다 서스캐처원) || || 2013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4 || [[이브 뮤어헤드]][br](스코틀랜드) || * 한국팀 성적 적게는 32개에서 많게는 48개 팀이 참가한 대회로, 지금의 그랜드 슬램처럼 초청을 받는 게 아니라 참가 신청을 하는 대회였다. || {{{#ffffff '''연도'''}}} || {{{#ffffff '''스킵(팀)'''}}} || {{{#ffffff '''결과'''}}} || || 2013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8강 || || 2014 || [[김수지(컬링)|김수지]](숭실대학교) || 예선 탈락 || === 엘리트 10 === 이전 시즌과 현재 시즌 랭킹 포인트 총합 상위 10개 팀이 초청 대상이다. 여러모로 특이한 대회다. 일반적인 컬링 대회와 달리 매치 플레이 방식으로, 이긴 엔드의 수로 승패가 결정된다[* 실제 경기 득점판에도 점수가 아니라 해당 엔드에서 승리한 팀에 체크 표시를 한다.]. 또한 후공팀은 2점 이상을 득점해야 해당 엔드에서 승리한 것으로 인정되지만, 선공팀은 1점만 득점(스틸)해도 승리한 것으로 인정된다. 후공팀이 1점만 득점했을 시에는 해당 엔드는 블랭크 엔드와 같이 간주되지만 다음 엔드에서 양팀 선공과 후공이 바뀐다. 8엔드까지 양팀이 이긴 엔드 수가 똑같으면 엑스트라 엔드에서는 버튼 드로로 승자를 정한다. 그리고 조별 순위도 승률이 아닌 포인트로 계산하는데, 8엔드 이내로 승리했을 때는 3점, 8엔드까지 동점으로 진행돼 버튼 드로 대결에서 이겼을 경우 2점, 버튼 드로에서 졌을 경우 1점을 받는다. 10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에서 상위 6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그 중 최상위 2팀은 준결승으로 직행한다. 2017-2018 시즌까지는 남자부 경기만 열렸다가 2018-2019 시즌부터 여자부 경기가 추가됐다. 2016년 대회 때는 당시 여자부 랭킹 1위였던 레이첼 호먼 팀이 참가했었는데, 1승 3패로 예선 탈락했다. 2018-2019 시즌을 끝으로 그랜드 슬램에서 제외됐다. || {{{#ffffff '''연도'''}}} || {{{#ffffff '''개최지'''}}} || {{{#ffffff '''남자 우승팀 스킵'''}}} || {{{#ffffff '''여자 우승팀 스킵'''}}} || || 2015 || [[앨버타]] 포트맥머리 || 마이크 맥윈[br](캐나다 매니토바) ||<|4> 미개최 || || 2016 || [[브리티시 컬럼비아]] 콜우드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 2017 || [[노바스코샤]] 포트혹스베리 || 존 모리스[br](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 || 2018(3월) || [[매니토바]] [[위니펙]] || 마이크 맥윈[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8(9월) || [[온타리오]] 채텀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안나 하셀보리]][br](스웨덴) || * 한국팀 초청 여부 및 성적 랭킹은 초청 당시 기준이다. || {{{#ffffff '''연도'''}}} || {{{#ffffff '''스킵(팀)'''}}} || {{{#ffffff '''랭킹'''}}} || {{{#ffffff '''결과'''}}} || ||<|2> 2018(9월) || [[김창민(컬링)|김창민]](경북체육회) || 15위[* 초청 당시 랭킹 16위이던 로스 패터슨(스코틀랜드) 팀이 출전했다.] || 미참가 ||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7위 || 미참가 || === 챔피언스 컵 === 다른 그랜드 슬램 대회들이 랭킹 순위대로 초청하는 것과 달리 전년도 챔피언스 컵 우승팀과 전년도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우승팀, 세계선수권 우승팀, 세계주니어선수권 우승팀, 아시아태평양선수권 우승팀, 유럽선수권 우승팀, 팀 호튼스 브라이어/스코티즈 토너먼트 오브 허츠 우승팀[* 각각 캐나다 남녀 선수권 대회다.], 미국선수권 우승팀, 4개 그랜드 슬램 우승팀 등 이름답게 각 대회 우승팀이 참가한다. 조건 중복 등으로 그밖에 남는 자리는 랭킹 포인트가 높은 투어 대회에서 우승한 팀 순[* 다만 전년도 챔피언스 컵과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우승팀이 동일할 경우 이전 시즌 핀티즈 컵 수상팀이 초청되며, 핀티즈 컵 수상팀마저 동일하면 랭킹 포인트가 높은 투어 대회에서 우승한 팀이 초청된다.]으로 총 12개 팀[* 2019년까지는 15개 팀.]이 초청 대상이다. 12개 팀이 3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에서 상위 8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토너먼트로 우승자를 정한다. 총합 상금 10만 [[캐나다 달러]]. 2022-2023 시즌을 끝으로 그랜드 슬램에서 제외됐다. || {{{#ffffff '''연도'''}}} || {{{#ffffff '''개최지'''}}} || {{{#ffffff '''남자 우승팀 스킵'''}}} || {{{#ffffff '''여자 우승팀 스킵'''}}} || || 2016 || [[앨버타]] 셔우드파크 || 리드 카루더스[br](캐나다 매니토바)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7 ||<|2> [[앨버타]] [[캘거리]] || 브래드 제이컵스[br](캐나다 온타리오) ||<|2> [[레이첼 호먼]][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8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 2019 || [[서스캐처원]] [[새스커툰]] || 브렌던 보처[br](캐나다 앨버타) || [[실바나 티린초니]][br](스위스) || || 2020 || [[앨버타]] 올즈 |||| 대회 취소[*A] || || 2021[* 예년과 달리 플레이어스 챔피언십보다 먼저 열렸다.] || [[앨버타]] [[캘거리]] || [[브루스 모왓]][br](스코틀랜드) || [[레이첼 호먼]][br](캐나다 온타리오) || || 2022 ||<|2> [[앨버타]] 올즈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케리 에이너슨]][br](캐나다 매니토바) || || 2023 || 브렌던 보처[br](캐나다 앨버타) || [[레이첼 호먼]][br](캐나다 온타리오) || * 한국팀 초청 여부 및 성적 [[한국컬링선수권대회|한국선수권]]과 시기가 겹쳐서 2018년까지 한국팀은 출전할 수 없었다. || {{{#ffffff '''연도'''}}} || {{{#ffffff '''스킵(팀)'''}}} || {{{#ffffff '''자격'''}}} || {{{#ffffff '''결과'''}}} || ||<|3> 2016 || [[김수혁(컬링)|김수혁]](강원도청) ||2015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PACC]] 우승 ||<|7> 미참가 ||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투어 대회 우승 (캐나드 인스 위민스 클래식[* 2015-2016 시즌 포인트 5위 대회]) ||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투어 대회 우승 (허브 인터내셔널 크라운 오브 컬링[* 2015-2016 시즌 포인트 23위 대회]) || ||<|2> 2017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2016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PACC]] 우승 || || [[이기정]](경북컬링협회) ||2017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세계주니어선수권]] 우승 || ||<|2> 2018 || [[김창민(컬링)|김창민]](경북체육회) ||<|2>2017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PACC]] 우승 || || [[김은정(컬링)|김은정]](경북체육회) || || 2019 || [[김민지(컬링)|김민지]](춘천시청) ||2018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PACC]] 우승 || 예선 탈락 || || 2020 || [[김창민(컬링)|김창민]](경북체육회) ||2019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PACC]] 우승 || - || || 2021 || [[김민지(컬링)|김민지]](춘천시청) ||투어 랭킹 11위[* [[코로나 19]]의 범세계적인 유행 때문에 2020-2021 시즌 동안 월드 컬링 투어 대다수의 대회가 취소된 여파에 따라 플레이어스 챔피언십과 마찬가지로 2019-2020 시즌 랭킹 상위 12개팀을 초청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 예선 탈락(타이브레이크) || ||<|3> 2022 || [[김수혁(컬링)|김수혁]](경북체육회) ||2021 [[아시아태평양컬링선수권대회|PACC]] 우승 || 예선 탈락 || || [[김은정(컬링)|김은정]](강릉시청) ||투어 대회 우승 (앨버타 컬링 시리즈: 새빌 슛아웃) || 예선 탈락(타이브레이크) ||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투어 대회 우승 (바운더리 포드 컬링 클래식) || '''준우승''' || ||<|2> 2023 || [[김은정(컬링)|김은정]](강릉시청) ||투어 대회 우승 (카루이자와 국제컬링선수권대회) || 미참가[* 대회가 열리는 시기에 [[김경애]]가 결혼한다.] || || [[김은지(컬링)|김은지]](경기도청) ||투어 대회 우승 (어텀 골드 컬링 클래식) || 예선 탈락(타이브레이크) || == 핀티즈 컵 == 2012-2013 시즌부터 해당 시즌 그랜드 슬램 최우수팀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챔피언스 컵을 제외한 나머지 그랜드 슬램의 성적에 따른 포인트로 순위를 정해 4위팀까지 상금이 지급된다. 처음 이름은 '로저스 그랜드 슬램 컵'이었다가 2017-2018 시즌에는 '보너스 컵', 2018-2019 시즌부터는 그랜드 슬램의 스폰서 사의 이름을 따 '핀티즈 컵'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수상팀 || {{{#ffffff '''시즌'''}}} || {{{#ffffff '''남자 최우승팀 스킵'''}}} || {{{#ffffff '''여자 최우승팀 스킵'''}}} || || 2012-2013 || 글렌 하워드[br](캐나다 온타리오) || [[이브 뮤어헤드]][br](스코틀랜드) || || 2013-2014 || [[케빈 마틴]][br](캐나다 앨버타)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4-2015 || 브래드 제이컵스[br](캐나다 온타리오) || [[이브 뮤어헤드]][br](스코틀랜드) || || 2015-2016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레이첼 호먼]][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6-2017 || [[니클라스 에딘]][br](스웨덴) || 밸러리 스위팅[br](캐나다 앨버타) || || 2017-2018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제니퍼 존스]][br](캐나다 매니토바) || || 2018-2019 || [[케빈 쿠이]][br](캐나다 앨버타) || [[레이첼 호먼]][br](캐나다 온타리오) || || 2019-2020 || 브래드 제이컵스[br](캐나다 온타리오) ||<|2> [[안나 하셀보리]][br](스웨덴) || || 2021-2022 || [[브루스 모왓]][br](스코틀랜드) || || 2022-2023 || [[브래드 구슈]][br](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케리 에이너슨]][br](캐나다 매니토바) ||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컬링,version=836)] [[분류:그랜드 슬램]][[분류:컬링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