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폰지밥 영화 시리즈)] ||<-2>
{{{#000000 '''{{{+1 더 스폰지밥 네모바지 무비}}}''' (2004)[br]The SpongeBob SquarePants Movi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네모바지 스폰지밥/spongemovie.jpg|width=100%]]}}} || || '''장르''' ||[[애니메이션]], [[코미디]]|| || '''감독''' ||[[스티븐 힐렌버그]]|| || '''각본''' ||데릭 드라이먼[br]팀 힐[br][[스티븐 힐렌버그]][br]켄트 오스본[br]아론 스프링거[br][[폴 티빗]] || || '''제작''' ||[[스티븐 힐렌버그]][br]데릭 드라이먼[br]지나 샤이[br]알비 헥트[br]줄리아 피스토어 || || '''출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톰 케니]][br]빌 파거바키[br][[미스터 로렌스]][br][[클랜시 브라운]][br]로저 범패스[br][[스칼렛 요한슨]][br][[데이비드 해셀호프]][br][[알렉 볼드윈]] 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전태열]], [[이인성(성우)|이인성]], [[은영선]], [[박만영]], [[강구한]] 외|| || '''음악''' ||그레고르 나르홀츠|| || '''제작사''' ||[[파라마운트 픽처스]][br][[니켈로디언 무비스]][br]유나이티드 플랑크톤 픽처스||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라마운트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UIP 코리아]][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UIP|UIP 재팬]]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4년]] [[11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5년]] [[9월 30일]][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6년]] [[4월 22일]] || || '''상영 시간''' ||90분|| || '''제작비''' ||3000만 달러|| || '''월드 박스오피스''' ||$140,161,762|| || '''북미 박스오피스''' ||$85,417,988||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70,300명 || || '''[[영상물 등급 제도|{{{#000000 상영 등급}}}]]''' ||[[전체 관람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width=30]]]] [[전체 관람가|{{{#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첫 극장판. 원작자 [[스티븐 힐렌버그]]는 이 극장판 제작을 끝으로 스폰지밥 시리즈를 완전 종영시키려고 했으나, 니켈로디언 측의 반대와 스폰지밥의 계속 높아지는 인기로 인해 종영을 포기하였다. 만약 니켈로디언의 간섭 없이 [[스티븐 힐렌버그]]의 의도대로 갔다면 이 극장판이 '''공식적인 스폰지밥의 마지막 이야기'''가 될 수도 있었다. 그 뒤 시즌 4부터 폴 티빗이 감독직을 이어 맡았으며 이후 스폰지밥 3D와 시즌 9 중반부에 다시 공동 감독직에 복귀한 뒤, 시즌 10부터 폴 티빗이 하차하면서 단독으로제작을 맡았다가 [[루게릭병|병세로 인해]] [[2018년]] [[11월 26일]]에 세상을 떠났다. 작중 내용을 보면 시리즈의 마지막임을 염두에 두고 만든 흔적들이 남아있다. 가령 플랭크톤이 이 극장판에서 드디어 게살버거 비법을 알아내서 자기 가게에서 게살버거를 팔고, 스폰지밥은 일개 직원에서 집게리아 2호점의 점장으로 승진한다. 이러한 점들은 결국 시즌 4부터 감독이 바뀐 후 시리즈가 계속 이어지게 되면서 사실상 평행세계가 되어가는 분위기이지만 대부분의 스폰지밥 팬들은 원작자 스티븐 힐렌버그를 존중하는 마음으로 이쪽을 정사로 취급하고 있다. == [[극장판 네모바지 스폰지밥/줄거리|줄거리]] == 6일[* 원래는 10일이지만 뚱이가 바다왕과 자존심 내기로 날수를 줄여나가서(...) 6일로 줄어든 것이다.(용왕 대 스폰지밥 에피소드에서도 용왕 한테 자존심내기로 반항하면서 스폰지밥을 개고생 시키더니... 이 극장판에서도 스폰지밥을 개고생시킨다. 물론 여기서는 용왕 대 스폰지밥 에피소드와는 달리 바다왕한테 손가락 번개같은 걸로 전기구이가 되는 걸 안 당하긴 했다.)] 안에 조개시티에 있는 바다왕(넵튠)의 왕관을 찾아와 왕관 도둑으로 누명 씌인 집게사장을 구하기 위한 스폰지밥과 뚱이의 모험을 다루고 있다. 후반부에는 카메오로 [[데이비드 해셀호프]][* 한국에서는 [[전격 Z 작전]]의 주인공 배우로 알려져 있다.]가 등장한다. 해양구조요원으로 스폰지밥 일행을 도와준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v8xk7BKaNM)]}}} || || '''예고편''' || == [[네모바지 스폰지밥/극장판 등장인물|등장인물]] == * [[네모바지 스폰지밥(네모바지 스폰지밥)|스폰지밥]] - [[톰 케니]] / [[전태열]] * [[핑핑이]] - [[톰 케니]] / [[김지혜(성우)|김지혜]][*A 이 극장판 한정.] * [[뚱이]] - 빌 파거바키 / [[이인성(성우)|이인성]] * [[징징이(네모바지 스폰지밥)|징징이]] - 로저 범패스 / [[전광주]] * [[집게사장]] - [[클랜시 브라운]] / [[이채진]][* 이 극장판이 이채진 성우의 마지막 스폰지밥 출연이며, 이후 [[니켈로디언 코리아]]로 넘어간 시즌 4부터는 [[최한]] 성우가 집게사장을 맡게 된다.] * [[다람이(네모바지 스폰지밥)|다람이]] - 캐롤린 로렌스 / [[김지혜(성우)|김지혜]][*A] * [[플랑크톤(네모바지 스폰지밥)|플랑크톤]] - [[미스터 로렌스]] / [[박만영]] * [[캐런(네모바지 스폰지밥)|캐런]] - 질 톨리 / [[김지혜(성우)|김지혜]][*A] * [[퐁퐁부인]] - 메리 조 캐틀릿 / [[최문자]][*A] 신규 등장인물들은 [[네모바지 스폰지밥/극장판 등장인물|해당 문서]]를 참조할 것. == 흥행 및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spongebob-squarepants-movie, critic=66, user=8.4)]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spongebob_squarepants_movie_, tomato=68, popcorn=78)] [include(틀:평가/IMDb, code=tt0345950, user=7.1)] 개봉성적은 대박. 북미 8541만7988달러, 해외 1억4016만1762달러 로 제작비 3000만달러를 훌쩍 뛰어 넘는 대박을 거둬들였다. 90분 러닝타임치곤 스토리 전개의 짜임새와 전개 템포도 적절한 편. 스토리 초반엔 본편처럼 병맛나는 상황은 별로 없지만, 구 시즌 스폰지밥 특유의 유머러스함과 캐릭터들 행보에서 보이는 엽기적인 코미디도 그대로다. 후반부로 가서는 주제 속에서 말하는 교훈[* 보통 다른 대부분의 작품들의 주인공들은 성장하면서 성격과 가치관 등이 바뀌는데 이 극장판은 사나이가 된다고 설레며 변화가 있는 듯 했다가 나중엔 결국 본연의 성격인 어린애답게 살기로 했으니 클리셰를 살짝 비틀었다고 할 수도 있다.]을 잘 전달해주어 병맛스러우면서도 감동적인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정말이지 여러모로 조금 나이들어 봐도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수작이다. 특유의 블랙코미디도 빠지지 않는다.[* 지점장이 되지 못한 스폰지밥이 뚱이와 아이스크림을 엄청나게 먹고 꽐라가 되는데 누가봐도 과음한 후 꽐라가 되는 직장인들을 풍자한 것이다.] 교훈과 코미디 요소는 대체로 호평을 받았으나[* 그 [[로저 이버트]]가 별 4개 중 '''3개'''를 줬을 정도다.], 줄거리는 호불호가 갈린다. 줄거리가 그래도 좋다는 의견과 줄거리는 말도 안 되고 가장 멍청한 줄거리였다는 의견으로 나뉜다. 특히 후자는 바다왕 때문인 경우가 많다.[* 이 극장판의 사건의 발단이 되는 인물인데, 플랑크톤처럼 빌런은 아니지만 '''[[대머리]]를 감추고 싶어서''' 왕관에 집착하며 애꿎은 집게사장을 얼려버리고, 후반부에는 플랑크톤한테 조종당하는 등 영 없어보이는 행적 때문에 혹평을 많이 받았다. --대머리라면 혹평 못한다.--] == 국내 개봉 및 방영 == 2005년 9월 30일에, 미국보다 거의 1년 뒤에 개봉했다. 북미와 해외 흥행이 대박이었던 반면에 반면 한국 흥행은 전국 관객 7만 3백명으로 그리 성공하지 못했다. 수입은 엄청났으나, 이 당시 멀티플랙스 극장의 수가 적었고 이 극장판이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관객들에게는 낮은 평을 받기도 했기 때문. 국내 더빙판 당시 성우진은 당시에는 [[니켈로디언]] 채널이 국내에 정식으로 들여오기 전이고[* 본 영화가 개봉하고 1달 후에 정식으로 [[니켈로디언 코리아]]가 출범하여 정식으로 들어서게 되었다. 그와 동시에 스폰지밥의 방영판권은 니켈로디언이 도로 재능TV판으로 방영했던 시즌1~3까지 전부 가져가게 되었다. 단, [[EBS]]의 스펀지송은 재능버전의 스폰지밥만큼 인지도가 많았으나 원판 제목이 스폰지밥이고, 더빙 극찬이 재능판 스폰지밥이 압도적인 부분([[전태열]] 성우의 스폰지밥 연기나 [[이인성(성우)|이인성]] 성우의 뚱이의 대사를 참신하게 연기한 애드립 등)이 있었기에 스펀지송까지는 안가져 가게 되었다. (참고로 스펀지송은 시즌 5 방영 도중 종영.)], 스폰지밥이 [[재능TV]]에서 한창 방영중이던 터라 재능TV 성우진들을 그대로 캐스팅하였다. 다만 다람이, 핑핑이[* 대사라고는 플랑크톤의 노예가 된 뒤 말한 "플랑크톤 만세!"가 전부다.], 퐁퐁부인, 캐런 성우는 TV판[* 각각 [[진영(성우)|진영]], [[박만영]], [[국승연]]이 맡았다.]과 다르다.[*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교체된 듯 하다. 이 배역들은 방영권이 [[니켈로디언 코리아]]로 넘어간 후에도 집게사장과 마찬가지로 다른 성우들로 교체되었다.] 여담으로 이 극장판에서 추가로 투입된 성우들은 모두 [[KBS 성우극회|KBS 출신]]으로 이루어져 있다. 좀 늦었지만 2013년 추석 시즌에 닉 코리아에서 TV방영도 됐다. 이후 2020년 4월 2일 오후 6시에 후속작인 [[스폰지밥 3D]]처럼 [[투니버스]]에서 방영되었고 이후에도 간간히 방영한다. 2020년 이후로 [[엠플렉스]] 채널에서 가끔 편성을 한다. 다만 투니버스와는 다르게 자막판이다. == OST == OST에 참가한 아티스트 진영이 화려하다. [[모터헤드]], [[에이브릴 라빈]], [[윌코]], [[플레이밍 립스]][* 아예 싱글로도 나왔다. 제목은 Spongebob & Patrick Confront the Psychic Wall of Energy.], 더 신스, 플러스 테크 스퀴즈 박스[* 일본의 [[시부야계]] 플런더포닉스 그룹.] 등이 참여했다. [[인디 록]]을 위주로 구성된 게 특징. 엔딩 테마는 [[윈(밴드)|윈]]의 '''[[https://www.youtube.com/watch?v=vcaPiiFZu2o|Ocean Man]]'''이다. === [[Goofy Goober Rock]]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oofy Goober Rock)] == 기타 == * 비디오 게임으로도 출시되었으며 [[THQ]]가 [[게임큐브]], [[플레이스테이션 2]], [[Xbox(콘솔)|엑스박스]], [[게임보이 어드밴스]], PC로 출시했다. GBA판은 [[웨이포워드 테크놀러지스]][* [[보글보글 스폰지 밥: 좌충우돌 대모험]]과 레디액션! 등의 타이틀도 담당했다.]가 제작했으며 가정판은 헤비 아이언[* 바로 전작으로 [[네모바지 스폰지밥: 비키니 시의 전쟁]]의 가정용 콘솔 버전을 개발했다. 덕분에 극장판 게임도 전작과 함께 스폰지밥 미디어믹스 가정용 게임 중 가장 호평받는 작품이 되었다.] 제작. 게임보이 어드밴스판과 가정용 콘솔 버전들은 플랫포머 어드벤처 방식을 꾀했으며 PC판은 포인트 앤 클릭 방식으로 제작했다. * 극장판 최초로 실사 파트가 맨 처음에 나온 극장판이다. 이 작품을 기점으로 나중에 나온 극장판에서도 유명 배우들이 나오게 된다. * 그 유명한 [[OME|MY EYES]] 밈이 여기서 나왔다. * 관련 게임이 3개나 있다.[[https://youtu.be/z_fcZoZp_pw|1]][[https://youtu.be/1od_ngEmpac|2]][[https://youtu.be/9nyCmSJ0iCo|3]] * 시즌 12 《신입사원 뚱이》 편에서 구피 구버[* 극장판 더빙판에서는 "띵콩땅콩"이라고 나오지만 니켈로디언 더빙판에서는 그대로 직역했다.]라는 가게가 오랜만에 등장한다. 이 가게에서 뚱이는 아이스크림을 많이 먹어서 쫓겨나지만 직원이 뚱이를 신입사원으로 채용한다. * [[스폰지밥 무비: 핑핑이 구출 대작전]]에서도 오랜만에 해당 [[이스터 에그]]가 나오는데, 처음에 뚱이가 아이스크림을 집는 장면에서 구피 구퍼 상점이 잠깐 나오고, 중간에 버거카가 재등장 하였다. 디자인은 일반적인 햄버거 모양에서, 길쭉한 클럽 샌드위치 형태에 가깝게 변형되었다. * 하청을 한국 회사에서 맡았기 때문에 엔딩 크레딧에 한국인들이 굉장히 많이 나온다. 거의 40% 가량이 한국인일정도.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네모바지 스폰지밥, version=1859)] [[분류:스티븐 힐렌버그]][[분류:네모바지 스폰지밥/극장판]][[분류:파라마운트 픽처스]][[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미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미국의 코미디 영화]][[분류:2004년 영화]][[분류:2004년 애니메이션]][[분류:실사와 애니메이션이 혼합된 작품]]